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Employmen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창조 일자리 분류체계 및 추세분석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reative Employment in Korea)

  • 이경선;박태준;정광헌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237-25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creative employment and analyzing trends of the creative employment in Korea. Many countries have pursued the creative economy to generate new jobs and tried to estimate the creative employment as a way to measure the creative economy.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creative employment is still ambiguous partly because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industries and the direction of economic policies that each country has. Therefore, we propose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creative employment, which reflects the creative economy in Korea. Then, we examine how the creative employment changes in Korea. Our results show that the jobs requiring the highest level of creative skills increase stably and steadily over the years.

창의 트라이던트를 활용한 국내 창의인력 산출에 관한 연구 (Creative Trident Approach to Measuring the Creative Employment in Korea)

  • 임지영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47-88
    • /
    • 2017
  • 창조 경제 내 문화산업과 창의성이 선진국가의 정책적, 학문적 관심사가 된지 이미 오래다. 이에 관한 핵심적 주제 중 하나인 창의인력 측정법 연구는 200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산출을 목표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금까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창조경제'란 국가적 모토 아래 창조산업과 창조인력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 연구로 표출되기 시작했으나, 창의인력 측정에 대한 방법론 연구는 아직 부재하다. 이와 더불어 창의인력 지도화 연구의 기초적 토대가 되는 창조산업이나 창조직업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논의 또한 부족하며, 이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분류기준 역시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고용, 노동 자료에 산업적 접근과 직업적 접근이 모두 가능한 창의 트라이던트(Creative Trident) 기법을 도입해 창의인력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전 산업과 직업에서 활동하는 국내 창의 인력의 크기와 모습을 측정할 수 있었고, 내재 인력의 크기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직 비정규직이 팀 내 수용 및 창의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계 없는 비정규직과 과도기적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the Professional Contingent Workers on Team Members' Acceptance and Creative Team Performance)

  • 채희선;박지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5-158
    • /
    • 2020
  • Purpose - To understand the growing interests in the professional temporary workforc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professional temporary workers and their different effects on creative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 By sub-classifying professional temporary workers as boundaryless workers and transitional workers, this study developed propositions to provide comprehensive framework for directing meaningful topics for future research on professional temporary workers. Findings - This study suggested that two types of professional temporary workers may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ir work efforts for getting approval or acceptance from the team members and for achieving creative contributions in teams. Specifically, drawing on expectance theory, social identity theory and resource-based theory,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task-oriented vs. relational-oriented acceptance), employment duration(short-term status vs. long-term status), contract security(volition being temporary worker) and creative performance for boundaryless workers versus transitional worke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temporary workers by showing that creative performance may vary by employment types.

IT 업계 고용 창출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SFs for Employment in IT Industry)

  • 성태경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33-1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조경제의 중심 산업인 IT 업계에서 정보기술의 활용이 고용 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기업의 전략 및 정보기술의 활용과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그리고 기업의 전략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고용 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데 있다. 187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창조경제 산업계에서 정보기술은 효율, 위협, 기능, 공격, 그리고 통합 모든 차원에서 경쟁력을 제공하여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의 전략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고용 창출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는 각 전략에 따라 그 효과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명되어, 경영 전략 수립 과정에서 정보기술의 활용 특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창의적 인력 양성을 위한 융합적 교육 방안 - 외국어 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Proposal about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e Manpower Training - Focused on Foreign Language Department's students)

  • 이정원;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987-199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 계열과 IT 계열의 창의적 인력 양성을 위한 융합적 교육 방안에 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학계와 기업, 그리고 정부는 지금까지 대학졸업자의 취업을 위해서 수많은 변화와 노력을 시도하였고,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하고자 여러 사업과 계획들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졸업생의 취업률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남아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 및 전문대학의 취업률을 고찰하고,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저조한 외국어 계열 대학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 IT 계열과의 융합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세부적으로 창의성, 차별성, 현지성, 그리고 융합성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패션기업의 조직유형이 디자이너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shion Companies' Organizational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Fashion Designer)

  • 신정숙;소황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133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ashion companies' organizational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fashion designer. As well a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the organizational typ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gender and age of fashion design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5 to 30 in 2015, among fashion companies' designer of Seoul metropolitan area. And 238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fashion companies' organizational types was composed of five factors(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group creative organization, external innovators' collaborative organization,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integrative thinking leader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of fashion designer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work satisfaction, employment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as composed of two factors(affective commitment, calculative commitment). The 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and integrative thinking leader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work satisfaction, but the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negatively influenced the work satisfaction. The 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and group creative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group creative organization and external innovators' collaborative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but the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negatively influenced the affective commitmen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ordinating leader organization, integrative thinking leader organization, employ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the gen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 creative organization, bureaucratic hierarchy organization,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by the age.

  • PDF

지역창조화 요인이 지역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ional Creativity Factors on Regional Growths)

  • 마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7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지역창조화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우리나라 15개 시 도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의 지역창조화 균형패널자료를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법을 통해 지역창조화와 지역성장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무형자산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의 창조적 지역환경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과 창조산업은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지역내총생산)와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조직화 부문은 하위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GRDP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조직화 부문의 창업과 기업가 정신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산 부문의 유형 무형 창조자산 영역, 조직화 부문의 융합경영과 융합행정, 경제주체 부문의 대 중견 중소기업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창조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창조화를 위한 현황을 진단하고, 추진과정과 장단기성과를 점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와 분권강화 정책을 견인할 수 있는 기초수단이 될 것이다.

문화산업에서 창조인력, R&D 기술수준 및 관용성의 역동적인 관계성 (Dynamic Relationship in Creative Manpower, R&D Technology Level, and Tolerance in the Culture Industry)

  • 최해옥;이만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81-102
    • /
    • 2009
  • Based on various employment and technology data in the cultural sector from the mid-1990s to the mid-2000s in Seoul,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oriented programs exert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manpower, R&D technology level and tolerance. After briefly introducing Seoul's trends in the culture industry, it tries to explain major reinforcing and balancing loops. The stock-flow diagram of the culture industry in Seoul is applied to estimate relativ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oriented cultural programs cultural programs. Judging from a series of simulated experiments, technology-oriented cultural programs are essential to increase creative manpower and R&D technology level in the short term. For the first half of research period, this research finds that human resource-oriented cultural programs put forth minimal impact, if they even exist at all. The trends, however, are reversed in the long term: Both size of creative manpower and R&D technology level absolutely depend on human resource-oriented cultural programs in the second half.

  • PDF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ployment Support)

  • 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03-71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취업의 관계에서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9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 조사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394명이고, 가설검증을 위해 위계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은 취업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가족취업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여 차별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부적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가족의 요구를 반영한 근무환경개선과 취업지원정책의 필요성, 국가 및 지역사회와의 신뢰감 강화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텍스타일 기반 창조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평가 연구 (A Study for Competency Enhancing of Creative Enterprise based on Textile Materials)

  • 윤혜경;최승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452-466
    • /
    • 2015
  •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a survey on educational programs after the provis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 in textile-based industries, with the aim of suggesting a method of evalu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environment required by industries and on the components required to strengthen competence based on an evaluation of the outcomes of such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of analysis included frequency & average analysis, ANOVA and portfolio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containing seven questions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six questions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three questions on educational effect and questions on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obtained through a survey of the attendants of lectures given from January 2014 to September 2014, and the respondents included 30 persons enrolled in CEO courses, 167 persons enrolled in employment courses and 101 persons enrolled in employment & start-up business cour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Looking at frequency distribution by educational course, it was shown, from highest to lowest, to be Incumbent Courses (167 persons, 56%), Employment & Start-up Courses (101 persons, 33.9%) and CEO Courses (30 persons, 10.1%). Looking at average analysis by question, the value of most questions on Employment & Start-up Courses turned out to be lower than Employment Courses and CEO Courses. 2. Through a variance analysis on questions related to educational courses (Employment & Start-up Course, Incumbent Course & CEO Course) and post-verification, it turned out that Employment Course is in the same group as the CEO Course in most questions, and that Employment & Start-up Course was a separate group. 3.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urned out to be as high, at 4.1 out of 5. 4. Through a portfolio analysis on educational courses, it was found that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Usefulness of Educational Cont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Quality and Ability of Instructors' were included in areas of recomme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