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i fructu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1초

항산화 천연산물의 조합구성에 의한 Bifidobacterium bifidum의 성장 촉진 효과 (The Growth Promoting Effect of Bifidobacterium bifidum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dative Capacity)

  • 김종덕;신태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8-394
    • /
    • 2002
  • B. bifidum의 성장은 천연산물의 한 종류 단독으로서도 촉진되었으며, 또한 두 종류, 세 종류, 네 종류의 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이것은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에 B. bifidum의 성장 촉진 물질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 항산화 제제의 제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이 균주는 연자육 산수유 및 사간 등의 한 종류의 천연산물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두 종류 천연산물의 조합인 연자육과 녹차, 연자육과 산수유 등의 조합, 세 종류의 천연산물 조합인 연자육과 산수유 및 녹차, 연자육과 녹차 및 사간 등의 조합, 네 종류의 천연산물 조합인 녹차, 사간과 산수유 및 감초의 조합, 연자육, 산수유와 녹차 및 감초 등의 조합에서 잘 성장함을 보였으며, 녹차, 사간과 산수유 및 감초의 조합이 대조군보다 2.6배 이상의 성장을 보였다. B. bifidum의 성장을 촉진시킨 4차 배합 조성물의 항산화력은 연자육, 녹차와 사간 및 산수유 조합의 AUC가 694.43로써 대조군의 AUC(116.61)보다 6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이 조합의 세균성장은 대조군보다 2.6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연자육, 산수유와 녹차 및 감초의 조합(672.14), 녹차, 사간과 산수유 및 감초(633.03)의 조합, 그리고 연자육, 녹차와 사간 및 감초의 조합(560.8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항산화력은 대조군의 AUC 116.61보다 5-6배 정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항산화력이 강한 조합에서 좋은 세균의 성장 촉진을 보였다. 네 종류의 4차 조합된 천연산물의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연자육, 산수유와 녹차 및 감초의 조합에서 84%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당귀, 음양곽과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이 100배의 희석액에서 87.99%의 소거 활성을 보였고, 연자육, 녹차와 사간 및 산수유의 조합, 녹차, 사간과 산수유 및 감초의 조합 그리고 연자육, 녹차와 사간 및 감초의 조합에서도 희석 배수에 무관하게 모두 80% 이상의 hydroxyl radical의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네 종류 조합의 총phenol량은 녹차중의 증제차나 볶음차의 비발효 차 보다 30-3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발효차인 오룡차보다는 32-35배, 발효차인 홍차보다는 55-60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4종류 조합은 B. bifidum의 성장 촉진 및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장의활성을 도울 수 있는 다기능성 제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한약재복합 추출물의 인간피부섬유아세포 HS68에 대한 항노화 효과 (Antiaging Activity of Mixed Extrac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on HS68 Skin Fibroblast)

  • 신동철;김귀철;송시영;김희진;양재찬;이용화;김보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45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aging and antioxidant effects o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 with 80% ethanol extracts of plants including of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Methods : An ethanol extract of three medicinal plants including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Extract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was evaluated by two different assays as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 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ies. These extracts were tested for cell viability on HS68 skin fibroblast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violet-B irradiation on cytotoxicity, type 1 collagen, elastin level and oxidative damage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 (HS68).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astin is also involved in inhibiting or repairing wrinkle formation, although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Results : The extracts obtained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 like activity. The extracts of complex herbal medicine showed low cytotoxicity as more than 100% cell viability in 100ppm/ml concentration. HS68 fibroblasts were survived 70% at 120 $mJ/cm^2$ UVB irradiation and treat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The levels of aging factors and cytotoxicity were decreased by ethanol extract of complex herbal medicin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complex medicinal plants of including of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may have value as th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aging medicinal plant.

육미지황탕 구성약물이 PC12 세포의 산화억제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effects of the Herbs Composing Yukmijihwang-tang on PC12 Cell)

  • 서영은;이은아;배현수;신민규;홍무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3-208
    • /
    • 2003
  • Antioxidant effects of Rehmannia vaporata, Discorea Radix, Corni Fructus, Hoolen, Alismatis Radix, and Mountain Cortex Radicis composing Yukmijihwang-tang were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defensive effect of each component on cell damage, only the survival rate of cells with 10 ㎎/㎖ Mountain Cortex Radic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2. Next,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m on ROS occurrence.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ROS occurrence in cells; with 10 ㎎/㎖ Rehmannia vaporata, cells with 10 ㎎/㎖ Corni Fructus, and cells with 10 ㎎/㎖ Mountain Cortex Radicis. Since the cells with 10 ㎎/㎖ Rehmannia vaporata, however, showed significant cypotoxicity, its result is not meaningful. 3. Finally, the investigation of ROS occurrence / cell found that Corni Fructus and Mountain Cortex Radicis ha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ROS occurrence.

Fructus Corni Officinalis water extract Ameliorates Memory Impairment and Beta amyloid (Aβ) clearance by LRP-1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a Rat model of Alzheimer’s Disease

  • Lee, Ju Wo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47-354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Fructus Corni Officinalis water extract (FCE) on congnitive impairment and Aβ clearance induced by beta amyloid Aβ (1-42) injection in the hippocampus of rat. Aβ (1-42) was injected into the hippocampus using a Hamilton syringe and micropump (5 ㎍/5 ㎕, 1 ㎕/min, each hippocampus bilaterally). FCE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100, 250, 500 mg/kg) for 4 weeks after the Aβ (1-42) injection. The acquisition of learning and retention of memory were tested using the Morris water maze. Aβ accumulation and Aβ clearance in the hippocampus were observed using immunostaining. Aβ (1-42) level in plasma was confirm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CE significantly shortened the escape latencies during acquisition training trials. F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arget heading to the platform site and significantly shortened the time for the 1sttargetheadingduringtheretentiontesttrial.FCEsignificantlyattenuatedthe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produced by Aβ (1-42) injection. FCE significantly increased LRP-1 expression around vessels in the hippocampus and Aβ (1-42) levels in plasma. The results suggest that FCE improved cognitive impairment by ameliorate Aβ clearance and 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FCE may be a beneficial herbal formulation in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산수유의 유리자유기에 의한 간손상 보호효과 및 기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of Corni Fructus Against Free Radical Mediated Liver Damage)

  • 하기태;김영미;김철호;최달영;김준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2-88
    • /
    • 2008
  • We evaluated the potential protective activity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herb, Corni fructus (CF), in an experimental model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tetrachloride $(CCl_4)$. The CF exhibited a hepatoprotective activity against Chang cell. And The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2E1 (CYP2E1),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F treated Chang cell. But $CCl_4$ and CF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1A1 and 3A1 isoform of cytochrome P450.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F possibly related to antioxidative effects and downregulation of CYP2E1 expression.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Sarcoma-180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Antitumor Activity of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 in Sarcoma-180 Cancer Cells)

  • 권승혁;권순재;김재용;강갑석;심기환;이미경;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60-965
    • /
    • 2010
  • 산수유를 항암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sarcoma-180 암세포에 대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증식 억제 및 마우스에서의 수명 연장효과를 검토하였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10, 100, 300 및 $500\;{\mu}g/mL$ 농도로 24, 48 및 72시간 별로 sarcoma-180 암세포에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500\;{\mu}g/mL$ 농도에서 48시간 배양 시 6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100\;{\mu}g/mL$ 농도 이상으로 처리한 암세포에서는 대조군의 증식이 감소되었으며, 형태학적 변화도 관찰되었다. 또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핵을 응축하고 apoptotic bodies를 생성하였으며, 300 및 $500\;{\mu}g/mL$의 농도에서는 DNA fragmentation을 유도하였고 이러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활성과 관련이 있었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sarcoma-180 암세포가 접종된 마우스 복강에 7일간 100 및 300 mg/kg/day의 농도로 연속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산수유 투여군의 수명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따라서 이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산수유는 암 예방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지역 특산 천연산물 전호, 파고지, 희첨 및 산수유의 항비만효과 규명 (Exmination of Anti-Obesity Effect of Regional Special Natural Products of Anthrisci radix, Psoraleae semen, Siegesbeckiae herba and Corni fructus)

  • 신진혁;차구용;김희진;황재호;한경호;서효진;신태선;오석중;김종덕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49-55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신생혈관형성 제어에 바탕을 둔 비만세포제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지역 천연산물인 전호(Anthrisci radix), 파고지 (Psoraleae semen), 희첨 (Siegesbeckiae herba) 및 산수유 (Corni fructus)를 이용한 지방 축적물 변화 및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adipocyte를 이용한 Oil Red O 염색 및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호, 파고지, 희첨, 산수유의 세포 독성 이내의 농도 증가에 따라 지방 축적물이 감소됨을 보였다. 또한 western blot을 위해 lipogenesis와 관련된 SREBP-1 및 adipogenesis와 관련된 $PPAR\gamma$와 C/$EBP\alpha$의 신호전달 정도를 확인한 결과 4가지 지역 천연산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단백질의 발현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4가지 지역 천연산물 추출물이 지방분화와 관련된 신호분자를 차단함으로써 지방형성이 억제되었음을 보였다. 따라서 4가지 지역 천연산물인 전호, 파고지, 희첨 및 산수유는 신생혈관형성 억제에 따른 항비만제제로서의 이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Corni fructus)

  • 권승혁;양희선;김재용;박경욱;손미예;강갑석;심기환;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7-291
    • /
    • 2009
  • 산수유를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300 및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64, 7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 RAW264.7에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100, 3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산수유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유방암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24, 48, 72시간 반응시킨 결과 농도 및 시간에 의존적으로 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500{\mu}g/mL$ 농도로 72 시간 처리 시 60% 이상의 높은 증식억제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MCF-7 유방암 세포에 bisphenol과 $17{\beta}$-estradiol과 같은 환경호르몬을 $0.1{\mu}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증식이 유도되었으며, 이 세포에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하였을 때 유방암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산수유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산수유(Corni fructus)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of Corni fructus extracts in activated RAW 264.7 macrophage)

  • 김예진;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76-882
    • /
    • 2016
  • 산수유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계통분획하여 얻은 추출물(water 분획물, CWF; EtOAc 분획물, CEF; butanol 분획물, CBF)의 항산화활성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분획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179.3 mg TAE/g)이 확인된 CEF의 경우 대조군으로 사용된 BHA와 ${\alpha}-tocopherol$보다 뛰어난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DPPH: $RH_{50}$; $25.1{\mu}g/mL$, ABTS: $RC_{50}$; $36.1{\mu}g/mL$)이 확인되다.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NO, $PGE_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억제 측정을 통한 항염증 효과 분석 결과, 산수유 분획물(CWF, CEF, CBF)은 용매에 따른 유의적 차이 없이 처리농도 범위($1{\sim}100{\mu}g/mL$)에서 NO, $PGE_2$ 및 염증성 cytokine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CWF와 CE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100{\mu}g/mL$ 농도에서 CWF($0.5{\mu}M$)와 CEF($1.2{\mu}M$)는 LPS 비처리군과 유사하게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100{\mu}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염증성 cytokine 생성 억제 효과는 CWF가 $TNF-{\alpha}$의 생성을 51.2%, CEF가 $IL-1{\beta}$와 IL-6의 생성을 각각 67%와 58% 억제하여, 산수유 분획물의 뛰어난 항염증 효과가 확인되었다.

뇌해마배양조직을 이용한 치매 뇌손상 모델에 대한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과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약재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Investigation of Neuroprotective Effect Using Herb Medicine against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 곡경내;김종우;정선용;박지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7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rb medicine against Alzhheimer's disease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Methods: We induced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s by $\beta$-amyloid. Those slices were treated with herb medicines - Hwangryeonhaedoktang, Sopungsoongiwon. Using by PI staining, the extents of cell death were assessed. After that, we selected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ose herb medicines and the major components of that medicine were studied to reveal neuroprotective effects and related proteins by using PI stating. Results: In PI staining, Sopungsoongiwon is the best effective herb medicine between Hwangryeonhaedoktang and Sopungsoongiwon. Notopterygii Rhizoma, Corni Fructus, Areca Catechu, Aurantii Fructus Immaturus, Plantaginis Semen is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e components of Sopungsoongiwon. Conclusions: We suggested that purgative effect would be the best effetive medicine on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between clearing heat and toxic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