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brand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44초

화장품광고에 나타난 언어메시지 표현분석 : 1958년~2018년의 아모레퍼시픽 뷰티매거진<향장>을 중심으로 (Analysis of Language Message Expression in Beauty Magazine's Cosmetic Ads : Focusing on "Hyang-jang", AMOREPACIFIC's from 1958 to 2018)

  • 최은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9-118
    • /
    • 2019
  • 본 연구는 1958년부터 2018년까지 60년간 아모레퍼시픽이 발간해온 뷰티매거진 <향장>에 실린 718편의 화장품광고에 나타난 언어메시지를 내용분석하였다. 즉 화장품광고의 언어메시지에 표현된 구매정보, 설득적 표현, 어휘종류(어종)가 시대별, 제품군 별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실무적으로는 화장품광고의 전략적 표현에 대한 고찰과 접근방법을 모색하고 학술적으로는 향후 화장품광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화장품광고의 구매정보는 기본적으로 실속구매나 개인만족 정보를 전달하고 있지만, 최근으로 올수록 브랜드충성 정보의 비중이 높아졌다. 메이크업제품의 경우 계절, 패션 트렌드 등을 강조하는 유행지향의 비중이 높았으나, 2010년대 이후부터는 브랜드충성 구매정보의 비중이 늘었다. 화장품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이 광고에 적극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설득적 표현은 헤드라인과 바디카피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먼저 헤드라인은 이미지형성중심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장면이미지 표현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1990년대 이전까지는 사용자이미지 표현이 높았고 최근으로 올수록 상표이미지 표현이 높게 나타났다. 바디카피는 정보전달중심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보편적 정보와 차별적 정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화장품광고의 언어메시지는 소구방법을 단순히 이성소구와 감성소구로 나누기보다는 브랜드별로 확립된 이미지를 어떤 정보로 구체화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어휘종류(어종)는 브랜드네임과 헤드카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브랜드네임은 외래어가, 헤드카피는 한자어의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 1970~80년대에는 고유어 브랜드네임이 일시적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이 시기에 고유어 상표를 권장하는 정부정책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메이크업제품에서는 외래어가, 남성제품에서는 한자어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메이크업 제품의 경우 색상이나 계절을 외래어로 표현하는 경향이 높고, 남성제품은 소비자들의 한자어에 대한 권위나 신뢰의 추구성향이 언어메시지 표현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화장품 TV광고의 여성 이미지 : 1991년~2019년의 마몽드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Female Images in Cosmetic TV Commercials of Feminism : Focused on Cases (1991-2019) of Mamonde)

  • 최은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가 국내 페미니즘의 도입 및 변화와 관련하여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2019년까지 방영된 <마몽드> 화장품 브랜드의 TV광고 총 86편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기(1991~1997년)에는 남성과의 평등을 강조하는 급진주의 페미니즘의 경향이 짙었으나, 2기(1998~2005년)에는 다시 전통적인 여성상이 잔존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3기(2006~2011년)에는 페미니즘과 포스트 페미니즘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4기(2012~2019년)에 이르러서는 본격적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적극적인 주체가 되는 포스트 페미니즘의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술적으로는 페미니즘 관점에서 화장품 단일 브랜드의 여성이미지를 수직적으로 조명한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실무적으로는 여성 제품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나 크리에이티브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G생활건강 백화점 화장품 브랜드, 오휘의 CRM전략 사례 (LGCare' Cosmetic Brand, OHUI CRM Strategy Case)

  • 이완수;허원무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9-178
    • /
    • 2005
  • 백화점 화장품 채널에서 중간 순위에 위치한 LG생활건강 오휘 브랜드는 자사의 약한 브랜드 파워를 고객관계전략을 통해 상쇄함으로써 고객충성도 및 매출 등의 시장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었다. 오휘는 자사의 CRM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리뷰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들을 선정하였다. 선두 기업이 되기 위한 기반인 Critical Mass의 고객을 확보하고, 맞춤형 충성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객 충성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전략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 현장의 직원들이 실제 고객들을 판별해서 편익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고객 등급을 단순화하였다. 마지막으로 CRM 활동이 전사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성공사례 공유를 통한 지식 확산과 더불어 성과보상 체계도 이에 연결시켰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을 통해 오휘 브랜드는 시장점유율의 상승 및 경쟁사보다 높은 매출 성장률, 고객만족도 제고를 이루었다.

  • PDF

패션잡지 마케팅 전략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동연구 (A Study on Consumer Behaviors by Types of Lifestyle for Fashion Marketing Strategy)

  • 김칠순;이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500-15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aged 15-25. Also it was to measure brand awareness, to determine purchase criteria in fashion magazine, and to determine promotion pre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segmentation variables. We distributed 600 questionnaires and 475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 statical analysi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program on the frequency mean value, Chi-square test,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 classified four clusters such as individual style seekers, trend seekers, promotion/good appearance seekers, and low fashion interest group, based on lifestyle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nd awareness in Vogue Girl, Cosmo Girl, Elle, Figaro, Ecole magazine among four clu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purchase criteria as favorable cover models, good "burok" which is a magazine supplement, brand names, and price among four clust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OVA represen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types of promotion such as discount price, clothing gifts, fashion accessary gifts and hair tool gifts. However, the first ranked preferred one was a cosmetic gift in all the magazines, which favored more by trend seeker group.

The Effects of Purchase Intentio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on Selection and Brand Asset Attributes

  • Bae, Jeong-Tae;Kim, Bo-Young;Oh, Sung-Ho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73-87
    • /
    • 2019
  • Purpose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the selectio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and brand asset attributes have on consumers'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values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within the globally developing oriental medicine cosmetics market, and in the end positively verify how such perceived values affe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it proposes research outcome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and cultural consumer purchase behavior based on the comparisons of consumer group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major markets for oriental medicine cosmetic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advanced research a total of 9 hypotheses were designed an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16 questions to identify six major variables were conducted. Research was carried out centered on Seoul, South Korea, and its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Beijing and Shanghai, China, and a total of 577 sets of significant data were collected. A comparis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data from 285 Koreans and 292 Chinese. A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also carried out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suggest results. Results - Research results show brand value assets had a more crucial impac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than consumer selectio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while emotional value had a bigger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than social or economic values. For Chinese consumers in particular,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value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while emotional value was the most crucial factor for Korean consumers. Conclusions - With oriental medicine cosmetics, brand characteristics and images that helped express emotional desir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marketing than the performance aspect of cosmetics, including their functions and ingredients. In the end, products that highlight individual desire and emotion should be introduced instead of those that emphasize price, functions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pand the global market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한국인과 방한 중국·일본관광자를 대상으로 (Study of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Focused on Japanese, Chinese Tourist and Korean)

  • 전주형;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459-7466
    • /
    • 2014
  •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외 관광자 중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관광자의 구매행동과 내국인의 화장품 구매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인 관광자 및 내국인을 대상으로 화장품 구매행동의 속성과 그 영향 및 집단간 차이가 있는 지를 밝히기 위함이 연구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가 실시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화장품 구매행동과 관광자 쇼핑성향을 검토하여 실증연구를 위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실증연구는 국내를 방문하는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조사된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화장품 구매행동은 기능성, 브랜드 지향성, 최신성, 충동성, 물리적 환경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특히 소비자들은 연구자들이 이미 주목한 바 있는 기능성 중심의 화장품 구매에서 보다 복잡한 형태의 구매 즉 브랜드나 최신상품을 구매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더불어 구매전 후에 따라 구매행동 평가가 달라짐도 밝혔다. 그러나 중국, 일본 및 내국인별 화장품 구매속성은 화장품의 기능성 이외의 항목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이 연구결과로 볼 때 국내 화장품 기업도 브랜드를 강조하는 전략을 우선시해야 한다. 또한 화장품의 기능성 개발에 노력해야 하고 판매장소의 분위기와 판매원의 태도에 대한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Cosmetics in Adolescents)

  • 장선미;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5-88
    • /
    • 2014
  •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 화장품 시장의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하여 청소년의 니즈를 분석하고, 청소년 화장품 시장의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거주 남, 녀 중, 고등학생으로 서울 지역의 중, 고등학교 10곳을 선정하여 1092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1074명의 실증자료를 얻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기초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색조 화장품의 사용 빈도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을 처음 사용하는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여드름으로 고민하고 있으며, 피부고민 해결방법으로는 화장품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 장소로는 브랜드샵이 가장 많았고, 제품의 효능, 효과를 구매의 가장 큰 포인트로 삼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에 대한 학교와 사회의 제재와 통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반면에 화장품 사용의 양성화를 원하는 청소년들의 요구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화장품 구매 선호도에 관한 연구 - 국내 관광객을 중심으로 - (Study on Korea cosmetics purchasing preferences - Focusing on domestic tourists -)

  • 이영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45-556
    • /
    • 2014
  • The most rapidly growing manufacturing could be cosmetics industries due to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the cosmetic distribution structure not to mention Korea, Asia's largest market, China and Japan are based on references.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marketing strategy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Korea cosmetics market has been exerting a tremendous power of LG Household & Health and Amore Pacific as a major company. Cosmetics industry is rapidly booming around the mid-priced brand through internet shopping, TV shopping, and road shops. Cosmetics preferences were analyzed targeted at tourists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 to 1500 in road shop and Myeong-dong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13, 2013. The answers for the questions of the most awareness cosmetic brands in Korea are appeared in order of Laneige, Innisfree, The Face Shop. The satisfaction of the use of Korea cosmetic are 61.85% and the reasons are that in a variety of color cosmetics are 32.58%, the reaction of around that you look prettier are 29.34%. Therefore purchasing products are 49.14% of the color cosmetics and 24.93% of the functional products. Within the result of the survey, although the quality versus the price for the Korean cosmetic brands has been competitive advantage over yet from the advertising of Korea wave stars, the foreign purchasers have been willing to buy the color cosmetics and high-end performance products be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ontinuously higher quality of the performance if the preceding even if being more expensive purchase price.

디올 패션이 향장미용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Christian Dior on Fashion, Clothing, and Cosmetic Trends)

  • 석은경;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374-1385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three points. First, how designers develop clothing and cosmetic culture (which reflect time and culture) into other fashion products in order to verify that attire and makeup can be the objects of aesthetics in addition to functionality. Second, why the fashion design of Christian Dior has been continuously popular for women of all ages and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fashion, attire, and makeup. Third, this study analyzes how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of Christian Dior are reflected in clothing and cosmetic culture in order to clarify the brand outlook on attire and makeup as a source of France's luxury fashion industry.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Dior's fashion were studi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First, her childhood background (that became the motif of Dior's design) and the philosophical ideology of fashion design, perfume, and beauty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consciousness on beauty expressed in hairstyle, perfume, and cosmetics is expressed in connection with clothing. Third, the background with which Dior's fashion and perfume business became successful is examined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the image strategy for success in the cosmetics market was studi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on clothing and cosmetics, preceding studies, the internet, and related magazines are utilized to consider the cosmetics and beauty fashion of D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how Korean fashion and cosmetic culture can further globalize. This study encompasses the period of 1905 when Christian Dior was born until 1957 when he died of a heart attack; it also deals with well-known designers of the Christian Dior House from Yves Saint Laurent of 1957 to John Galliano of the present.

쇼핑성향과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초저가 화장품의 구매행동 (Purchasing Behaviors of Budget-priced Cosmetics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Demographics)

  • 현정희;추태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624-6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budget-priced cosmetics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Questionnaires used for this study were composed of 57 questions including 21 questions about cosmetic shopping orientation, 32 questions about budget-priced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and four question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20 to 49 aged 317 women who have shopping experience on budget-priced cosmetic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hi}^2$-test, correlation,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scheffe test utilizing SPSS/W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tic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interest and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price-oriented purchasing tendency', 'ration-oriented purchasing tendency', 'famous brand-oriented purchasing tendency' and 'brand royalty- oriented purch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tic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passive shopping group', 'rational shopping group', 'active shopping group', 'neutral shopping group'. Second, when comparing each group's purchasing behavior of budget-priced cosmetics with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tic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 time purchasing cost and the number of shop visits. In case of demographic variables concerning purchasing behavior of budget-priced cosmeti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e time purchasing cost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The number of shop visits had also difference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family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marketing strategie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arget market rather than the shopping orientation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