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on of new job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상용SW 유지관리 요율 상향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Job Creation Effects by Increasing Commercial Software Maintenance Rate)

  • 임규건;노종화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33
    • /
    • 2021
  • The prolonged coronavirus 19 (COVID-19) has caused serious problems such as job losses and youth unemployment, but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 the importance of SW is highlighted and more qualified jobs are expected in the SW industry. However, domestic SW compani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not properly recognizing the value of SW products. Among many related issues, commercial SW maintenance-related issues are representative, and the main problem is the difference in the maintenance fee rat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SW. In this study, the expected job creation effect when the SW maintenance rate is raised was analyzed using data related to the SW industry and commercial softwa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mount required to raise the commercial SW maintenance rate by 1% is 162 billion won. If all of these are used for employment, the expected new job creation effect is 3,240 jobs per year, and 15,451 jobs are created per year when calculated and estimated as the effect of increasing sales through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n addition, the amount required to raise the current average maintenance rate of 11.1% to 15% is 631.9 billion won, and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effect of creating jobs for 12,648 people based on the simple average wage and 60,259 people from the sales increase effect.

From Emerging to Submerging Economies: New Policy Challenges for Research and Innovation

  • Soete, Luc
    • STI Policy Review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13
  • The Schumpeterian process of "creative destruction", associated with the emergence and diffusion of new radical, so-called "general purpose" technologies, has throughout history impacted wealth and income, jobs creation, jobs displacement, and the emergence and submergence of new hotspots of innovation. Emerging countries have benefited most from such a renewing of those societies' dynamics, leading them to higher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welfare. Doing so they have shown a remarkable capacity in moving upstream in the value chain, from outsourcing of manufacturing activities to autonomous process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development, design, and applied research. At the same time however, such Schumpeterian processes have now and then turned into exactly opposite processes of "destructive creation." Such processes seem to have become common among what could be called "submerging" economies: innovation only benefitting a few at the expense of many with as a result an opposite pattern of a long term reduction in overall welfare, productivity, and employment growth.

사회서비스 10년 경험을 통해 본 사회서비스 일자리 정책의 과제 (Job Creation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Problems and the New Administration's Policies)

  • 유태균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29-50
    • /
    • 2018
  •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은 지난 2006년부터 정부의 주된 관심사 가운데 하나였다.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신사회위험 앞에서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은 다시 한 번 새로 출범한 문재인 행정부에서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지난 10년 간 정부는 한편으로는 사회서비스 일자리 늘리기 위한 노력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산 증가 억제를 위해 서비스 가격에 대한 규제 정책을 펼쳐왔다. 그 결과, 일자리의 질과 사회서비스 산업과 시장의 활성화는 기대보다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 글은 과거 10년 동안의 사회서비스 정책에 의해 발생한 문제점과 새 정부가 계획 중인 사회서비스공단 설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사회비스 산업 활성화가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향상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안이라는 입장에서 사회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 과제와 사회보험으로서의 사회서비스보험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제조업 과학기술 일자리 영향요인 분석 (Influence Factor of Science and Technology Jobs in Manufacturing Sector)

  • 백철우;손병호;심정민;노민선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1호
    • /
    • pp.79-100
    • /
    • 2019
  • 제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고용비중의 급격한 감소는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이 당면한 공통의 문제이다. 그 중에서도 과학기술 일자리는 고용의 질과 산업경쟁력에 직결되기 때문에 정책적 차원에서 중요성하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을 기술체제에 따라 세분화하고 신제품 개발, 신공정 개발, 개방형 혁신, 정부 R&D지원이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제품 개발은 과학기술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나 신공정 개발은 과학기술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방형 혁신은 연구개발 기능의 아웃소싱으로 인해 과학기술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정부 R&D 지원은 기술혁신에 대한 수요가 낮은 전통산업의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레드 생성 및 삭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히스토리 기반의 동적 스레드풀 방법 (A History-based Dynamic Thread Pool Method for Reducing Thread Creation and Removal Overheads)

  • 오삼권;김진섭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89-195
    • /
    • 2013
  • 작업의 실행요청이 빈번하고 실행시간이 짧은 환경에서, 스레드 생성 및 삭제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여 작업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레드풀 방법이 자주 사용된다. 그중에서 워터마크 스레드풀 방법은 최대로 필요한 스레드 수 이하의 스레드들을 유지함으로써 자원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인다. 그러나 사용가능한 스레드가 없을 경우에는 지정된 한도 내에서 스레드를 추가로 생성하여 작업들을 처리해야 하므로 스레드 생성으로 인한 시스템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결국 성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히스토리 기반의 동적 스레드풀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작업처리에 필요한 스레드 수를 측정하고 유지함으로써 스레드 생성 및 삭제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인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제안방법은 워터마크 스레드 풀 방식과 비교하여 보유 스레드 수는 평균 33% 증가하나 스레드 생성 수는 평균 62% 감소함으로써 평균 6%의 시스템 처리량 증가를 보인다.

천연염색 교육을 통한 평택지역 일자리창출 활성화 연구 (Study on activation of job creation in Pyeongtaek area through natural dyeing education)

  • 박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신산업으로 주목되고 있는 산업 중 전통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 필요성 증대에 따른 지역사회의 노력과 산·학·연의 협업이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전통문화예술을 살리고 지역사회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동인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지역 전통문화·예술·관광행사 및 디자인 상품개발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시대가 변화되고 전통기법 전승에 대한 교육이 갈수록 외면되고 소외 시 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년간 평택지역의 산업체, 지역대학, 연구소가 협동하여 실시한 천연염색교육과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전통문화예술의 전승과 고부가가치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oles of the 6th Industry for Job Creation in the Elderly: Korea Cases

  • Jung, Kil-soo;Kim, Jin-soo;Kwon, Ohbyung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3권2호
    • /
    • pp.27-41
    • /
    • 2019
  • As South Korean population is aging and the elderly have to continue their economic activities, the problem of jobs for the elderly is coming to the fore. In particular, in the situation where traditional agriculture is preferred over strategic mechanized agriculture, due to the reality of South Korean agriculture dominated by farming by the elderly, the paradigm of South Korean agriculture should be changed into completely new one in order to have new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6^{th}$ industry as an alternative to create jobs for the elderly. To this end, 6th industry success cases in South Korea are analyzed with a view to discovering implications applicable to other countries too.

한반도의 "대운하 건설"-국토개발 측면에서 본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Korea CanaL(GKC) in the Korean Peninsular-Vision of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 정무용
    • 기술사
    • /
    • 제41권2호
    • /
    • pp.59-63
    • /
    • 2008
  •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Korea Canal(GKC) In the Korean peninsular requires consideration from a aspect of vision of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GKC will bring enormous benefits to the Korean economy. First, effect of the equitable regional development. Second, reduction In freight transport costs and contribution of innovation in physical distribution. Finally, creation of large numbers of new jobs and development of Tourism & Leisure Industry and its related industry. Lets view the construction and finance supply.

  • PDF

양질의 산림일자리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of Decent Forest Jobs)

  • 한희;배재수;장주연;김기동;전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446-455
    • /
    • 2018
  • 일자리의 양과 질, 사회적 가치의 측면에서 산림일자리가 얼마나 양질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3대 기준과 11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준 및 지표의 중요도와 가중치는 산림일자리위원회, 학계 등 일자리 관련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통해 설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5명의 전문가들은 '일자리 창출 잠재력'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선택하였으며, '일자리 질'이 '사회공헌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표의 가중치는 일자리 창출 잠재력의 '정책적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자리 질의 '고용 안전성'을 다음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일자리 질의 '임금 수준'은 가장 낮은 가중치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기준과 지표는 신규 산림일자리는 물론 기존의 산림일자리에 대한 양질의 일자리 평가 수단으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Innovative value chain creation research according to AI jobs

  • SEO, Dae-Sung;SEO, Byeong-Min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0호
    • /
    • pp.7-16
    • /
    • 2020
  • Purpose: It suggests that making a policy and strategies in a way of AI and its impact of commercialization on economic efficiency, social custom ethic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aper has analyzed the data based on the proposed model when derived as AI vs. FI job, etc. It is very different for each professional evaluation, which is artificial intelligence or robot job. One concept case was selected as a substitute job, with a relatively low level of occupation ability, such as direct labors, easily replaced. By the induction data has resulted in modeling. Results: The paper suggests that AI at high level become something how to make real decisions on ethical value modeling. Through physical simulation with the deduction data, it can be tuned to design and control what has not been solved, from human senses to climate. Conclusion: For the exploiting of new AI decision-making jobs in markets, the deduction data is possible to prove to AI's Decision-making that the percentage who can easily have different leadership as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what is generated by some information silos may be applied to occupation societie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e deduction data that if AI determines ethical decisions (VC) for that modifications, it may replace future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