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se learning objectiv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Assess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Clinical Practice Using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 Cho, Eunbyul;Lee, Ju-Hyun;Kwon, O Sang;Hong, Jiseong;Cho, Nam Ge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219-226
    • /
    • 2021
  • Background: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is a widely used method to assess the clinical performance of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lthough OSCE has been used for undergraduate students of Korean medicine, this has not been widely reported. Methods: In 2020, the practical course fo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pharmacopuncture, auricular acupuncture, and burning acupuncture) was taught using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assessed by the OSCE. The appropriateness of this model of education and its evaluation using OSCE were evalua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respondents, 67% reported that the OSCE accurately reflected their competency, and 82% reported that online video lectures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clinical skills. The average adequacy score of the model was > 3.7/5, and the average adequacy score of the checklist used in the OSCE was > 4.1/5 for all 5 clinical application skills. The difference in the mean self-efficacy score between students who had taken the OSCE and those students who had not taken the OSCE, was highest in the burning acupuncture group (0.923).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OSCE was high and flipped learning was an effective education model. In the future, models representing the human body or simulated patients should be used to evaluate students' skills and attitude.

웹 기반(Web-Based Instruction) 간호관리학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Web-Based Instruction;Application to Nursing Management Practice)

  • 심전경;권성복;지성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3-295
    • /
    • 2003
  •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web-based instruction for Nursing Management Practice of nursing school. The progra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five steps of the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developed by Chung, In-Sung which is widely used in Web-Based Instruction(WB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WEI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nty-four senior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course. Two s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gram in terms of appropriateness of the teaching strategy, precision of the contents, easiness of use, easiness of approaching system, interface design, system management,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five steps, analysis of the student, design of the contents, production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nd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It is concluded that this program was very useful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motivation in the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the web-based learning system would be one of the best qualified educational method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I would suggest that it can be used for other nursing courses which is available on the Web.

  • PDF

초·중등 발명·지식재산 교육과정의 적정 편성 방안 연구 (An Analysis of Proper Curriculum Organization Pla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 이규녀;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6-124
    • /
    • 2017
  • 이 연구는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표 및 교육과정에 대한 적정 편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대상으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핵심 목적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목적은 초등학교가 '발명 인식과 태도 함양'(M=4.5), 중학교가 '발명 과정과 기법 이해'(M=4.2), 일반계고가 '발명 기법 적용 및 평가'(M=4.1), 특성화고가 '직무 발명 이해와 적용'(M=4.6)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교육목적 및 목표도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에 대한 적정 편성 방안은 선행문헌의 편성 실태와 대동소이하게 나타났으나,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적 및 목표에 따른 각 학습요소의 편성 비중은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발명의 기본적인 학습요소(발명의 이해(A), 창의성 이해와 활동(B), 문제 인식과 활동(C), 문제해결과 활동(D), 발명 융합 지식(E), 발명 기법과 실제(F))에 집중하여 편성하고(73.2%, 65.1%), 고등학교는 초 중학교에서 집중했던 기본 학습요소의 비중을 낮추며(51.0%) 발명과 진로(H), 특허 출원(K) 등 발명과 연계되어 확장된 학습요소들의 비중을 높여 편성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 체계는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 학습요소는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등 타일러(Tyler)의 학습조직 원리에 근거하여 학교급별로 적정 편성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특성화고는 초 중학교뿐만 아니라 일반계고와의 차별화가 필요하며 직무 발명 이해와 적용을 위한 중등 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교육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Effectiveness and Learning Experience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 Training in Dental Hygiene Schools)

  • 최용금;신보미;손정희;박덕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41
    • /
    • 2016
  • 이번 연구는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효과적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관계 형성하기', '대화 열기', '정보 수집하기', '상대방의 시각 이해하기', '정보 공유하기', '의견일치 보기', '마무리짓기' 등 7가지 평가항목에서 교육 전보다 교육 후 모든 점수가 상승되었다. 이 중 '정보 수집하기'의 자가평가 수준은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08).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과목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수업운영 전보다 후에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은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키우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나요',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라는 항목에서는 수업 전후 각각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9, p=0.016).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은 치위생(학) 교육과정으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역량은 교육과 학습을 통해 계발 및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이론 교육만이 아닌 실습 교육을 포함한 체계적이고, 학년 간 연계 가능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구 대상자 수를 늘리고, 자가수준의 평가가 아닌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과 표준화된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구성주의적 과학수업이 대기압 개념 획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Model on the Acquisition of Atmospheric Pressure Conceptions and Learning Motivation)

  • 박수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7-228
    • /
    • 1999
  • 구성주의 관점에 의하면 학습자가 백지상태인 채 피동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인 입장에서 자기의 개념을 재조직해 가는 것이 학습의 과정이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성주의 교수원리에 근거하여 예측 설명-실험, 관찰토론-적용 단계의 구성주의적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2학년의 '대가와 물의 순환' 단원 총 7차시에 대하여 구성주의적 수업과 교사중심 수업을 실시한 후 대기압 관련 오개념 감소율과 학습동기의 4가지 요소 별로 비교하였다. 구성주의적 수업과 교사중심 수업이 대기압 관련 오개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온과 기압의 관계', '높이에 따른 기압의 변화', '대류현상과 기압', '기압과 바람' 등의 개념에서 나타난 오개념이 교사중심 수업보다 구성주의적 수업에서 더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두 집단의 대기 압 개념 점수를 차이 검증한 결과 구성주의적 수업 집단이 교사중심 수업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동기의 4가지 요소인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각 문항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구성주의적 수업은 교사중심 수업보다 자신감 요소를 제외한 3가지 요소 모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구성주의적 수업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선행개념을 확인하고, 관찰과 토론을 통해 개념을 형성하도록 한 결과 교사중심 수업보다 과학개념 획득과 학습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PDF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for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 안명옥;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7-4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making program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medium through the ADDIE model so that teachers can easily apply it to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it affects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daycare in Seoul, of which 20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music produc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during the same perio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music activities suggested by the Nuri Course. Using the SPSS 22.0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rhythm and tone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aptitude. The music making program enhanced children's music flexibility, music creativity, music logic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crea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music making program presented systemic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which teachers explained the modeling and practiced from simple activities to various activities repeatedly in order to make teachers approach music making more easi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the music making program by using I-pad and computers.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의 두부·경부 운동 패턴 (Movement Patterns of Head and Neck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 배성수;김상수
    • PNF and Movement
    • /
    • 제3권1호
    • /
    • pp.27-34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correct head and neck patterns, manual contact. verbal commands with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PNF). Method : This is a literature study with books, seminar note and book for PNF international course. Result : Keep the information of the biomechanics and neural science in head and neck patterns and emphasize that manual contact, verbal commands and visual stimulus. Manual contacting for movement guide and stability of the $C_0/C_1$ verbal command and visual stimulus for correcting of the $C_0/C_1$ movements. Conclusion : In reminder for PNF learning, begin with head and neck and upper trunk patterns. In that time, Knott and Voss(1968) had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biomechanic movement components and neural science movement components. But Knott and Voss(1968) emphasized that head and neck patterns relate with trunk, upper extremities and lower extremities directly. Alar ligaments are relaxed with the head in neutral and taut in flexion. Axial rotation of the head and neck tightens both alar ligaments. The right upper and left lower portions of the alar ligament limit left lateral flexion of the head and neck. Therefore, head and neck patterns has to be modify. When head moving, eye and vestibular stimulus will be change. During head and neck patterns, must be consider about stimulus of eye system and vestibular system also.

  • PDF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역량기반 중재과정 교육커리큘럼 개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Intervention Course Curriculum of the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남궁영;김경미;김미선;이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45
    • /
    • 2019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가 감각통합 중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기반으로 중재 과정 교육 커리큘럼 개발하고, 중재과정 실시 및 교육만족도 확인을 통하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의 역량기반 중재 교육과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의 2019년 중재과정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9명과 강사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과정의 교육목표 설정은 참여자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교육요구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중재과정의 역량기반 교육 프로그램 초안 및 교육 방법은 강사회의를 통하여 결정하였다. 중재교육과정은 실행계획에 따라 5일간 실시하였으며, 교육 만족도와 각 역량지표에 대한 중재과정 전후의 수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 교육목표는 교육요구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감각통합중재의 임상추론 과정을 학습 하고 적용한다'와 '감각통합중재 원칙을 적용하여 중재한다'로 하였다. 역량기반 중재과정 교육커리큘럼은 교육목표에 따라 Data driven decision making process 및 Ayres Sensory Integration에 관한 강의, 워크샵, 토의, 그리고 사례 중재 등으로 구성하여 총 42시간 교육을 실시하였다. 중재과정 참여자의 교육 만족도는 평균 4.48±0.73이었고, 수퍼바이저의 교육 만족도는 평균 3.92±0.71이었다. 두 집단 모두에서 Data driven decision making process 강의와 중재 목표 수립 강의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룹 활동 및 토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중재과정 전후, 역량모델의 전문가 역량군에 포함된 분석기술 역량의 두 가지 행동지표가 수행도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교육 개발에 필요한 체계적 과정을 거쳐 교육요구 조사, 교육 커리큘럼 개발과 실시, 교육 만족도 조사를 실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내의 다른 교육커리큘럼 개발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일 조사연구 (A STUDY OP THE CURRICULUM IMPROVEMENT OP NURSING EDUCATION)

  • 이연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7-77
    • /
    • 1974
  • Introduction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improving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1. Review the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2. Determine opinion about current nursing curriculums from recent nursing school graduates. Methods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0 nurses, in f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nurses were graduated from nursing schools in 1973, but represented all types of nursing program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llicit responses about nursing school curriculums in 5 areas: 1. Establishment of objectives 2.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 3.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 4. Instruction 5. Evaluation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1. Establishment of objectives Thirty nine point three percent of the nurses said that the first objective of the general nursing education was stated "to educate a nurse as a human being with humanity:" Ninety point eight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said that thor knew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of their nursing schools, but more half of them (58.3%) understood the objectives vaguely at the time they attended nursing school. 2.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 Thirty nine point eight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eir curriculum contained "only a few" liberal arts courses. 3.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 forty seven point six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reported that the number of course hours was "insufficient" in liberal arts courses. Fifty seven point three percent of the nurses felt there was an overemphasis on any special topic in liberal arts courses. 4. Instruction Methods of instruction were as follows: Liberal arts courses-a. lecture which centered on explanation (61.1%), b. lecture which centered on writing (43.7%) Supporting nursing courses-a. lecture which centered on explanation (34.0%). b. laboratory Practice (37.8%) Clinical nursing courses-a. lecture which centered on writing (33.0%), b. clinical practice (38.4%)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lying that various equipment for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insufficient"were as follows: Liberal arts courses-51.0% Supporting nursing courses-28.6% Clinical nursing courses-37.9% 5. Evaluation In the liberal arts courses, 30.6% o(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evaluation of records was in their opinion "poor, " and 28.2%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method of evaluation was "unfair and discouraging. " "Development of a systematic theory of nursing" was thought to be essential for curriculum improvement.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junior year was the hardest because 1. Number of subjects was too great (28.1%) 2. Lack of a systematic theory of nursing (14.5%) 3. Conflict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nursing theory and nursing practice (21.4%) Recommendations 1. Since this study was limited to nurses who had graduated in 1973, a larger study involving professors, graduate students, and nurses from a wider area is suggested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sent findings. 2. Nursing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in order to develope nursing science. 3. A permanent organization for research into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in each nursing school.

  • PDF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struc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 신연하;유기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1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수업활동을 위해 팀을 구성하는 요인들과 수업효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수업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젝트 수업 구성 요인을 검증하여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의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겸하여 분석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15주 수업에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5주 수업과 프로젝트가 끝나는 날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80부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차이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식 수업보다 프로젝트 수업에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팀 응집력과 팀 워크는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프로젝트 수업은 성적 결과와 상관없이 수업참여과정에서 즐거움과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효과 향상을 위해 수업 프로그램 구상과 제작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