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 involving creative factor in High School

고등학교 수업 실재를 통한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가능성 탐구

  • Received : 2010.09.01
  • Accepted : 2010.09.1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In this research, cases of classes for enhancing mathematical creativity are examined in order to explore how to improve methods of math instruction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design a creative, efficient math class of superior quality, supplementing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a. To this end, features and elements of creative math clas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signment characteristics, teacher's role, and teach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two high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of creative instruction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ir classes, the research identified main elements of creative clas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The research also explored how to revitalize creative math class by eliciting opinions of resear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수학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 사례를 발굴하고, 해당 수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창의적인 수학 수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이면서도 적합하게 수행되는 창의적인 수학 수업을 발굴하여 창의적인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특정 및 요소를 '과제 특성', '교사 역할', '수업 환경'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요소를 근간으로, 현재 창의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 2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수업을 관찰 분석하여, 교사 자신이 생각하는 창의 중심의 수업의 주요 요소 및 각 수업에서의 창의 요소별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의 결과를 토대로 여러 연구자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수렴하여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안 방안을 모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8).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8).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307-323.
  4. 김도한 외 (2009). 2009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1.
  5. 김도한 외 (2009). 2009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2.
  6. 김부윤․김철언․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논총 26, 87-101.
  7. 김부윤․이지성 (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결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155-163.
  8. 김부윤․이지성 (2007).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3), 293-302.
  9. 김선희 (2005). 수학사에 근거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한국수학사학회지, 18(2), 75-94.
  10. 김진호 (2005). 수학자가 수학을 탐구하듯이 학습자도 수학을 탐구할 수 있는 방안 모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1), 87-101.
  11. 김흥원․김명숙․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기초연구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96-26.
  12. 신희영․고은성․이경화(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 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13. 심재영 (2008). 장기 수행평가를 통해 본 고도의 영재학생 교육의 시사점-예비과학신동 5명의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1(3), 65-90.
  14. 이강섭․심상길 (2007). 교구를 활용한 활동에서 창의성 평가를 위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2), 227-237.
  15. 이강섭․황동주 (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과의 상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4), 503-519.
  16. 황우형․최계현․김경미․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17. 황혜정․김홍원․박경미․김수환․김신영․채선희 (1997). 창의력 신장을 돕는 중학교 수학과 학습 평가 방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97-10-1.
  18.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42-53).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
  19. Hashimoto, Y,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problem solving.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86-87.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5-8
  20.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2), 236-260. https://doi.org/10.4219/jeg-2006-264
  21. Pehkonen, E. (1997). The state-of-art in mathematical creativity. Zentralblatt fü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63-67.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1-z
  22.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75-80.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