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lass environment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창조적 계층 이론을 통해 본 NHN 사옥의 작업환경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NHN Building Workplace Designs based on the Theory of Creative Class)

  • 심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81-189
    • /
    • 2012
  •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popular keyword used in today's society due to it's important role as the major post modern economic drive force. Richard Florida calls the group of people who work in this creative industry as the 'Creative Class' and this theory has affected many organizations and cit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work environment of this class, so many designers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y may encourage creativity in the actual physical set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reative Class' and their working styles in order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and present a case study of NHN Company main office building. The researcher has indicated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such as 'Individuality', 'Socialization', and 'Experiential' and through the developed framework found that in NHN building 'Socialization' through overlapping territories and programs, spatial openness were used as key methods of encouraging creativit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may be used as a useful guide in designing various types of creative work environment for the future.

  • PDF

창조도시와 창조계급: 개념적 논제들과 비판 (Creative City and Creative Class: Conceptual Issues and Critiques)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69
    • /
    • 2014
  • 창조도시 이론은 기본적으로 탈산업화 과정 속에서 '문화적 전환'에 따른 경제환경의 변화와 사회공간적 재구성간 관계를 반영한 이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창조도시 이론의 발달 배경으로서 지식기반경제 또는 문화경제의 접근방법들을 고찰하고, 창조도시의 개념화에서 구분되는 유형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러한 창조도시 이론을 직접 논의한 국내외 연구 동향에서 비판적 관점들을 정리하고, 이의 함의를 신자유주의와 관련시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창조성 또는 창조경제의 사회적 구성으로서 창조계급과 공간적 구성으로서 창조도시에 관한 개념적 논제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창조계급의 개념은 '계급' 개념과 범위의 모호성, 계급-편향성과 경제 특권적 사고, 상품화 또는 시장 가치화의 촉진, 탈공동체적 개체화, 유연적 노동시장의 규범화, 도시 경제의 성공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창조도시의 개념은 (대)도시에 한정된 관심, 국가적 및 지구적 차원 무시, 탈맥락적 규범적 전망, 신자유주의적 도시의 정당화, 창조계급 유치 및 경제 발전과의 인과성 입증 부족, 도시 및 국토 공간의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 PDF

고등학교 수업 실재를 통한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가능성 탐구 (Investigat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 involving creative factor in High School)

  • 황혜정;고호경;한세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745-7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수학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 사례를 발굴하고, 해당 수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창의적인 수학 수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이면서도 적합하게 수행되는 창의적인 수학 수업을 발굴하여 창의적인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특정 및 요소를 '과제 특성', '교사 역할', '수업 환경'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요소를 근간으로, 현재 창의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 2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수업을 관찰 분석하여, 교사 자신이 생각하는 창의 중심의 수업의 주요 요소 및 각 수업에서의 창의 요소별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의 결과를 토대로 여러 연구자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수렴하여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안 방안을 모색하였다.

문화사회와 에코시스템 (A Culture Society and the Ecosystem)

  • 김화임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73-94
    • /
    • 2012
  • In the present context of systemic global crisis, this paper focuses on a sustainable society. Throughout the World there are vast members of the unemployes. A secure job lasting a lifetime has become more and more rare. Nowadays majority of jobs are part-time or temporary. $Andr{\acute{e}}$ Gorz found a solution in a policy of the progessive reduction in labor time. This is the potential which automated production opens up for a culture society. Nevertheless, Gorz's proposal is based on utopion ideals. This paper focuses on a dynamic force for a culture society, especially art, learning and the third sector. Adrienne Goehler underlines that a culture in the broad sense of the word produces economical and social productivity. In this connection Goehler give attention to 'Cultrual Creatives' and the Creative Class. Cultural creatives are comprised of peopl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culture with enlightened creativity. The Creative Class is a class of workers whose job is to create economic growth through innovation. Creativity is important for a sustainable society. Gore and Rifkin both come close to the ecological thinking. Gore claims that ecosystem of nature have a self-organizing capacity. In this context tried to prove this article that ecosystem is closely connected with a creative environment.

Role-playing을 적용한 가구 디자인 수업 개발 사례 연구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of Furniture Design Class by Applying Role-playing)

  • 인치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0-290
    • /
    • 2016
  • In design education enhancement of design methodology and creativity can be stimulated through taking on several creative roles within an interactive and enjoyable studio course. To overcome blocks to creativity I developed a intermediate course, 'Furniture Design Studio I' at the sophomore advanced level course. Inventive thinking and a sense of aesthetic are the essential element for all studnets to grow as a professional designer. And to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 I introduced a system that utilizes each element into a role-playing type of projects. Students will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underlying creativity in a more open environment. Instead of stressing to solve a lot of complicate issues, the main focus is to allow freedom of expression and creativity. Role-playing are executed in a design studio environment rather than in a psychodrama situation. There are two different type of role-playing : Inventor and Designist (Designer + Artist). Students will be able to work in groups, incorporate problem solving into their projects and concentrate on more personal creative form developments.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will enhanc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broaden their scope for innovation. Thus increases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creativity. Investigating the problems of domestic design education through these sort of special programs and developing systems that enhance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process methods.

몽골 대학에서 상업영어와 마케팅 교과간 융합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Class Model about Marketing and Business English in Mongolia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10-616
    • /
    • 2018
  • 세계적으로 다양한 창의융합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문제중심학습 바탕으로 한 창의융합교육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공학적 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 개발연구에서도 윤리의식 및 배려심, 협동심, 리더십, 소통 능력 등 인성적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케팅과 상업영어 교과간 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융합 수업의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여 수업과정 관련 교과 선정, 주제 선정, 수업설계, 수업 지도안 작성 및 문제 개발, 융합 수업 전 과정에 대한 논의, 수업 실행, 수업 평가의 단계를 설계하여 수업이 진행된 후 평가를 하였다. 마케팅과 상업영어 교과간 융합 수업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여 몽골 대학에서 적합한 교육 환경을 도입하고자 한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지식기방 사회에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시키길 필요성에 따라 과학 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를 양성한다는 전략이 몽골대학에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상황에서 무엇보다 "창의력"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술적 표현의 가치와 인성교육 및 치료의 효과와 적용 (The value of artistic expression and the effect application of human education and therapy)

  • 정길영
    • 교육철학
    • /
    • 제49호
    • /
    • pp.235-27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for solving proble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hese days, our students have so many negative problems in school and society, for example, school violence, group teasing, group outcasts, arrogate teacher's authority, school collapse, dehumanization get soused excessive and such like. We must support to make humanization through a normal art education and art class. Art, music, physical and literature education is a good methods for human education and mental therapy. The best art education is enlightening the children's imagination and curiosity. To enlighten. in art class at the school, teachers must think about enlightening the children's imagination and curiosity. Aesthetic experience includes creative activities and appreciative activities for human formation. The school must expend effort to increase the art class in each week, because students can change positively in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environment.

수학적 사고 과정 관련의 평가 요소 탐색 (Evaluation Factor related to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based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53-263
    • /
    • 2001
  •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recent performance based on assessment has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school, emphasizing student's self construction of their learning and its process. Because of this reason, peopl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math teachers are taught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degree of students'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for example, inductive and deduc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should be estimated formally in math class. However, due to the lack of an evaluation tool for estimating the degree of their thinking skills, efforts at evaluating student's degree of mathematics thinking skills and strategy acquisition failed. Therefore, in this paper, mathematical thinking was studied, and using the results of study as the fundamental basi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ree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 fundamental thinking skill, developing thinking skill, and advanced thinking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model, evaluation factors related to essential thinking skills such as analogy, deductive thinking, generalization, creative thinking requested in the situation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were developed.

  • PDF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환경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Creativity and Environment-Awarenes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nvironmental Education)

  • 최청림;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5-132
    • /
    • 2003
  • 본 연구는 제 7차 실과교육과정의 6학년 재활용품 만들기 단원에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환경의식 및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를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서 초등 실과 환경 단원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초등실과환경 단원에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간의 환경의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실과수업을 받은 아동은 환경의식 점수가 의의 있게 향상되어,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환경의식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실천적이고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생활 습관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환경 보존 실행의지가 강화되고, 스스로 찾은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을 전개하고 환경관련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기능이 배양된 것으로 학생들의 환경의식과 실천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용 만들기가 우리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둘째, 실과교과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적용은 아동의 창의성 검사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주변의 환경에 대해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탐색 영역을 넓히려는 민감성이 생겨났고, 의식적, 무의식적 강박 관념을 없애고 일단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수용하고 활용함으로써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커졌으며, 자신에게 익숙한 관점에만 고착되어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경향에서 벗어나 고정적인 사고의 틀을 깨고 발상 자체를 전환시켜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생각이 변환되어 자기만의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된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초등실과환경 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 모형의 적용은 아동의 환경의식과 창의성을 신장시킨다고 할 수 있다.

  • PDF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집단창의성과 창의적 환경 (Group Creativity and Creative Environment by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16-842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집단창의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한 창의적 환경과 집단창의성간의 상관에 때하여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창의적 환경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교실환경으로 구분되며 학생들의 그룹수업 경험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31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교실환경검사와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가 각각 실시되었으며 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집단으로 구성한 뒤 에세이 작성을 실시한 후 전문가에 의해 채점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에 의해 통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과 여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점수는 의미있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의 집단창의성과 환경과의 상관은 남학생들의 상관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언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