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awareness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 전공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화적 자각 (Cultural Awareness of Students in a Nursing Education Program)

  • 오현진;김현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454
    • /
    • 2013
  • Purpose: South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rsing discipline faces the need to educate its students in cultural competence to meet the health care needs of an ethnically diverse popul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suggesting that nursing programs provide thi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nursing students' cultural awareness in a nursing education program. Methods: Four hundred thirty-three nursing students at 4 universities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hich was hel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2.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via questionnaires based on the Cultural Awareness Scale(CAS), and demographics included gener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mean cultural awareness score was 4.54, which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studies completed in other countries. The highest rating was in the cognitive awareness subscale, and the lowest was in the general education experiences subscale in CAS. The level of cultural aware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ose who had experienced overseas travel. Those students also perceived a greater need for cultural education. Conclusion: The study's finding suggest the need for a transcultural nursi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enhance the level of cultural awareness in Korea's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인식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Cultural Awareness of Immigrants for Marriage, Foreign Workers in Korean Nursing Students)

  • 김경숙;유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31-539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to students nurses' cultural awareness toward immigrants for marriage and foreign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7 nursing students in C city in Ch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cultural awareness was 3.67. The degree of cultural awaren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multiculture and age. The variables predicting cultural awareness were social distance of foreign workers, emotions of immigrants for marriage and age.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6% of the variance of cultural awareness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education related multiculture should be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to reduce the social distance between students and foreign workers and enhance positive emotions for immigrants.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athy on Cultur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Hwang, Ji-Min;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31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A total of 529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nd included as subjects. PASW Statistics for Windows ver. 18.0 was us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critical thinking sub-domains, cognitive integr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Empathic ability had the highest acceptance factor among the sub-domains. Cultur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domains, while cultural knowledge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 age, grade, religion, and economic level influenced the cultural capacity.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were high when there were foreign visiting experiences. Cultural awareness, sensitivity, skills, and knowledge were high when subjects had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p<0.05). Cultural awareness, sensitivity, skill, experience, and knowledge were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which cultural sensitiv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p<0.001).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skill, and experience among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 sub-domains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awareness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openness, prudence, and perspective-taking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openness, and empathic concern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kill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creativity, and conductivity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experience included prudence, objectivity, perspective-taking, and personal distress (p<0.001).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knowledge included creativity and conductivity (p<0.001). The results indicate that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be equipped with cultural competence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and optimized dental hygiene courses should be provided for multicultural subjects.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와 진로인식 (Career Interest and Career Awaren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1-1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성별, 연령별, 다문화 여부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과 전남의 4-6학년 초등학생 341명(다문화: 165명, 일반: 17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흥미는 성별 주효과가 있었는데, 탐구형은 남학생이 높고, 예술형과 사회형은 여학생이 높았다. 다문화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로인식은 다문화와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다문화의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태도 및 진로인식 총점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성별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인식 총점에서 유의하였으며 여학생이 높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을 보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으며, 진로인식의 경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직업세계 인식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전 영역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의 상관관계는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보다 뚜렷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이 진로인식과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여부가 직업세계 인식과 진로태도, 진로인식 총점에 대해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진로인식에 영향력 있는 진로흥미는 사회형과 예술형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의 영향이 컸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관련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국민정체성과 위협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Threat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Moderating Effect of Living in Ethnic Places -)

  • 박서연
    • 지역연구
    • /
    • 제35권1호
    • /
    • pp.19-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정체성과 위협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접촉이론이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3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정체성은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위협의식이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간 관계에서 사이에서 완전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위협의식의 부정적인 효과는 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외국인에 대한 위협의식을 줄이기 위한 다문화 인식교육이 필요하며, 외국인과 한국인 간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예방하고 조정하는 지역사회 및 공동체 차원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농업·농촌의 사회·문화적 기능 가치 평가 (Assessing Economic Value of Social-cultural Function of Korean Agriculture)

  • 성재훈;김수석;유찬희;조원주;강경수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15-26
    • /
    • 2020
  • Although the demand and awareness of public regarding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ould increase recently, the sustainability of them has continuously decreased. To deriv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ements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is study analyzed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its determinants by uisng contigent valua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positively affected b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interest in problems regarding agriculture in Korea, awareness of soci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experience in rural life. These results would imply that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awareness and experiences increase the value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addition, the results imply that more divers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are required in order to change awareness of future generations in response to decreases in population having experiences in agriculture and rural life due to urbanization. Las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about 35,600 won, and total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about 998.3 billion won. This is much larger than the government budget on enhancement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2019. This difference between government budget and the total willingness to pay implies that Korean government would be required more positive policies to maintain and enhance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공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Empathy on Cultur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김경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41-24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공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광주와 전남 지역에 소재한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총 20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r=.451, p<.01)과 문화적 공감(r=.582, p<.01)은 문화적 역량에 유의하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공감(β=.422, p<.001), 다문화 인식(β=.222, p<.001)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0.5%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공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이러한 방안을 개발할 때 다문화 인식보다는 문화적 공감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Career Perception &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Local Children Centers' Service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 장선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3-204
    • /
    • 202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N시 지역아동센터 22개소에 다니는 19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몰입, 진로인식, 진로발달,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PC+ 25.0의 SPSS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인식, 진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는 자기효능감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커지고, 문화프로그램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긍정적 영향이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도서관 및 지역 특성이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brary and Local Characteristics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Library Users)

  • 박지영;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66
    • /
    • 2017
  •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인이 겪는 편견과 차별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다문화 인식이 고양될 필요가 있으며, 공공도서관은 시민이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과 기회를 넓혀 나가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시민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및 지역의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 일반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떤 특성이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별로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도서관 특성이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전반적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 문화다양성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및 음운인식 능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Working Memory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betwee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박유린;권도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25-5032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과 음운인식능력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D시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중인 다문화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이었다. 작업기억을 검사하기 위하여 K-TTFC-2를 실시하였고, 음운인식능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아동들의 연령을 고려하여 음소수준의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능력 중에서 음소 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아동과 일반아동의 하위과제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음 짝짓기(어중 종성), 단음절 단어에서 중성 대치하기, 음 전환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아동의 음운 및 작업기억 결과를 고려한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