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ingredient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37초

Studies on Decolorization Process for rhEGF as Cosmetic Ingredient

  • Zhao Xiao-wei;Xu Zhi-nan;Zhou Mao-hong;Cen Pei-li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3호
    • /
    • pp.236-241
    • /
    • 2005
  • A decolorization process using 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developed to refine rhEGF as a cosmetic ingredient. A macroreticular resin (D314) was selected, with respect to its high decolorization rate and recovery yield of rhEGF, and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decolorization process optimized. The optimum conditions were as follows: the rhEGF effluent was ion exchanged at a flow rate of 60.0mL/h, with an effluent pH 5.0, using a chromatographic column (i.d. 16mm) packed with D314, with a 7.5cm in bed height. The decolor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nd halted when the effluent volume reached 350mL, giving a decolorization rate and recovery yield of rhEGF higher than 67 and $80\%$, respectively. When the decolorization rate exceeded $67\%$, the final product turned out to be white or light yellowish, which was to the satisfaction of the cosmetic standard.

Cosmetic Potency of Puerariae Radix in Dermal Fibroblasts

  • Lee, Jae Yun;Park, Seo A;Woo, Won Hong;Mun, Yeun Ja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67
    • /
    • 2019
  • Interaction between epidermis and derm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und healing and hair follicle formation.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potency of ethanol extract of Puerariae Radix (EPR) as cosmetic ingredient using human dermal fibroblasts (hDFn). Our results revealed that EPR suppressed collagenase activity dose-dependently. EPR inhibited activity of $5{\alpha}$-reductase I and II at the final concentration of $25{\mu}g/ml$ in hDFn cells. Also, EPR promoted the proliferation and the ERK activation of cells. ERK phosphorylation by EPR was blocked by specific inhibitor of ERK, PD98059. EPR-induced cell proliferation was blocked by PD98059. This means that EPR could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hDFn cells via the activation ERK.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R may be used as a new cosmetic ingredient.

DA-3711:A POTENT TISSUE-ENGINEERED ACTIVE INGREDIENTS FOR ANTI-AGING

  • Kim, B. M.;Lee, M.;Lee, J. H.;I. S. Doo;M. K. Son;S. H. Kang;Kim, W. B.;J. W. Kwo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59-659
    • /
    • 2003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potent anti-aging effect of DA-3711, a cosmetic ingredient derived from artificial skin culture. The artificial skin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 skin replacem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skin wounds. To produce DA-3711, neonatal human fibroblasts were seeded into biocompatible collagen/chitosan/glycosaminoglycan (GAG) scaffolds and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Analysis of the culture broth (DA-3711) showed that growth factors such as VEGF, TGF-$\beta$, KGF were present a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that in the culture broth of fibroblasts cultured in monolayer. The biological activity of DA-3711 was assessed by measuring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of normal human fibroblasts. Fibroblasts treated with 10% DA-3711 showed a 2-fold higher proliferation and 2 to 4-fold higher collagen synthesis than untreated cells. DA-3711 also exhibited anti-oxidative effects, since cells under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showed a 30% higher viability in DA-3711-containing medium than in medium without DA-3711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DA-3711 may have anti-aging effects by stimulating skin regeneration and protecting against oxidative stress.

  • PDF

화장품중 생약성분의 분석(II) 화장비누중의 쑥추출액의 함량분석 (Analysis of Medicinal Plants in Cosmetics(II) The HPLC Separation and Quantitation of Artemisia Extract in Cosmetic SOAP)

  • 임호빈;최상원;김진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6
    • /
    • 1990
  • A method was described for the analysis of Artemisia extract in cosmetic soap. Esculetin-6-methylether was used as indicator ingredient for analysis of Artemisia extract. It was isolated from the plant and purified with silicagel column. The structure was conformed with IR, NMR and MASS spectroscopy. The Artemisia extract in sample was isolated with chloroform and interfering com- pounds were eliminated with silicagel column. The Artemisia extract was determined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and a solvent system of H2O/THF/MeOH. The recorveries of Artemisia extract were 93.9-106.1% in the cosmetic soap.

  • PDF

주요 국가의 화장품규정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화장품법령 개정방안 (Cosmetic Regulation in Main Countries and Its Development Strategy in Korea)

  • 김영찬;황순욱;김대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
    • /
    • 2005
  • 유럽연합,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주요 국가의 화장품 관리규정의 변화를 주요 이슈별로 비교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화장품 법령의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들 비교 대상국가에서는 화장품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사후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품 인정범위의 확대, 표시${\cdot}$광고의 개선, 전성분표시제, 사용기한 표시등의 단계적 도입이 필요하며, 업체 자율책임과 사후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위하여 화장품 GMP의 도입$\cdot$ 확대를 위한 지원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철피석곡의 원괴체상구체 및 다신초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Protocorm-like body and Multiple Shoots from Dendrobium Candidum on Biological Activities)

  • 박창민;권주찬;한나경;정민석;백기엽;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36
    • /
    • 2014
  • 철피석곡은 중국에서 전통의약식물로 잘 알려진 난과 식물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된 철피석곡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써 응용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미 몇몇 보고된 논문에서 철피석곡은 항암, 상처 치유 그리고 면역기능증진 등의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된 철피석곡의 원괴체상구체 및 다신초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서 효능, 효과를 자연에서 자란 철피석곡과 비교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비교 실험 결과 철피석곡의 원괴체상구체는 조직배양된 다신초 및 철피석곡 지하부 및 지상부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조직배양된 원괴체상구체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성분 또한 다른 다신초나 자연에서 자란 철피석곡 추출물보다 함유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피부 미백과 관련한 효과를 비교 조사한 결과, 조직 배양된 다신초가 자연에서 자란 철피석곡 지상부, 지하부 및 조직 배양된 원괴체상구체보다 타이로 시네이즈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개선을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조직배양체의 부분별 응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에키네시아 조직 배양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d from Echinacea angustifolia)

  • 박창민;정민석;고두진;백기엽;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9-226
    • /
    • 2011
  • 일반적으로 쌍떡잎식물 국화과 허브의 한 종인 에키네시아는 미국 북미 대평원에 서식하는 야생 식물로 수세기 동안 감기나 또 다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병에 대하여 면역 기능을 증진시키는 전통 식물 약제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된 에키네시아 식물체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써 응용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미 몇몇 보고된 논문에서 에키네시아는 조직재생, 상처 치유, 그리고 염증 억제 등의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된 에키네시아 추출물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서 효능,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조직배양된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단백분해효소 발현 억제 효과가 자연 상태의 에키네시아 추출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보호를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newly multifunction cosmetic raw materials and its applications

  • Takashi Ohmori;Yoshiko Yamamura;Eijiro Hara;Kinya Hosokawa;Maruyama, Kei-ichi;Tohru Okamoto;Hiroyuki Kakoki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49-162
    • /
    • 2003
  • Moisturizing the sk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skincare cosmetics, because wate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keeping the skin healthy. There are various humectants including polyol (glycerin and 1,3-butylene glycol), water-soluble polymers, and botanical extracts. It is well known that the increased amount of polyol in lotion for obtaining high moisturizing effect gives a sticky feeling to the skin. Therefore, a few humectants that can give high moisturizing effect without a sticky feeling for lotion formula is available. On the other hand, oil-based lipstick is well known to have a difficulty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hydrophilic humectants, because the humectants is unable to be mixed well into oil-based lipsticks and give the lips a peculiar taste. There are newly developed humectants,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dimethyl ether (EPDME)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describable above. EPDME is a random copolymer of ethylene oxide and propylene oxide. EPDME gives a low sticky feeling with a high moisturizing effect when it is used in lotion. As a remarkable character, EPDME can show not only a preventing effect on rough and dry skin, but also a improving effect upon the use for 1-4 weeks. EPDME can show a synergistic effect with glycerin on preventing to rough and dry skin. Since EPDME can be dissolved in oil-based formulation and used as an ingredient of lipsticks, EPDME can give a moisturizing effect that allows lip to be healthy condition. EPDME can also give no peculiar taste even upon the use of a large amount. EPDME is a useful cosmetic ingredient that can show a good skin care effect in both water-based formula and oil-based formula. EPDME of which polarity can be controllable is expected to be used for various cosmetic applications in near future.

  • PDF

막걸리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능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icacy of Makgeolli Fractions)

  • 박경원;곽다희;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71-57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막걸리의 항산화효능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연구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시판 막걸리 잔사에 MeOH 3 L를 가한 후 얻어진 현탁액을 농축한 후 EtOAc 3 L을 가하고 분획하여 상층을 최종시료로 사용하였다. MTT assay 평가에서는 $100{\sim}1,000{\mu}g/mL$ 범위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보였으며, EC50은 7.008 mg/mL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결과 추출물의 IC50 값은 49.22 m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시료는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을 이용한 다크닝 샴푸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gredients and Safety of Darkening Shampoo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GC-MS))

  • 김유리;김운중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13-2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장에서 판매되는 다크닝 샴푸 5종에 대한 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제품들의 유효 성분과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GC-MS 분석을 통해 각 샴푸의 주요 성분을 확인한 결과, 제조사가 표기한 전성분 목록과 일부 차이가 있는 화합물들이 검출되었다. 이는 GC-MS 분석의 한계와 특정 화합물의 휘발성 여부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모발의 색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화합물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이 모발 다크닝 과정 자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역할을 하는 성분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었다. 다만 헤어 케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모발에 대한 일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거나 제품의 질감, 안정성 또는 보존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GC-MS 성분 분석 결과, 확인된 성분 중 안전성이 우려되는 화합물에 대한 조사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경우 주의가 필요한 몇 가지 화합물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