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ingredient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7초

까마중(Solanum nigrum L.) 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ole Plant Extracts of Solanum nigrum L.)

  • 성준섭;김경미;서지영;하지훈;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81-7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조된 까마중(Solanum nigrum L.) 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215.46{\mu}g/mL$, $42.43{\mu}g/mL$, $52.28{\mu}g/mL$이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의 총항산화능($OSC_{50}$) 평가에서, 까마중 50% 에탄올 추출물은 $25.25{\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7.05{\mu}g/mL$, 아글리콘 분획은 $6.25{\mu}g/mL$를 나타냈다.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는 까마중 50% 에탄올 추출물 및 아글리콘 분획은 $5{\sim}25{\mu}g/mL$ 농도에서는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으나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까마중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세포 수준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활성산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을 촉진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장품 등에 까마중 추출물을 응용할 때는 사용상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cute Dermal Toxicity Study of Bee Venom (Apis mellifera L.) in Rats

  • Han, Sang-Mi;Lee, Gwang-Gill;Park, Kwan-Kyu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99-102
    • /
    • 2012
  • Bee venom (Apis mellifera L. BV) has been used as a cosmetic ingredient for anti-ageing,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func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ute toxicity after a single dermal administration of BV, BV was administered to 2 groups of Sprague-Dawley (SD) male and female rats (5 animals/group) at doses of 0 and 1,500 mg/kg body weight (BW). Mortality,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gross findings were continually monitored for 15 days following the single dose. There were no unscheduled deaths in any groups during the study period. No BV related clinical sign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observed in any groups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no abnormal gross findings at necropsy on day 15 after the treat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effect on mortality,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gross findings in SD rats treated with a single dermal dose of BV at dose of 1,500 mg/kg BW. Therefore, the approximate lethal dose of BV was considered to be over 1,500 mg/kg/day for both sexes of rats. BV may provide a developmental basis for a cosmetic ingredient or external application for topical uses.

New anti-wrinkle cosmetics

  • Lee, Kang-Tae;Lee, Sun-Young;Jeong, Ji-Hean;Jo, Byoung-Kee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79
    • /
    • 2002
  • In the aged skin especially in the face and eyelid, deep and slight wrinkles are one of the remarkable phenomena of aging and the cause of wrinkle is various. Among the cause of wrinkles an oxidative stress plays an important roles in wrinkle formation process. It caused the lipid peroxidation of cell membrane, the increase of the MMPs(MatrixMetalloProteinase) gene expression and cellular DNA damage. These ROS induced materials may cause the degradation of collagen matrix system in the dermis and cause the formation of skin wrinkle. So, it is very important for protecting skin wrinkle formation to regulate ROS activ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one active ingredient having multi functional activities such as activation of collagen synthesis, inhibition of MMPs activity, lipid peroxid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free radical induced DNA damage in vitro. Pericarpium castaneae extracts showed collagen synthesis increase in Normal Human Fibroblast and th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IC$\_$50/ of Elastase: 43.9$\mu\textrm{g}$/㎖). It showed also anti-oxidative activity (IC$\_$50/ : 48$\mu\textrm{g}$/㎖)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IC$\_$50/: 7.6$\mu\textrm{g}$/㎖). Conclusively, Pericarpium castaneae extracts may be used as an ingredient for new anti-wrinkle cosmetics.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multiflora Ethanol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 Jo, Ha Neul;Kim, Hyun Woo;So, Yangkang;Yoo, Byoung Wan;Kim, Ji Hyo;Lee, Tae Bu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18
  • The Rosa multiflora, a well-known plant belonging to Rosacea, is widely used in orthodox medicine in worldwide.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y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have not yet been studied. Accordingly, an investig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trributes was performed on a 50%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were analyzed. Also, th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PLC. The melanogenesis regulatory effect was evaluated using melanin content an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for anti-wrinkle effe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enoted by the $SC_{50}$ value was found to be $123.1{\mu}g/ml$, whereas that of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was $27.5{\mu}g/mL$.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202 mg/g and 86.77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astragalin and gall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 Also,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For anti-wrinkle effec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53.2%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observed to be 0.5 - 5%, and no significant activity was noted against C. albicans. Therefore, the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can be used effectively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 PDF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제조 및 화장품에의 응용 (Preparation of Oligo Hyaluronic Acid by Hydrolysis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tic Ingredient)

  • 김기호;김경태;김영희;김진국;한창성;박선희;이방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9-196
    • /
    • 2007
  •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말단기에 이중결합 생성이나 고리열림반응 없이 저분자 히알루론산(oligo HA)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oligo HA의 화장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 및 그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fibroblast, keratinocyte 및 SIRC cell을 이용하여 독성을 평가하였고, Caco-2 cell과 인공피부를 이용하여 피부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Oligo HA는 fibroblast와 keratinocyte cell에서 각각 300 ${\mu}g/mL$ 및 1,000 ${\mu}g/mL$까지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in vitro ocular test에서도 2,000 ${\mu}g/mL$의 높은 농도에서까지 자극에 의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Caco-2 cell을 이용한 세포 투과실험에서는 HA는 거의 투과되지 않는 것에 비해 oligo HA은 16.0 %까지 투과되었고, 인공피부를 이용한 세포투과 실험에서도 약 90 %의 상당히 높은 투과도를 보였다. 사람 피부에서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ligo HA를 함유한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량과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HA와 비슷하게 우수한 보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체 피부 누적 첩포 실험 결과, 특별한 피부 자극이 확인되지 않았다. Oligo HA는 HA의 우수한 보습력을 유지하면서 높은 피부 투과도를 갖는 보습소재로써 화장품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연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표기한 화장품류에서 미표기 성분인 베타메타손 유도체의 검출 (Detection of Undeclared Betamethasone Derivatives in Cosmetic Products Labeled to Contain Zinc Pyrithione as the Active Ingredient)

  • 이정표;박성환;양성준;김선미;손경훈;윤미옥;최상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7
    • /
    • 2009
  • 스테로이드 함유 표시가 없는 화장품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글루코코티코스테로이드인 베타메타손프로피오네이트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화장품은 외용스프레이 및 샴푸로서 주성분으로 아연피리치온을 함유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화장품에서 스테로이드 구조와 활성을 갖는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리카겔 박층판을 이용한 박층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였으며 이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확인 및 정량을 수행하였다. 분취용 HPLC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분획을 모은 다음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및 mass spectrometry (MS)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을 확인하였다. 스테로이드 표준물질로 베타메타손 17-프로피오네이트 및 베타메타손 21-프로피오네이트를 합성하여 사용하였고 이 표준물질과 HPLC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 방법으로 아연피리치온 제제와 같은 일부 시판 화장품에서 스테로이드 성분을 확인하였고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 HPLC) 상의 유지시간 비교를 통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을 정량한 결과 시험한 총 8종의 화장품 시료 중 2개 제품에서 0.005 ${\sim}$ 0.02%의 베타메타손프로피오네이트가 검출되었다.

피부 건강을 위한 국내 자생 천연 식물 원료: Agatri® (배초향 추출물) (Korean native wild herbal-based functional ingredient for skin health: Agatri® (Agastache rugosa extract))

  • 김상우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4호
    • /
    • pp.382-389
    • /
    • 2020
  • "Eating cosmetic" market comes to prominence worldwide. Inner Beauty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top trend nowadays and is lead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Another noticeable trend other than beauty-from-within is that products using "plant-based" natural botanical raw material are increasing. Based on these trends above, we have developed a plant extract named Agatri® for skin health using Agastache rugosa. By ingesting Agatri®, it is expected that the formation of skin wrinkles is suppressed, and skin elasticity is increased by suppressing the decrease in collagen content caused by ultraviolet ray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skin aging by improving skin hydr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The studies show that it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and decreased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Agatri® has been approved as an "Individually recognized functional ingredient for skin health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in 2020. As a result, Agatri® is a good solution for those who are in need of skin protection from exposure to UV and aging.

홍화잇꽃의 여드름피부 개선효과 및 세안용 생약식물소재 응용 (Efficacy of Safflower on the Acne Skin and Its Application for Facial Cleansing Biomedical Material)

  • 박영호;이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400-404
    • /
    • 2011
  • 홍화는 예로부터 '사람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잇꽃'으로 불려져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꽃잎이 홍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홍화(紅花)로 소개되어 있다. 예로부터 홍화는 꽃잎을 압착후 정제된 색소를 이용하여 옷감에 천연색소를 입히는 염료와 연지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 cocktail) 성분이 건강식품업계에서 항노화 및 항산화물질로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금번연구에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이 청소년기 혹은 장년기에서도 고민거리가 되고 있는 여드름균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균, 항염효능이 있음을 DDT(Disk Diffusion Test) assay, MTT assay, NF-${\kappa}$B Luciferase activity inhibition assay의 in vitro법으로 확인하고 더불어 인체안면에 대한 임상시험에 사용할 세안화장품 제형의 화장비누 시제품을 제조하여 여드름피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시험하고자 한다. 또한 이번 연구는 여드름용 화장비누 개발에 진일보하여 약용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확신한다.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잎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 Leaf Extract as a Cosmetic Ingredient)

  • 전명옥;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02-6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증류수 추출물을 얻은 후 항산화 효과, 항염증, 미백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효과에서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류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B16F10, RAW264.7 세포에서 농도별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 LPS로 유도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측정결과, 유의한 감소효과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MITF, Tyrosinase 단백질 발현억제 실험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잣나무 잎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the Agrimonia pilosa L. Extracts)

  • 김동희;안봉전;이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84-289
    • /
    • 2011
  • 선학초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효과를 검증하였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선학초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4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선학초 추출물이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 또한 저해 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선학초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선학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B16F10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의 발현이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