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6초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54-161
    • /
    • 2010
  • 도화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한 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0ppm에서 각각 54.0, 58.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40.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였다. 또한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56.5%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57.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1,000ppm에서 48.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ppm에서 41.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아세톤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화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 추출 분획물의 피부 미백효과 연구 (Skin Whitening Effect of Sedum kamtschaticum Fisch. Solvent Fractions)

  • 윤지혜;박지혜;김보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39-1247
    • /
    • 2020
  • 한국 자생식물인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는 열수 추출 형태로 혈액 순환 개선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내는 한약재로 사용되어왔다. 선행연구를 통해 기린초 여러 부위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린초의 줄기(Stem)와 뿌리(Root) 부위를 각각 70% ethanol (SKS, SKR)로 추출한 후, n-hexane (SSH), ethyl acetate (SSE, SRE), chloroform (SSC, SRC) 및 water (SSW, SRW) 순서로 용매 극성별로 분획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각 분획물마다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뿌리추출물(SKR)이 줄기추출물(SKS)보다 우수한 함량과 효과를 나타냈고, 전체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물(SSE, SRE)이 가장 효과가 우수했다. 또한,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도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하였고, 모든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10 ㎍/mL 농도에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했을 때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력을 보였다. 70% ethanol 추출물(SKS, SKR)에 대해 HPLC 분석 시 gallic acid와 quercetin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린초의 피부 항산화 효과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화장품 천연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황기(黃芪)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에멀션 점탄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s of Anti-oxidant and Viscoelastic on Emulsion by the Extra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 박찬익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3-97
    • /
    • 2012
  • Objectives : The Astragalus membranaceus has been used to diuretic, tonic, anti-viral, anti-oxidant activities in oriental herb medicine, and in each experiment, proved in this effects. Root of A. membranaceus includes according to flavonoid, saponin, polysaccharide, thus it has been studied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previou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with being limited mainly to food industr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nti-oxidative activity of A. membranaceus extracts. In addi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emulsions in the development of A. membranaceus for cosmetics. Methods : In this study, aimed SOD like activity of A. membranaceus extract, effects of A. membranaceus extract on viscoelastic properties of emulsion was measured using rheometer. Results : In the results, 1, 3-butylene glycol extract of A. membranaceus efficiently reduce the active oxygen, SOD like activity of more than 40% decrement depend on concentration. And A. membranaceus extract increase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emulsion, therefore A. membranaceus extract have not influence on stability loss. As such, the A. membranaceus extracts will remain stable when applied to emulsions or skin products. Conclusions : In consequence of this study, A. membranaceus extract can be effectively used in cosmetic emulsions when the relation between natural product extracts and formulation of cosmetics is elucidate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rheology be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 concentration for cosmetic formulations.

염생식물 갯질경 추출물의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the Halophyte L. tetragonum (Thunberg) A. A. Bullock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s)

  • 김민진;현광희;김지혜;한동환;김승영;이남호;현창구
    • KSBB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18-233
    • /
    • 2017
  • To identify the natural and novel cosmeceutical ingredients which have whitening func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on halophyte Limonium tetragonum (Thunb.) A. A. Bullock extracts. As a result, the extracts showed whitening effect with no cytotoxicity. Melanin contents of B16F10 melanoma cells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50, 100, $200{\mu}g/mL$ treatment of the extracts. In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test, L. tetragonum (Thunb.) A. A. Bullock extracts showed decreased tyrosinase activity as the concentration of ${\alpha}-MSH$ was increased.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adding L. tetragonum (Thunb.) A. A. Bullock extracts in ${\alpha}-MSH$, a melanogenesis inducing material, treated B16F10 melanoma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tetragonum (Thunb.) A. A. Bullock extract might be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by inhibit melanin formation.

트립신 처리에 따른 적송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rypsin-treated Pinus densiflora Ethanol Extract)

  • 문기은;박교현;이범주;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3-300
    • /
    • 2018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inus densiflora ethanol extracts (PDEE) treated with trypsine as a protease. Methods: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conte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DPPH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est material. To compa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paper disc diffusion assay was performed against two resident bacteria in human skin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Results: As for the total conte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and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oth PDEE and trypsin-treated Pinus densiflora ethanol extract (T-PDEE)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T-PDEE showed slightly higher activity than PDEE, which indicated protease treatment seemed to affect in antioxidant activity. In the result of paper disc diffusion assay, antibacterial activity was confirmed in all two types of skin resident bacteria. T-PDEE was more active than PDEE and it seems that treatment of protease may increas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DEE. Conclusion: All of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treatment of protease to PDEE can increase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it can be explained thought that this would be applicable as a cosmeceutical material in the future.

지유(地榆)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harmacologic activation as cosmetic material of Sanguisorbae radix)

  • 장영아;김영훈;신재천;한상익;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9-85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producing emulsion by using butanol fractions of Sanguisorbae radix(SRA-B) which have hig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then evaluating stabilities of the emulsion. Methods : We measured antioxidant efficacy of SRA-B by using DPPH assay. Also, we checked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by using the Western blot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RA-B3. We prepared emulsion containing SRA-B3(E-SRA-B3) and analysed its particle size distribution under a microscope. Also, we performed the test for stability of the emulsion. Results : SRA-B3 showed the highest efficacy in electronic donating abilities' activity. The Western blo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tein expression's amount of iNOS and COX-2 in macrophage stimulated by LPS were reduced by SRA-B3 treatmen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E-SRA-B3 was $5{\sim}6{\mu}m$ in diameter and was $6.7{\mu}m$ in a view of the particle distribution. For a period of a observation, E-SRA-B3 has not made particular changes with storage temperature. It was observed that E-SRA-B3 could preserve its stable condition without a particular difference of viscosity during 28 days.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RA-B3 has potentiality enough to be applied to industrialization and could be utilized as antioxidative natural materials and anti-inflammatory cosmetics.

찔레나무뿌리(Rosa multiflora root)의 항산화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 박근혜;이진영;김동희;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20-1126
    • /
    • 2011
  • 찔레나무뿌리를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에서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추출물에서 가장 많은 67.05${\pm}$0.56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DPPH, ABTS, superoxide anion 라디컬소거능 확인 결과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의 HA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500 ${\mu}g/ml$ 에서 60% 이상의 높은 HAase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뚜렷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NO 생성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사실에 기초하여 NO 생성저해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iNOS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추출물 100 ${\mu}g/ml$에서 40%의 iNOS protein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iNOS의 발현억제가 NO생성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으로 NO생성억제는 iNOS의 발현저해를 경유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후 산업적 응용도 가능함으로 기능성화장품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버섯복합물의 항산화 효과 (Studies on Antioxidant Effect of Mushroom Complex)

  • 전동하;김희영;한상익;김영;김세기;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7-3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동충하초, 영지, 상황 버섯 복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3가지 버섯을 각각 70% 에탄올 추출하여 80:10:10의 비율로 혼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DPPH radical을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에서는 버섯 복합물이 500 ${\mu}g/ml$의 농도에서 66%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은 50 ${\mu}g/ml$에서 73%, 500 ${\mu}g/ml$에서 대조군인 BHA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은 버섯 복합물 10 ${\mu}g/ml$에서 41%로 대조군인 BHA에 비해 3배 이상의 높은 효과가 있었고, 50 ${\mu}g/ml$, 100 ${\mu}g/ml$에서도 BHA 보다 효과가 높았으나, 500 ${\mu}g/ml$에서는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Lipid oxidation 측정결과 $Cu^{2+}$군보다 $Fe^{2+}$군이 지방 산패 억제능이 뛰어났다. SOD 유사활성능 측정은 500 ${\mu}g/ml$에서 13%의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 버섯 복합물의 항산화 효과가 아주 우수했으므로, 항산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아세포에서의 MMP-2 및 MMP-9 활성 억제에 의한 베르베린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berberine by inhibition of MMP-2 and MMP-9 activity in fibroblasts)

  • 장영아;이진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9-15
    • /
    • 2018
  • 우리는 황련에서 분리된 베르베린의 화장품소재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와 항주름 효능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산화와 항주름 활성평가를 위해 ROS 생성능, hyaluronic acid 생성능, MMP-2, -9, TIMP-1,-2, $TNF-{\alpha}$의 발현을 각각 측정하였다. 베르베린에 대한 자외선의 세포 독성은 CCD-986sk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TT 분석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이 $25{\mu}g/mL$의 농도 미만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베르베린이 ROS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베르베린은 주름 형성과 관련된 MMP-2 및 MMP-9의 protein 단계 및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TIMP-1 및 TIMP-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프로 pro-inflammatory cytokine 으로 알려진 $TNF-{\alpha}$에 대한 베르베린의 억제효능을 실험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NF-{\alpha}$ 유전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베르베린은 활성산소종의 억제와 TIMP-1과 -2의 발현 조절에 의한 MMP-2,-9의 감소로 항산화 및 항주름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포도 전정가지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In vitro activities of Grape Pruning Stems for Application of Cosmetic Ingredients)

  • 양재황;백성환;박동우;전동하;김극준;장민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48-654
    • /
    • 2014
  •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수 중의 하나로 포도 및 포도 가공제품에 대한 성분분석, 항산화, 항암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겨울처 전정되어 버려지는 전정가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도전정가지 추출물(GPSE)의 총 폴리페놀함량, 항산화활성, 미백 및 주름개선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HPLC분석에는 GPSE는 614.05 ug/g의 trans-resveratrol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DPPH 라디칼소거능, ABTS 라디칼소거능 등의 항산화 실험을 통해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BHA와 L-ascrobic acid에 비교하여 GPSE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활성 측정을 위한 tyrosinase 저해활성 실험에서도 GPSE는 15.35%, arbutin은 1.48%로 GPSE의 미백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름개선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GPSE는 trans-resveratrol 함량이 높은 천연항산화제로 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