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B-Grade Cultural Contents to Small City Marketing Strategy: Focused on the Case of Chungju City, Korea

B급 문화콘텐츠의 활용을 통한 소도시 마케팅 전략: 충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Kwon, Eva (Department of Digital Contents, Konkuk University) ;
  • Lee, Byung-min (Department of Digital Contents, Konkuk University)
  • 권경인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22.03.10
  • Accepted : 2022.03.28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small city marketing strategies using B-grade cultural content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ase of Chungju City which applied B-grade cultural contents to city marketing. The process using B-grade cultural contents to small city marketing was investigated and hash-tags and comments on social media were coded and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lso, the details were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 in charge. The result has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B-grade cultural contents describing th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B-grade culture as subcuture. First, publicity material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B-grade culture such as retro, puns, and escape, show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on/participation/empathy. Second, improbability, intertextuality, extensibility, subversiveness, and authenticity were the five main factors for responses and empathy from the audience. Third, the ripple effect was formed through the simple narrative structure of 'intro-conclusion'. Finally B-grade cultural contents of Chungju showed new possibilities for sustainable small city marketing through the formation of new cultural assets.

본 연구는 B급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소도시 마케팅의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을 충주시의 B급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으로 선정하고, 온라인 홍보물에 나타난 B급 문화콘텐츠의 특징을 통해, 지역에서의 그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해시태그와 댓글 등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코딩 및 분석하는 동시에, 지자체 담당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세부사항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충주시 홍보물은 일반적 B급 문화의 복고/말장난/탈피 등의 특징을 보여주면서도, 특히 소통/참여/공감의 향유 과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분석 결과로 비개연성, 상호텍스트성, 확장성, 파괴성, 진정성이 호응·공감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기-결'의 단순한 서사구조를 통해 파급력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충주시의 B급 문화콘텐츠 활용의 사례는 문화자산 형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마케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건국대학교 우수연구인력 양성사업 지원에 의한 논문임

References

  1. 권경인, 2019, "디지털 원근법을 결정하는 비원근법적 요소로서의 공감: '좋아요'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춘계학술대회, pp.163-171.
  2. 김기덕, 2003,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1, pp.5-27.
  3. 김수환, 2011, "웹툰에 나타난 세대의 감성구조: 잉여에서 병맛까지," 탈경계 인문학 Trans-Humanities 4(2), pp.101-123. https://doi.org/10.1353/trh.2011.0021
  4. 김종민, 2016, "B급 유머광고의 표현기법 사례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7(1), pp.133-148.
  5. 김훈, 2010, "도시마케팅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마케팅 44(2), pp.44-48.
  6. 김훈.송윤환, 2007, "논문: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 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국제지역연구 11(1), pp.562-586.
  7. 문관규, 2013, "우디 앨런 영화에 나타난 코미디 전략과 상호텍스트성 연구," 영화연구 56, pp.129-154.
  8. 민웅기.김남조, 2009, "관광자의 소비문화와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담론 연구," 관광연구논총 21(2), pp.61-82.
  9. 박민하.이병민, 2019, "홍대앞 사례를 통한 문화적 포용성 개념의 적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 pp. 539-554. https://doi.org/10.23841/EGSK.2019.22.4.539
  10. 배은석.박해긍, 2016,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8, pp.173-199.
  11. 손승호, 2015,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45-59. https://doi.org/10.23841/EGSK.2015.18.1.45
  12. 송준민.김소라.남기범.이병민, 2018, "글로컬시대 동아시아 도시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기반한 장소만들기 전략," 국제지역연구 22(3), pp.293-317. https://doi.org/10.21212/IASR.22.3.11
  13. 신정숙.이혜주, 2013, "창조적 문화 콘텐츠 서비스를 통한 지속가능한 소도시 활성화 사례 연구," 지속가능연구 4(2), pp.1-17.
  14. 윤은상.이민아.유우현, 2017, "근거이론에 기반한 메디컬웹툰의 수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10(2), pp.33-54.
  15. 이남희, 2017, "지역문화콘텐츠 구축과 디지털 지역학," 인문콘텐츠 47, pp.9-23.
  16. 이무용, 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41(1), pp.39-57.
  17. 임대근, 2014, "문화콘텐츠 개념 재론再論,"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제4권, pp.11-19.
  18. 임석회, 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pp.365-386.
  19. 정수희.이병민, 2016,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관광연구논총 28(4), pp.55-80.
  20. 조주영.안숭범, 2015, "한국 'B급 영화' 정체성 탐색을 위한 비평장 고찰," 인문콘텐츠 37, pp.45-71.
  21. 태지호, 2016,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의 토대에 대한 모색," 인문콘텐츠 41, pp.75-96.
  22. 홍난지.박진우, 2014, "병맛만화의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0(3), pp.149-168.
  23. Corsico, F., 1994, "Urban marketing, a tool for cities and for business enterprises, a condition for property development, a challenge for urban planning," In G. Ave & F. Corsico (Eds.), Urban marketing in Europe, pp.75-88.
  24. Van den Berg, L. and Braun, E., 1999, "Urban Competitiveness, Marketing and the Need for Organising Capacity," Urban Studies 36(5-6), pp.987-999. https://doi.org/10.1080/0042098993312
  25. 髙原一隆, 食のB級グルメと地域活性化に関する実証研究, 季刊北海学園大学経済論集, 2013.
  26. 박세훈, 인구감소시대 지방 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2020.
  27. 박양호.이원섭.김창현.박인권.임지영, 2003, "소도시 활성화를 통한 국토정주체계 구축방안," 영천시.
  28. 신정철.김의식.김형진, 2004, 지방중소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9. 전영옥, 2006, 新문화도시 전략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30. 한상욱.김정연.김지훈, 2015, 소도시와 주변지역을 연계한 통합적 지역재생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충남연구원.
  31. European Commission, 2016, Quality of Life in European Cities 2015, Flash Eurobarometer 419.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Regional and Urban Policy.
  32. United Nations, 2014,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14 Revision (CD-ROM edn).
  33. 김혁주, 2020, "로컬크리에이터의 등장," 비로컬, p.5.
  34. 닝왕, 2004, "관광과 근대성," 일신사.
  35. 유승호, 2012, "당신은 소셜한가?," 삼성경제연구소.
  36. 이병민 외, 2021, "큰 꿈을 키우는 작은 도시들: 창조적 장소만들기와 브랜딩 전략," 푸른길.
  37. 이형석, 2013, "B급 문화, 대한민국을 습격하다," 북오션.
  38. 태지호, 2014, "공간형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39. Anselm L. Strauss and Juliet M. Corbin,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ns.
  40. John W. Creswell,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ns.
  41. 궁중문화축전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royalculture
  42. 넥슨 코리아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NEXON.KR
  43. 매일경제, 2021, "코로나 우리에겐 기회였다"...검색량 폭발한 인기 여행 도시 4곳,"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1/09/846155/(최종열람일: 2021년09월01일)
  44. 미디어 오늘, 2010, "'막장'드라마 이어'병맛'만화가 뜬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360 (최종열람일: 2021년09월01일)
  45. 연합뉴스, 2020, "각자의 몸에 맞는 옷 입는다"...100만 대도시 4곳 특례시 '환영'", https://www.yna.co.kr/view/AKR20201209151300052(최종열람일: 2020년 12월9일)
  46. 연합뉴스, 2021, "'코로나 1년' 유명 관광지 지고 한적한 소도시 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120117500030?input=1195m (최종열람일: 2021년01월21일)
  47. 조선일보, 2020, "B급 홍보 성과는 A급... 병맛나는 충주시 영상, 클릭을 부르고,"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0/09/26/ZL5SDNPJPJHHZNPAUEVWSPFO2I/ (최종열람일: 2020년09월26일)
  48. 조선일보, 2021, '인구 줄고 실업률 늘고... 코로나가 부른 도시의 쇠퇴', https://www.chosun.com/economy/mint/2021/10/01/UZRXQT4QMNBIJDZRZOV624WO44/(최종열람일: 2020년12월9일)
  49. 충주시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goodchungju
  50. 충주시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oodchungju
  51. Forbes, 2012, Small Cities Are Becoming New Engine of Economic Growth https://www.forbes.com/sites/joelkotkin/2012/05/08/small-cities-are-becoming-the-main-engine-of-economic-growth/?sh=31855a971730
  52. Joel Kotkin, 2012, Small Cities Are Becoming New Engine of Economic Growth,https://www.forbes.com/sites/joelkotkin/2012/05/08/small-cities-are-becoming-the-main-engine-of-economic-growth/?sh=b052841730dd(최종열람일: 2020년 12월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