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2초

개나리꽃의 항산화효과 및 화장품소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smetic Materials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rsythia koreana Nakai)

  • 정수현;조우아;손준호;최은영;박찬익;이인철;안봉전;손애량;김세기;김영선;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68
    • /
    • 2005
  • Objectives : This is the study of the application as the ingredients of cosmetic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function for physiological activity of Forsythia koreana Nakai. Methods : Forsythia koreana Nakai, which had been extracted, concentrated, and freeze drying with water and ethanol, have been used for the experiment. The effects on electronic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whitening effect, nitric oxide inhibi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measurement of function experiment. Results :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activity measurement of function experiment, it had been found tha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t over 100ppm of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showed relatively high donating ability by more than 80%,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In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test, 500ppm of water extract showed an effect of 18% and ethanol extract showed an effect of 31.5%. In the tyrosinase inhibition test, 5000ppm of water extract showed an effect of 60% and ethanol extract showed an effect of 85%. In the anti-inflammatory test, the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generation of nitric oxide.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tract of Forsythia koreana Nakai can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s with biological function in cosmetics ingredients.

  • PDF

찔레꽃(Rosa multiflora) 추출물과 Ascorbic Acid 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Through the Synergistic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and Ascorbic Acid)

  • 범석현;권현지;현진아;강은빈;박하은;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3-340
    • /
    • 2021
  • 본 연구에서 찔레꽃을 추출, 농축 및 동결 등을 통하여 시료화 하였다.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복합물과 단일 ascorbic acid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효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실험은 전자공여능,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환원력, FRAP,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자공여능 실험과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복합물이 대조군(ascor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실험의 경우, 100 ㎍/mL의 농도에서 RMW+A (272.1 mg QE/g), RME+A (90.6 mg QE/g), RMW+A (79.4 mg QE/g)이 대조군(19.0 mg QE/g)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따라서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 복합물은 단독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따라서 이 복합물은 항산화 화장품에 사용할 경우 제품의 안정화 및 피부노화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헛개나무 추출물의 화장품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Extracts)

  • 김세현;전동하;장민정;이진태;이창언;한진규;김진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36-842
    • /
    • 2010
  • 본 연구는 기능성 식 약용 소재로 널리 이용되는 헛개나무의 화장품원료로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헛개나무 과병과 뿌리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법, ABTS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측정시 열매, 뿌리 모두 열수추출물에서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색소합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저해활성은 과병에탄올추출물(HDFE) 500 mg/L에서 32.0%의 억제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뿌리에탄올추출물(HDRE)은 21.8%의 억제능을 보였다. 더 높은 농도인 1,000 mg/L에서는 과병열수추출물(HDFW), HDFE 순으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주름개선효과에 관한 활성은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활성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elastase에서 과병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두 효소를 모두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에서는 collagenase의 활성이 더 크게 저해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헛개나무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미백 및 주름개선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소재의 화장품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smeceutical Acitivies of Natural Material)

  • 김영훈;조우아;이진태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9-104
    • /
    • 2007
  • The most extensively used synthetic antioxidants are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and tert-butylhydroquinone (TBHQ). However BHT and BRA have been suspented of being responsible for liver damage andcar cinogenesi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search and exploitation of natural antioxidant, especially of plant origin, has grea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Plant contain a wide variety of chemicals that have potent biological effect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use of herbs as a source of therapeutic dru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of natural materials.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activity of natural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tyrosinase inhibition, anti-microbial and astringent.

  • PDF

금화규(Abelmoschus manihot ) 꽃 추출물의 In Vitr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 연구 (An In Vitro Study on the Activity of Abelmoschus manihot L. Flower Extract on Skin Anti-wrinkle and Skin Whitening)

  • 권현지;범석현;현진아;강은빈;박하은;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3-360
    • /
    • 2021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금화규(Abelmoschus manihot) 꽃의 미백 활성율 및 항주름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금화규 꽃은 물과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Tyrosinase 억제 활성은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활성이 증가 된다고 평가되었으며, B16F10 세포주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농도인 10, 25, 50, 75, 100 ㎍/mL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화규 꽃의 항주름 효능으로는 collagenase와 elastase의 활성 저해 능력을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은 항주름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금화규 꽃 추출물은 미백 활성과 항주름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ultifuctional Activities of Cultured extract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Ml as cosmeceutical ingredients.

  • S. Y. Vi;Lee, J. I;E. J. Han;G. J. Jung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243-244
    • /
    • 2003
  •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have been investigated on anti-tumor. cholesterol reduction in blood. promotion of immune and skin-beauty. We are focused on cosmeceutic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Ml, which i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The LAB.Ml has been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Ml and individually cultured with Soybean soup and Soybean-Curd whey, until the total acidity has been reached the highest. After then, cell-free extracts from Ml have been used for the following studies. We assessed th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Ml on the depigmentation of B16FlO melanoma cell. The melanin content of cells was decreased with 1-3% of cultured extracts. The tyrosinase activity was reduced by cell-free extra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Ml. Anti-aging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l cultured extract was also studied in NIH-3T3 human fibroblast cells. It showed that induction of cell proliferation. collagen synthesi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dditional studies for anti-fungal and anti-acne activity were also detected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ltured extract of Lactobacillun plantarum Ml would be used for cosmeceutical ingredients through multifunctional reaction on skin such as whitening, anti-wrinkle. anti-oxidation and anti-acnes.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Violapyrones B and C from a Marine-derived Streptomyces sp.

  • Lee, Hwa-Sun;An, Bong-Jeun;Kim, Hyeon Jeong;Cho, Yong Hun;Kim, Dong In;Jang, Jae Yoon;Kwak, Jae Hoon;Lee, Hyi-Seung;Lee, Yeon-Ju;Lee, Jong Seok;Shin, Hee Ja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251-254
    • /
    • 2015
  • Recently, we reported violapyrones B, C, H and I, unusual 3, 4, 6-trisubstituted ${\alpha}-pyrones$ derivatives, from the culture broth of the marine Streptomyces sp. 112CH148. In previous studies, violapyrones have been shown to have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ties. Howev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violapyrones has not been reported yet. As part of our ongoing study for the discovery of bioactive metabolites from marine microorganisms, we found that violapyrones also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olapyrones on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vitro. Violapyrones B and C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of RAW 264.7 cells at concentrations up to $25{\mu}M$. However, violapyrones B and C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compared to the LPS-induced control. In addition, violapyrones B and C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iNOS protei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violapyrones B and C.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항산화효과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 전동하;이진태;천순주;이창언;김태훈;이도형;한진규;김세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3-348
    • /
    • 2009
  •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L, 125 mg/L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 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1%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1,000 ppm에서 49.6%, 49.5%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nitrit oxide radical 저해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000 ppm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46.6%, 60.4%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이 92.7%, 70% EtOH 추출물이 91.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다소 낮지만 천연 항 산화제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나무 잎의 강한 항산화능을 피부노화 예방관련 미용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수종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 장민정;안봉전;이창언;이진태;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88-94
    • /
    • 2008
  • 본 연구는 리기다소나무 수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활성을 검증하고, 화장품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화장품 천연소재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페놀화합물은 물가용부와 EtOAc가용부에서 각각 47mg/L, 601mg/L로 정량되어 EtOAc가용부가 물가용부에 비해 12배 높은 함량이었다. DPPH 소거능은 EtOAC가용부 10ppm에서 86%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500ppm농도에서 물가용부와 EtOAC가용부에서 각각 76.3%, 80.5%로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1,000ppm에서 물가용부가 42%, EtOAC가용부가 10.9%로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리기다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밤나무잎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 장민정;전동하;김세현;한상익;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1-756
    • /
    • 2013
  • 본 연구는 노령목의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밤나무 잎에 함유된 물질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의 기능을 규명하여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천연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한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cation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BHA를 이용하여 밤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추출물의 경우 시료 농도에 따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증가 정도가 컸으며, 열수 추출물은 10 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밤잎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높고 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활성산소에 대한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 100 ug/ml에서 64.6%의 우수한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추출물은 100 ug/ml에서 열수 추출물 18.0%, 아세톤 추출물 14.3%, 에탄올 추출물 5.3%의 순으로 collagen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연구결과와 비교 시 밤잎 추출물은 주름개선에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름개선 원료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밤잎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소 활성을 갖는 천연소재로서 주름개선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삼 효능 평가 등의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