•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empath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일본의 집단문화의 봉사정신의 관계: 글로벌 IT기업 직원 중심으로 (Collectivism's Effect on Volunteerism, A Case Study of Japanese employees)

  • 강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21-133
    • /
    • 2021
  • 본 연구는 홉스테드의 집단적 문화가 개인의 봉사정신에 미치는 영향 및 개인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분석하였다. 봉사활동과 관련된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집단적문화와 개인의 공감능력 요인의 봉사활동과의 연관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홉스테드의 문화차원인 집단적 문화는 아시아국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관련 선행연구는 국가별 차원에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적 차원을 개인적 차원으로 설문화한 Yoo's Cultural Value Scale (CVSCALE)을 일본 IT계 대기업 직원들 220명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3주동안 수집, SPSS 21.0을 통해 통계분석 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집단문화는 봉사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의 공감능력이 집단적문화와 봉사활동을 완전 매개한다는 결과를 발견할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인의 집단적 문화성향이 봉사활동에 긍정적 영향, 즉 조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개인적 문화성향이 강해진 일본에서도 집단적 문화성향과 공감능력이 봉사활동의 선행요인이란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개인의 공감능력 훈련 및 교육을 제도화하여, 개인 및 그룹차원의 성과를 향상하도록 제시하였다.

아동의 공감발달 및 관련변인 (A Study on Empathic Development in Korean Children)

  • 연진영
    • 아동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9-59
    • /
    • 1988
  • Empathy was defined in this study as the vicarious affective response of a person to the perceived experience of an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development of children and intimacy with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empathic response to specific affective situations happy, sad, angry and fearfu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8-, 10-, and 12-year-old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mong the subjects, 158 boys and 149 girls lived with their parents, and 20 boys and 35 girls were reared in orphanges. They were from a residential area with higher, middle, and lower class families.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two modified empathy measures and two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ne of the empathy measures was based on Feshbach & Roe's affective situation test for empathy. In order to determine the eight themes, 20 children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bout situations that made them "happy, sad, angry, and afraid". From the pool of responses, eight themes representing happy, sad, angry and fearful situations were selected. Each story consisted of a series of three pictures accompanying narration. Another modified empathy measu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upon Bryant's empathy scale. This measure consisted of 17 statements describing happy, sad, angry and fearful situations. The items in this scale were selected from a pilot study. The two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ere to test children's intimacy for their parents and feminity. The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d F-test. Children's intimacy with their parents, particularly, son's intimacy with their mothers,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empathic development. Children living with their parents had higher scores on Feshbach & Roe's Empathy Test than those brought up in orphanages. In general, the older the children the higher the empathy score. Girls were more empathic than boys on Bryant's scale. The subjects showed their highest empathy score in the sad, and the lowest in the fearful situation. The older the children the higher the empathy score in the sad and angry situations. These results reflected children's life experiences and cultural differences. Particularly, mother-son intimacy found in this study contrasts with the mother-daughter intimacy found in American studies.

  • PDF

전통시장의 서비스품질요인이 고객가치, 관계품질,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 Service Quality Factors on Customer Value, Relational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 추명조;정연승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1호
    • /
    • pp.79-92
    • /
    • 2015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irical model of the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 service quality factors on customer value,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o classify study objects into cultural tourism markets and non-cultural tourism markets as well a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among the two markets and, 2) to present practical service marketing methods that fi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arkets by amending the five quality evaluation items of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arkets and establish the relationship among customer value,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method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 for a study object the Suwon Paldalmun Gate Market to represent the cultural tourism market, and general traditional markets to represent the non-cultural tourism market. This study also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in order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and collected a total of 418 responses between March 18, 2014 and April 05, 2014. The total of 418 responses used for this study excluded 14 responses that had either misleading information or missing values. Results - This study verified the perceived differences of service quality based on traditional market specialization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It appeared that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cultural tourism marke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cultural tourism market. This study executed a path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factors on customer value,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also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specialized market and non-specialized market separately.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results, the overall results were uniform. It appeared that convenience, reliability, and empathy,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exerted meaningful effects on customer value. On the other hand, convenienc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excluding the tangibles, exerted meaningful effects on the relationship quality.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all service quality factors exerted meaningful effects on the customer value,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 intention. Therefore, the study verified that all of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e study were generally adopted. Conclusions -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may be classified into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 as follows. With respect to the academic implication, it seems that this study is among the early studie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ural tourism market and the non-cultural tourism market.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such as convenienc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tangibles, excluding empathy, was higher in the cultural tourism market than in the non-cultural tourism market. This means that customer satisfaction is enhanced by governmental aid such as hardware, softwa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B급 문화콘텐츠의 활용을 통한 소도시 마케팅 전략: 충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Application of B-Grade Cultural Contents to Small City Marketing Strategy: Focused on the Case of Chungju City, Korea)

  • 권경인;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107
    • /
    • 2022
  • 본 연구는 B급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소도시 마케팅의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을 충주시의 B급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으로 선정하고, 온라인 홍보물에 나타난 B급 문화콘텐츠의 특징을 통해, 지역에서의 그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해시태그와 댓글 등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코딩 및 분석하는 동시에, 지자체 담당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세부사항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충주시 홍보물은 일반적 B급 문화의 복고/말장난/탈피 등의 특징을 보여주면서도, 특히 소통/참여/공감의 향유 과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분석 결과로 비개연성, 상호텍스트성, 확장성, 파괴성, 진정성이 호응·공감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기-결'의 단순한 서사구조를 통해 파급력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충주시의 B급 문화콘텐츠 활용의 사례는 문화자산 형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마케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Abduction as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 이희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4권
    • /
    • pp.76-97
    • /
    • 2011
  • 가추법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논문은 문화연구의 방법론 논의가 연구방법이 아닌 인식론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가추법의 의미를 문화연구의 방법론의 측면에서 재해석한다. 논리학자이자 기호학자인 찰스 샌더스 퍼스는 연역법이나 귀납법으로는 불가능한 새로운 명제나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 가추법을 제안한다. 근대의 과학적 실증주의가 객관성과 확실성의 논리에 기대고 있다면, 가추법은 경험된 현상으로부터 새로운 전제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학문과 지식의 생산 구조와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과학적 연구방법의 신화를 비판한다. 그리고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방법론적 대안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 가추법이 문화연구의 방법론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문화연구가 방법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소, 즉 '직관'과 '공감'과 '지적 협업'의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한다. 결국 문화연구는 관찰할 수 있는 현재로부터 알 수 없는 실재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mpathy and Global Citizenship in Nursing Students)

  • 고진희;강명주;김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08-11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 세계시민의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B시, U시와 S시에 소재한 3,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Pearson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시민의식은 다문화수용성(r=.48, p<.001), 공감능력(r=.58,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공감능력, 다문화수용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글로벌 역량이 중요시되고 있는 간호교육 현장에서 세계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지속적이고 실천적인 프로그램 및 다양한 학습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n Professional Intuition through Cultural Competency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 손태복;김기웅;김하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1-73
    • /
    • 2020
  •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ultural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o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focus on the cultural competencies of aviation service college students, who are rarely address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to see how cultural competenc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we divid them into six sub facto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cognitive openness/flexibility, emotional control, patience with uncertainty,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And the 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cultural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are analyz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ultural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apply to the education of aviation service-related departments, it will be a basic data to promote students' adaptation to the department and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nd to train global professional service personnel who can improve their post-employment work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productivity.

팬데믹 시대의 도시 씬 요소 변화 (Changes in Urban Scene Elements in the Pandemic)

  • 구선아;장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75
    • /
    • 2020
  • 코로나19에 의한 팬데믹으로 세계 도시는 변화를 맞이했다. 글로벌 경제체계가 약해짐에 따라 상품 생산 및 유통 체계에도 지역화가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지역화가 강화된 도시에서는 소비 형태가 변화했고 이에 따라 물리적 장소를 소비하는 방식도 변하고 있다. 대형 다중이용시설 소비는 대폭 감소했고, 온오프라인 경계가 허물어지는 속도가 빨라졌으며, 취향 공유를 위한 어메니티 소비는 더욱 세분화, 전문화되고, 프라이빗(private)해졌다. 도시 어메니티의 집중으로 파악되는 도시 씬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도시 씬에서 로컬 스케일과 로컬리티가 중요해졌고, 공감성이라는 새로운 도시 씬 요소가 등장하였다. 공감성은 개인이 도시 어메니티를 소비함에 있어 사회적, 정서적 연결을 목적으로 하며, 연결성, 취향 소비, 노스탤지어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공감성에 기반하며 문화 소비하는 공간을 공감적 공간이라 명명하고 그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향후 포스트코로나 상황에서 도시 씬에서의 공감적 공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Nursing Students)

  • 한석영;정향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84-693
    • /
    • 2015
  •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a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Based on the five constructs of cultural competency identified in the conceptual analysis of Suh, 76 items for the tool were derived initially. These items were reduced to 58 items after content validity tests (two times) by 6 multicultural experts. Data collected from 526 nursing students were utiliz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liminary tool.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ronbach's alpha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wenty-seven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cale, and categorized into 5 factors explaining 62.1% of the total variance. Cronbach's alpha was .91 and the reliability of the subscales ranged from .76 to .91. Criterion validity between the developed tool and empathy (r=.26, p <.001) was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is scale can provide scientific and empirical data whe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curriculums or multicultural empowerment programs regarding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구성요소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ultural Competence Dimension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한경아;문희;선춘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39-250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표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양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문화적 역량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검색은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수행하였으며, 2010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 및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문헌추출은 PRISMA 가이드 라인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총 1,175편의 논문 중 67편이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차지하는 구성요소로는 문화적 인식이었으며 문화적 지식, 문화적 기술,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만남, 문화적 태도, 문화적 행위, 문화적 갈망 그리고 문화적 수용성, 문화적 경험, 문화적 안위, 문화적 윤리, 문화적 신념, 문화적 실천, 동기부여와 호기심, 문화적 감정과 공감 등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각 사회에서 필수적인 합의와 다각적인 접근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