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이상' 시의 타이포그라피적 해석 (a typographic study on Yi Sang's poetry)

  • 안상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9권
    • /
    • pp.601-616
    • /
    • 1994
  • 전위시인 이상은 회화적, 건축 적 영감으로 시를 썼으며, 그의 시 세계에 타이포그리피적 표현을 구사하여 그만의 예술적 창의력을 분출하였다. 그는 문학적 언어에만 묶여 있던 언어를 해방시켜 시각적 영상언어로 승화시켰고, 그가 창조해낸 기호로 유희하며, 현실과 전총에 대해 도전했고, 질서에 대한 모험적인 싸움을 즐겼다. 각고의 과정을 통해 토해 낸 그의 타이포그라피적 결과들은 결국 우리 현대 타이포그라피 역사를 1930년대로 한층 길게 늘여 놓았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타이포그라피는 활자적 표현 기술로서 본다면 미숙함도 있겠으나 일관된 실험정신으로 고루한 관습을 깬 것은 한글 타이포그라피에 뚜렷한 현대성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를 두어, 이제 늦었더라도 그를 한국 현대 타이포그라피의 보배로운 존재로서 새로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 PDF

쌍봉사 대웅전의 조영에 관한 고찰 - 탑신부(塔身部)의 구조와 의장을 중심으로 - (A Study Building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 Focused on Structure and Design of Pagoda Body -)

  • 양태현;천득염;이재연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1호
    • /
    • pp.41-50
    • /
    • 2013
  • In Korea, only a few wooden pagodas are extant because some wooden pagodas were lost due to artificial environment like war. Fortunately, only Eight Depictions Hall(Palsangjeon) in Beobjusa temple and main hall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are extant. Though main hall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shows old style in construction and outstanding creativity, survey and investigation for the hall have been poor.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pillar part, bracket structure part, and roof part composing pagoda body section which actively reflects structure and design skill compared to floor or upper part. And for better understanding, in the part that is similar to pagoda body section of main hall or needs examples, wooden pagoda in China or Japan was referr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was known that unique skill applied to main hall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is based on plane in one room ${\times}$ one room -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has common form of wooden pagoda in appearance.

Observations on Spatial Characteristics for Successful Smart Offices and Smart Work Centers

  • Koo, Sanghoe;Lee, Hyunhee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27-33
    • /
    • 2017
  • Advances in information and mobile technologies have changed the traditional firm ways of working very flexible, collaborative and innovative, resulting in the changes in work place structures and layouts. Despite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examining the novel ways of working, which is called smart work, there is little academic attentions paid to the spatial aspects of new work places, namely smart offices and smart work centers. This research explores the spatial changes of work places that improve business efficiency and collaboration among workers suitable for the novel ways of working. Conducting in-depth field surveys on selected cases, we analyzed the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and operation policies of smart offices and smart work centers. From this survey, we observed that the new work places under study take various novel spatial forms and they have flexible operating policies such as flexible seating and flexible work hours. We also foun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change existing business practices and typical ways of performing tasks, without changing the bureaucratic spatial designs and layouts.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to examine how spatial structures and layouts of offices have impacts on space utilization, collaboration,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의과대학 신축의 건축디자인 방향성 (Architectural Design Approach of New Medical Education Building Fit for Pedagogy Changes)

  • 김남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3호
    • /
    • pp.97-104
    • /
    • 2015
  • This literature review explores relevant research and evaluation on pedagogy and physical learning spaces. This study also is intended to encourage discussion among stakeholders on the best medical school developments, in light of emerging learning trends relevant to their institutions. The study has revealed that new environments for learning are being designed or reshaped in response to changing pedagogical approaches, to incorporate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accommodate the changing abilities of new generations of learners. Formal teaching spaces for large groups with a 'sage on a stage' are becoming less common than smaller lecture rooms, although classrooms form a large component of universities and will continue to dominate in the future. However, the traditional layout of these spaces is being transformed to incorporate multiple learning modes. Classrooms should be profound places of revelation and discovery. A well-designed space has the ability to elevate discourse, encourage creativity, and promote collaboration. Within the classroom walls, a learning space should be as flexible as possible, not only because different teachers and classes require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because in order to fully engage in learning, students need to transition between lectures, group study,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individual work time.

커튼월 공사의 성능·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 (Hybrid Prototype of Performance and Prescriptive Specifications in Curtain Wall Construction)

  • 이준호;조동현;구교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33-442
    • /
    • 2014
  • 건축공사 시 적정 품질 확보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 설계기준 및 시방서는 절차를 중요시 하며 재료 치수 등을 규정하는 사양 기반이다. 공사업체의 창의성 저해 및 이로 인한 경쟁력 약화 등 사양시방서의 다양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최근 최종 결과물을 중요시 하는 성능 기반의 시방서가 제시되고 있지만 건축 분야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시방서 사례의 성능 및 사양항목 기반의 커튼월 공사 성능 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요 성능점검 시점을 도출하였으며, 각 시점별 관련 참여주체 역할을 반영한 성능점검 프로세스와 샘플시방서를 제시하였다. 전문가면담기반 검증 결과 현장적용성이 높고 공사 진행단계에서의 성능 확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었다.

공학설계활동과 팀 내, 팀 간 협력 기반 고등학생 공학 캠프 프로그램 운영 사례: 식물공장을 주제로 (Case Study on Engineering Camp Program involving Engineering Design Activity and Intra-/Inter-Team Works for High School Students: Plant factory as main theme)

  • 조경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6-58
    • /
    • 2015
  • 고등학생의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대학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비정규 공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농업 기술인 식물공장을 주제로 선정하여 공학설계 및 팀 내 팀 간 활동 중심의 공학 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의 첨단 강의실을 이용하여 38명의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참가학생들은 생물공학, 정보통신공학, 에너지공학, 기계공학 및 건축공학 등 5가지 식물공장 요소 기술 중심으로 팀 내 활동과 팀 간 협력을 통해 '교정에 식물공장 세우기'라는 최종 미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팀 활동은 8단계로 구성된 공학설계과정(문제와 필요 확인하기, 기준과 제한조건 확인하기, 가능한 해결책 찾기, 최선의 해결책 선택, 시작품 제작, 시험과 해결책 평가하기, 해결책에 대한 의사소통, 재설계 및 설계 수정하기)으로 진행되었다. 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공학설계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8점 이었고, 창의적 활동 및 탐구방법의 합리성/체계성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4.43점 이었다. 참가학생의 94%가 팀워크에 만족한다고 답변하였고, 대학(원)생들이 제공한 진로 멘토링 활동에 대해서도 참가학생의 92%가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학설계과정 및 팀 내 및 팀 간 협업을 기반한 공학 교육 프로그램은 참가 학생들의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협동심,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공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공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피렌체 르네상스와 메디치가 도서관 연구 (A Study on the Florence Renaissance and the Medici's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73-94
    • /
    • 2022
  • 피렌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람이다. 그것은 중세 인문주의자들의 고대 그리스·로마의 지식문화 탐구, 위대한 군주와 성직자의 문예적 소양과 리더십, 메디치 가문 등의 문화예술 후원, 예술가의 자유분방한 사유와 창의성, 시민의 비판적 의식과 문화적 욕구 등이 조합된 결과다. 그러나 메디치 가문이 고대 필사본과 중세 번역본을 수집하지 않았다면, 도서관을 건립하여 고전을 보존하고 제공하지 않았으면, 피렌체 르네상스는 개화할 수 없었다. 이러한 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피렌체 르네상스와 역사도서관을 개관한 다음에 메디치가의 고전자료 수집·구성을 분석하고, 메디치 도서관의 건축적 특징과 메타포를 추적하였다. 산 마르코 도서관(미켈로초 도서관), 바디아 피에졸라 도서관, 산 로렌츠 도서관(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은 지진, 화재, 복원, 이관, 압수, 폐쇄 등 무수한 난관에도 불구하고 피렌체 르네상스의 마중물이자 산실이었다. 특히 코시모·로렌초의 재정 지원, 미켈로초 설계, 니콜리 개인장서를 기반으로 1444년 개관한 산 마르코 도서관은 르네상스 시대의 최초 공용도서관이었다. 그리고 줄리오 주도 하에 1571년 개관한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의 건축적 백미는 '무지에서 지혜로'를 상징하는 미켈란젤로 계단이고, 내용적 진가는 인문주의자 니콜리와 메디치가가 수집한 고대 필사본과 초기 인쇄본이다. 요컨대 피렌체 르네상스를 논할 때 메디치가 장서와 역사도서관은 매우 중시해야 할 포인트다. 고전은 구시대 박제품이 아니라 통시적 기호학이며, 도서관은 인류 지식문화사를 조감하는 망원경이자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현미경이기 때문이다.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면 도서관은 기록을 집적한다. 따라서 비교적 역사가 오래된 국내 도서관의 소급장서 개발과 보존에도 긴 호흡과 타임캡슐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