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28초

문화콘텐츠 관련 융복합 기업들의 주가동향 및 향후 투자가치 분석 (Analysis of a Stock Price Trend and Future Investment Value of Cultural Content-related Convergence Business)

  • 최정일;이옥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5-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종합주가지수와 코스닥지수,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이 높은 오락 문화, 디지털콘텐츠 지수를 이용하였다. 지난 2004년 3월에서 2015년 7월까지 총 597주 동안 각각의 주가지수 및 수익률 동향을 파악하였다. 각 주가지수의 수익률, 변동성, 상관관계, 동조화현상 등을 비교 분석하여 콘텐츠관련 주식들이 투자가치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향후 문화콘텐츠 산업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았을 때 관련 주식들의 투자 가능성에 기대를 걸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문화콘텐츠 관련 주식들이 더 높은 상승률을 보여주었다.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점 투자가치 메리트가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향후 문화콘텐츠 산업이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들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이 이어지면서 문화콘텐츠관련 기업들의 투자가치 상승에 많은 기대를 걸어본다.

A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on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A Study of Ten Years (2004-2013)

  • Shin, Dong-J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5호
    • /
    • pp.81-92
    • /
    • 2014
  • Purpose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opics and trends in international marketing and cross-cultural management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one of the leading journal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marketing,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was chosen for research. A total of 199 articles were identified from a time span of ten years (2004-2013). SPSS software was used for cod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 This study revealed some of the factors on which cross-cultural management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international marketing. Of the 199 articles in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64 articles related to cross-cultural management. Conclusions -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comparing general articles with articles related to cross-cultural management is unprecedented.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the impact of cross culture o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market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be employed as a reference for gaining insight into the trends and influence of cross-cultural management in international marketing.

Cultural Archetype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Wedding

  • Ahn, In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37-49
    • /
    • 2012
  •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a contextual study of the wedding customs, wedding procedures, and wedding costumes included in Korean traditional wedding culture, making use of cultural contents which form cultural archetypes. The range of wedding customs studied are set limits from the Joseon dynasty to ancient times, and, for wedding procedures and costumes, to the Chosun dynasty, when a wedding ceremony became the norm. Only wedding ceremonies performed among ordinary classes are includ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dding ceremonies and costumes for court are excluded. The cultural archetypes developed within these boundaries suggest prior cultural content, developed beforehand. The research methods are focused on document records inquiry and genre paintings during the Joseon era, using museum resources as visual materials.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Firstly, wedding customs and procedures observed among folk materials are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Secondly, the brides' and grooms' wedding costumes are also presented chronologically, differentiated by class-characteristics.

A Preliminary Study on the Roles of Fe Content and Neoformed Ca-rich Minerals in the Coloration of Ceramic Glazes

  • Lee, Min Hye;Han, Min Su;Kim, Ji Hye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5-283
    • /
    • 2020
  • Iron oxides are the essential coloring oxides in traditional ceramic glazes. However, when Fe is involved in the coloration in the form of ions or colloids in glazes with low Fe conten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iron oxide phases. Generally, in many these glazes, Ca-rich minerals are observed by X-ray diffraction (XRD) or microscopic images, owing to their devitrification by the high Ca content.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coloration in the glazes while mainly focusing on neoformed Ca-rich minerals and Fe content. An experimental firing was carried out to produce tree ash glazes, with pine tree ash and Buyeo feldspar. In the case of oxidation glaze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and XRD patterns did not exhibit any Ca-rich crystals, and all the visible light reflectance spectra lines exhibited a similar shape. In contrast, the reduction glazes divided into blue glazes and other colored glazes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ir reflectance spectra.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Ca-rich minerals on the glaze color was more pronounced than the blue color of the reduction glazes when the Ca and feldspar contents were sufficiently high and low, respectively, to form wollastonite. As the Ca content increased and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reduction glazes changed, the neoformation of the Ca-rich minerals, such as wollastonite, anorthite, diopside, and akermanite was sequentially observed.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Content of Bronze Mirror

  • Jo, Young Hoon;Kim, Jikio;Yun, Yong Hyun;Cho, Nam Chul;Lee, Chan Hee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2-369
    • /
    • 2021
  • In museums, exhibition content focuses mostly on cultural heritage's historical values and functions, but doing so tends to limit visitors' interest and immersion. To counter this limitation, the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edia art exhibition fusing bronze mirro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conservation science. First, for the exhibition system,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ronze mirror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otion recognition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the projector. Then, a scenario of 17 missions in four stages (production process, corrosion mechanism, scientif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mporal spectrum. Additionally, various media art effects and interaction technologies were developed, so visitors could understand and become immersed in bronze mirrors' scientific content. A user test was evaluated through the living lab, reflecting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90.2 points). Qualitative evaluation was generally positive, with comments such as "easy to understand and useful as the esoteric science exhibition was combined with media art" (16.7%), "wonderful and interesting" (11.7%), and "firsthand experience was good" (9.2%). By combining an esoteric science exhibition centered on principles and theories with visual media art and by developing an immersive directing method to provide high-level exhibition technology, the exhibition induce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is exhibition's content can become an important platform for expanding universal museum exhibitions on archaeology, history, and art into conservation science.

3차원 디지털기술 적용 건축문화재 콘텐츠 현황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ontent Applied to 3D Digital Technology)

  • 정성주;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88-198
    • /
    • 2021
  • 본 연구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적인 3차원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통한 디지털 자료를 구축하며, 다양한 콘텐츠 활용에 3차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도록 현재 콘텐츠별 기술들을 국내외 사례들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건축 문화재의 3차원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문화재 복원 형태에서 활용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제작한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들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콘텐츠의 유형이 체험+전시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온라인을 통한 접근 방식은 적었다. 넷째 국내 IT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복원은 해외 문화유산을 복원 하는 기술로도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콘텐츠 유형과 3차원 디지털기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재 국한된 기술의 사용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디지털 건축 문화재의 현황 및 3차원 디지털 기술의 적용 방안에 대해 분석 하였으며, 3차원 디지털 기술 적용 및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개발·활용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향후 디지털건축문화재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계층 및 디지털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전통문화자원의 지역 협력을 통한 콘텐츠 창구효과 강화를 위한 연구 -'남도 르네상스' 콘텐츠와 연계 협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Window Effect of Content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 Focusing on cooperation with 'Namdo Renaissance' content)

  • 정연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101-109
    • /
    • 2017
  •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은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자원이다. 따라서 지역 문화자원을 콘텐츠로 개발하면 경제적 가치 창출과 함께 지역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남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콘텐츠 소재로 활용하고 전남도에서 추진하는 '남도 르네상스' 사업 콘텐츠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전남 시군의 자원 요소와 분석을 통해 지역 간 협업을 위해 콘텐츠 연관성을 갖는 지역으로 7개 권역을 제안한다. 권역별 상징성을 갖는 스토리를 발굴하고 체계화 할 수 있도록 "스토리 사랑방'을 제안한다. 개발된 이야기 자원을 실감미디어 제작 기술과 가상현실 플랫폼 등을 통해 체험형 콘텐츠로 개발하고 관광 콘텐츠로 확장하여 콘텐츠 창구효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콘텐츠 사업화 기반이 취약한 시군의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역 간 협력 거버넌스 확대로 공동 콘텐츠 개발 기회를 높이고 관광 콘텐츠로 활용성을 높여 지역경제 발전과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글로벌 웹 콘텐츠의 문화 특성 연구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4개국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ross-Cultural Content Analysis on Global Website in Korea, US, Japan, China)

  • 오정민;문남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5-53
    • /
    • 2010
  •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흐름 속에서, 사용자의 의식구조, 욕구, 취향을 반영하는 콘텐츠에 대한 문화 특성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다양한 콘텐츠가 활발하게 생산, 소비되는 글로벌 웹 포탈에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사용자를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적 요소를 연구하는 대표 모델인 Hofstede와 Schwartz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국가에 따라 선호하는 콘텐츠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선호의 차이가 곧 문화적 차이로 연결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분석을 위한 콘텐츠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로 문화 모델을 접목하여 국가에 따른 콘텐츠 문화 차원 지수를 도출한다. 접목한 문화 차원 모델은 양방향성이 추가된 확장형 모델로서 향후 콘텐츠 제공자나 생산자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Efficient Multicasting Mechanism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 강은비;설정은;홍예슬;최훈;문윤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3-214
    • /
    • 2016
  • 문화콘텐츠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한국경제 성장을 주도해나갈 성장 동력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의 경우 영상, 게임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 산업을 육성중에 있으나 이에 대한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의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백제 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가방 디자인 개발 - 레이저커팅 기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dern bag design using cultural content from Baekje - Focusing on laser-cutting techniques -)

  • 하승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738-754
    • /
    • 2020
  • As a cultural feature of, the relic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re suitable design content for applying with sophisticated production and delicate molding laser cutting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dern bag designs using relic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using laser-cutting techniques.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Baekje's cultural content were explored. Second, the principle of laser-cutting techniques were explored, laser-cutting techniques applied to modern fashion and bag design were examined, and bag desig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ir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bag design, from which eight bag design were developed that combine modern popularity and functionality utilizing Baekje cultural content and using laser-cutting techniques to apply the textile design developed by researchers in 2013 (modified to match laser-cutting techniq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bag were clutch, tote, shoulder, and mini. Gold, silver, brown, beige, and navy colors were arranged, based on black/white contrast. Cow, lambskin, washed snakeskin, mesh, and Saffiano leather were used. For the pattern-applying technique, this study showed that a new digital technique, which is laser-cutting techniques could be combined with contemporary bag designs. Moreover, a bag design was developed that has a modern sense and functionality as well as Korean formativeness, which is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