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전통문화자원의 지역 협력을 통한 콘텐츠 창구효과 강화를 위한 연구 -'남도 르네상스' 콘텐츠와 연계 협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Window Effect of Content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 Focusing on cooperation with 'Namdo Renaissance' content

  • 정연철 (호남대학교 문화산업경영학과)
  • 투고 : 2017.11.29
  • 심사 : 2017.12.20
  • 발행 : 2017.12.31

초록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은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자원이다. 따라서 지역 문화자원을 콘텐츠로 개발하면 경제적 가치 창출과 함께 지역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남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콘텐츠 소재로 활용하고 전남도에서 추진하는 '남도 르네상스' 사업 콘텐츠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전남 시군의 자원 요소와 분석을 통해 지역 간 협업을 위해 콘텐츠 연관성을 갖는 지역으로 7개 권역을 제안한다. 권역별 상징성을 갖는 스토리를 발굴하고 체계화 할 수 있도록 "스토리 사랑방'을 제안한다. 개발된 이야기 자원을 실감미디어 제작 기술과 가상현실 플랫폼 등을 통해 체험형 콘텐츠로 개발하고 관광 콘텐츠로 확장하여 콘텐츠 창구효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콘텐츠 사업화 기반이 취약한 시군의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역 간 협력 거버넌스 확대로 공동 콘텐츠 개발 기회를 높이고 관광 콘텐츠로 활용성을 높여 지역경제 발전과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hav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e highly likely to be differentiated content resources. Therefore, when local cultural resources are developed as content, they can be given a role as a brand symbolizing the region together with economic value cre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utiliz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 Jeonnam region as content material an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Namdo Renaissance' project contents in Jeonnam province. We propose seven regions as a region with content relevance for inter-regional collaboration through resource elements and analysis of Jeonnam cities and counties. We suggest "Story SarangBang" so that we can uncover and systematize stories with symbolic character by region. The developed story resources are developed as experiential contents through realistic media production technology and virtual reality platform and expanded to tourism contents and expanded to the window effect of contents. Also, by expanding cooperation governance between regions, it is possible to enhanc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joint contents and enhance utilization as tourist contents, thereby contributing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related industries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채금석, "문화와 한 디자인," 학고재 출판사, 2017
  2. 김상헌, 김나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식정보체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711-722쪽, 2011.
  3. 유동환, "한국 전통문화유산 콘텐츠 개발 현황과 과제," 국학연구, 제12권, 5-49쪽, 2008.
  4. 김시범,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사업화 방향에 대한 담론," 인문콘텐츠, 제27권, 171-180쪽, 2012.
  5. 송진희, "한국 전통사상과 디자인 DNA," 스마트미디어저널, 제4권, 제4호, 101-110쪽, 2015.
  6. 김영익, 김영상, "증강현실을 적용한 관광지 사물인식 실감체험 앱 콘텐츠 구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1호, 122-129쪽, 2016.
  7. 전남광주 스토리랩 프로그램 운영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5,
  8. 2015 스토리 발굴 시도민 기자단 작품집,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15,
  9. 김진형, "문화콘텐츠와 멀티유즈전략," 민속원, 2015.
  10. 가톨릭대학교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연구소, "지역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소명출판, 2016
  11. 진도군문화관광 페이지, 2017년 9월, 출처 : http://tour.jindo.go.kr/tour/tour/info/culture/001.cs?m=59
  12.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논형 출판사, 2015
  13. 임성택 편저,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대왕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