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engineering design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초

창의설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및 종합설계실 구축 방안 (전자공학전공을 중심으로) (An Approach to Implementation of Creative Design-Oriented Curriculum and Engineering Design Complex)

  • 이재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15
  • 최근 학습자 중심의 창의설계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아직 이를 위한 교과과정 및 창의설계실 등을 충실히 갖추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창의설계교육을 위한 설계중심의 교과과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종합설계실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전자공학전공을 중심으로 기존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문설계와 요소설계를 거쳐 종합설계로 이어지는 설계중심의 공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교과과정 구성과 이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실무능력을 배양하기에 적합한 종합설계실의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트리즈의 모순분석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실습과정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TRIZ Contradiction Analysis)

  • 김태운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39-45
    • /
    • 2015
  • Many methods have been suggested for a creative problem solving approach. TRIZ approach is ranked top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because it is originated from the real patent analysis. This approach is assumed to be generic which can be applied to any types of problems regardless of problem type and its dom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reative problem solving approach using TRIZ's contradiction analysis, then introduce a case study of applying this approach to a creative design coursework. Main topic covers a creative problem solving approach, a problem definition using TRIZ contradiction analysis, finding invention principles, and problem solving from the generic approach. For the course project, Roborobo tool is adopted to implement the design concept. This coursework helps students finding a general problem solving approach, and applying a generic solution for their specific problem domain.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공학설계' 단원 신설에 따른 기술교육과 교수의 인식 분석 (Study on Recognition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Professors Introduc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Unit of High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김성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8-14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에'창의공학설계' 단원이 신설됨에 따라 창의공학설계 관련 수업을 먼저 경험한 기술교육과 교수 (professor)의 인식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과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3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16명의 기술교육과 교수에게 수집되었다.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공학설계의 교육 목표에서 문제 해결 능력 응답 평균이 가장 높고 (M=4,44), 공학체험 기회, 창의력 향상 순으로 낮아졌다. 창의공학설계 교육 내 용에 대한 응답에서는 창의 사고기법 교육 평균(M)이 3.94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발표를 위한 자료 작성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창의공학설계 교육 범위 응답에서는 아이디어 구상에서 설계, 제작을 선호하고 있고, 교수 학습 방법에서는 설계중심학습법 평균이 가장 높고, 문제중 심법과 문제해결법도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운영에서는 실습 공간 및 실습 재료비 확보, 진행 상황 점검이 필요하며, 평가에서는 작품, 포트폴리오, 발표 등 다양하고 종합된 방법을 선호하였다. 넷째,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 수업에서 작품 수준은 생활 속의 불편한 것을 개선하는 작품을 선호하였고, 작품 제작에서 어려운 점은 전공 지식의 부 족과 제품 구상이었다.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A Basic Course of Creative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 Emphasizing Experience Based Learning)

  • 이종수;민병권;윤웅섭;한재원;정효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32-4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개설하는 창의공학설계 교과내용에 대한 소개를 다룬다. 교과목 명은 창의설계프로젝트(1)이며, 본 과목은 기계공학전공으로 새로이 진입하는 학부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와 체험적 학습을 기반으로 공학설계능력을 습득하고 문제중심학습 및 설계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현하며 실제 설계된 제품의 결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교육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목의 자세한 구성과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수업내용, 문제중심학습 및 설계프로젝트를 통해 평가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해 서술한다.

창의적 설계능력을 위한 PBL기반의 요소설계 콘텐츠 개발 - 논리회로설계 교재를 중심으로 - (Contents Development of PBL-based Integrant Design Course for Creative Design Capability -Focusing on Logic Circuit Design Textbook-)

  • 이재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13-4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공학교육의 기반과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공학교육인증제도에서 핵심 교육요소로 강조하고 있는 효과적인 공학설계를 위한 PBL기반의 설계교육방법과 이를 IT학부의 필수 요소설계과목의 하나인 논리회로설계에 적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한 사례를 제시한다. 요소설계는 요소기술 중심의 설계이므로 종합설계의 경우와는 달리 설계구성요소 및 현실적 제한조건들의 범위가 제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창의적 설계교육이 이루어지려면 요소설계과목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PBL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개발한 콘텐츠(교재)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 of Creative Potential on Innovation Behavior: focusing on Design Thinking

  • KIM, Taehy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8호
    • /
    • pp.65-7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based programs on creative potenti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otential and creativ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four-step process. First, the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Second, a total of three experts were reviewed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program. Third, a workshop-based design thinking program was conducted four times. Fourth,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reviewed through data analysis. Results: The design thinking-based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creative potenti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As another hypothesis of this study, by applying the design thinking-based program, it wa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creative potential has a direct, indirect effect, and a mediating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Conclusions: These results provide usability for design thinking in terms of direction for creativity-base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Finally, design thinking can be used to develop and utilize new services and discover new ideas, especially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In addition, it means that the level of innovation ac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dividual's creative potential.

Capstone Design Projects based on Invention Education

  • Shim, Joon-Hwan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31-34
    • /
    • 2012
  • This paper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capstone design projects based on invention education in Department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This course is referred to as Creative Engineering Design for spring semester of 4th-year undergraduates. The course focuses on creative thinking and cooperative mind to students by learning engineering design skills, realizing their idea through design project and recognizing practicality of their systems.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intellectual property (IP) education is very helpful. If engineering students take training program in IP, it will be very beneficial for CEOs to manage intellectual capital in many industries and to ensure competition power in their business. This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take interest in connecting their ideas with inventions through invention education reinforcing an invention and a patent exercis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ay help to develop new curriculum of capstone design project including IP education in many universities.

Capstone Design Project by Team Activities

  • Shim, Joon-Hwan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37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capstone design project by team activities in Department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This course is referred to as Creative Engineering Design for spring semester of 4th-year undergraduates. The course focuses on creative thinking and cooperative mind to students by learning engineering design skills, realizing their idea through design project and recognizing practicality of their systems. The intent of the course is to provide a true "capstone" experience, where students can combine their skills to achieve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a project. This paper describes class process and evaluation method, and cooperative works with mentees and industrial mentors connected through Hanium network for IT mentoring activities.

  • PDF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공학제품 설계수업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경험 연구 (An Study on Creative Problem Solving Experiences in Engineering Production Design Class Using Design Thinking)

  • 류은진;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23-233
    • /
    • 2021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수업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의 A대학에서 2018년 2학기 정규수업으로 개설된 공학제품 설계 수업에 등록한 1학년 학생 37명(남 27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창의적 성향과 문제해결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Hotelling's T-square test와 t-test를 통해 사전-사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성향 중 인내와 열정, 유머, 호기심, 진취적 성향이, 문제해결력 중 문제해결 행동이 유의미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성찰일지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정을 살펴본 결과, 디자인씽킹의 공감하기와 프로토타입 및 테스트 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이 보다 많이 나타나고, 정의하기/발상하기와 아이디어 내기 단계에서는 창의적 활동이 보다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자인씽킹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항상될 수 있음을 나타내주며, 효과적인 디자인씽킹 활용 수업을 위한 교수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창조적 사고 방법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트리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aption of Creative Thinking Methodologies in the Spatial Design - Focused on TRIZ -)

  • 김성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3-4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at creative thinking methodologies can be adopted in the spatial design. The concept of 'Convergent' and 'Divergent' used in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by Guilford is chosen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creative thinking methodologies. Technical and physical contradictions is analyzed for '40 inventive principles' of TRIZ and spatial design works. Through this study, we recognize that the creative thinking methodologies consist of analysis, idea generation and evaluation phase. The psychological inertia that limits the creative thinking should be move away from solving problem,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have peculiarities to be adopted in condition and to be harmonized, and to set the direction of solving technical problems through to reach the target point integrated way of thinking is needed. '40 inventive principles' by Altshuller are based on engineering and useful in many areas of fields. However some principles are not accepted in design process because these are not considered in design field and paradigm is changed from machine to nature. Nowadays, nature is a prime issue for sustainable human life, because it has sustainable recycle structure and saving energy ways. Thus, creative thinking, including TRIZ is useful in design education and progress, and should be an essential element to get a new design parad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