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metic Regulation in Main Countries and Its Development Strategy in Korea

주요 국가의 화장품규정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화장품법령 개정방안

  • Kim, Young-Cha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 of Cosmetic, KHIDI) ;
  • Hwang, Soon-Wook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 of Cosmetic, KHIDI) ;
  • Kim, Dae-Joo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 of Cosmetic, KHIDI)
  • 김영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산업팀) ;
  • 황순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산업팀) ;
  • 김대중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산업팀)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changes of cosmetic industry regulation in the leading countries, such as E.C., America, Japan, initiated our research to suggest the direction of our cosmetics regulation. These countries are strengthening the post-monitoring system for the safety and cosmetic industry development. We propose the agenda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extension of cosmetics range, deregulation of the advertisement, implementation of the ingredient labelling, introduction of the product expiring date.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extend current CGMP to enhance the company responsibility and to reinforce the post-monitoring.

유럽연합,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주요 국가의 화장품 관리규정의 변화를 주요 이슈별로 비교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화장품 법령의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들 비교 대상국가에서는 화장품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사후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품 인정범위의 확대, 표시${\cdot}$광고의 개선, 전성분표시제, 사용기한 표시등의 단계적 도입이 필요하며, 업체 자율책임과 사후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위하여 화장품 GMP의 도입$\cdot$ 확대를 위한 지원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ED Cosmetics Directive The 7th Amendment, Colipa (2004)
  2. 化粧品 . 醫藥部外品 製造申請 GUIDE BOOK, 藥事日報社(藥事審査硏究會 監修) (2004)
  3. CTF A International Regulatory Resource Manual, 5th Ed. (2001)
  4. 중국 화장품 관련 법규집, 중국 국무원 (2003)
  5.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식품의약품 안전청 (2004)
  6. 보건산업백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7. 일본 약사핸드북, 노동후생성 (2004)
  8. 화장품전성분표시제도입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한국 보건산업 진흥원 (2003)
  9. Cosmetic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The Counsil of European Communities, Colipa (1994)
  10.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대한화장품협회 (2004)
  11. www.ctf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