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해마배양조직을 이용한 치매 뇌손상 모델에 대한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과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약재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Investigation of Neuroprotective Effect Using Herb Medicine against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 곡경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정선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박지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Chu, Ching-Nai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Jong-W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Chung, Sun-Yong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Park, Ji-Ho (Gra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10.02.18
  • 심사 : 2010.03.12
  • 발행 : 2010.03.30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rb medicine against Alzhheimer's disease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Methods: We induced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s by $\beta$-amyloid. Those slices were treated with herb medicines - Hwangryeonhaedoktang, Sopungsoongiwon. Using by PI staining, the extents of cell death were assessed. After that, we selected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ose herb medicines and the major components of that medicine were studied to reveal neuroprotective effects and related proteins by using PI stating. Results: In PI staining, Sopungsoongiwon is the best effective herb medicine between Hwangryeonhaedoktang and Sopungsoongiwon. Notopterygii Rhizoma, Corni Fructus, Areca Catechu, Aurantii Fructus Immaturus, Plantaginis Semen is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e components of Sopungsoongiwon. Conclusions: We suggested that purgative effect would be the best effetive medicine on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between clearing heat and toxic mater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 편찬위원회. 한의신경정신과학. 경기:집문당. 2007:324-33.
  2. Whitehouse PJ, Price DL, Strble RG, Clark AW, Coyle JT, Delon MR. Alzheimer's disease and senile dementia ; loss of neurons in the basal forebrain. Science. 1982;215(4537):1237-9 https://doi.org/10.1126/science.7058341
  3. Lee SC, Liu W, Dickson DW, Brosnan CF, Berman JW. Cytokine production by human fetal microglia and astrocytess. J Immunol. 1998;150:2659.
  4. Peterson PC, Hu S, Molitor TW, Shaskan EC, Peterson PK. Activated microglia mediated neuronal cell injury via a nitric oxide mechanism. J Immunol. 1992;149:2730.
  5. Pyo H, Joe E, Jung S, Lee SH, Joh I. Gangliosides activate cultured rat brain microglia. J Biol Chem. 1999;274(49):34584-9. https://doi.org/10.1074/jbc.274.49.34584
  6. Veurink G, Fuller SJ, Atwood CS, Martins RN. Genetics, life style and the roles of amyloid beta and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s disease. Annals of human biology. 2003;30(6):639-67 https://doi.org/10.1080/03014460310001620144
  7. 김형휼. 東醫寶鑑 中 黃連解毒湯의 活用에 대한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8. 김은선, 박치상, 박창국. 黃連解毒湯과 溫淸飮이 고혈압 및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9;20(1):185-96
  9. 안중환. 黃連解毒湯이 DSS로 유발된 흰쥐의 궤양성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10. 김광호, 김성수. 黃連解毒湯과 온성오혈방의 수침 및 경구투여가 진통, 소염, 해열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4;15(1):9-25.
  11. 류순현, 양대진, 조기호, 김영석. 黃連解毒湯 가미방으로 호전시킨 중풍환자 불면증 3예. 대한한의학회지. 2001;22(2):120-7.
  12. 정선용. 黃連解毒湯이 우울증 모형 동물의 우울성향 및 PVN의 c-Fos발현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13. 홍성원. 黃連解毒湯이 우울증 모형 동물의 수중미로학습과 뇌의 Tyrosine Hydroxylase 발현 수준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14. 문진영. 黃連解毒湯의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및 항산화효소계의 발현과 Acetylcholinest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22(1):7-12
  15. 공민정, 하니나, 이하영, 김용태, 노승주, 김호철. 黃連解毒湯과 및 加味方의 인지기능회복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4;19(4):161-8.
  16. 이건호. 黃連解毒湯의 항알러지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7. 허준. 동의보감. 법인문화사. 1999:466-76, 945-74.
  18. 정재욱. 중풍환자의 변비에 대한 疏風順氣元의 임상적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9. 이성현, 안세영, 두호경, 정성현. db/db 마우스에서 수풍순기환의 혈당강하 및 기전연구. 응용약물학회지. 1999;7:335-41.
  20. 배미라, 정성현. 고지방식이 섭취 마우스에서 수풍순기환의 혈당강하활성 및 기전. 경희약대논문집. 2000;28:101-8.
  21. 문하경, 김종우, 강철훈, 황의완. 淸肺瀉肝湯과 單味들이 Hypoxia-Reoxygenation에 의해 손상 받은 Mouse Neuroblastoma 2a cells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6(2):89-112.
  22. 안상훈, 김종우, 강철훈, 황의완. 黃連解毒湯이 Hypoxia-reoxygenation에 의해 손상 받은 Mouse Neuroblastoma 2a cells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2):37-59
  23. 김광호. 청혈단의 6-hydroxydopamine에 의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신경세포보호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24. 김이동, 이상호, 김은주, 김태훈, 박영민, 정동원, 신원준, 정우상, 배형섭, 윤상필. 중풍환자 1기 고혈압에 청혈단(淸血丹)의 항고혈압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2):195-201.
  25. Ramsden M, Henderson Z, Pearson H. Modulatino of Ca2+ channel currents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neurones by amyloid beta protein(1-40) is dependent on solubilit status. Brain Res. 2002;956:254-61 https://doi.org/10.1016/S0006-8993(02)03547-3
  26. Macklis JD, Madison RD. Progressive incorporation of propidium iodide in cultured mouse neurons correlates with declining electrophysiological status: a fluorescence scale of membrane integrity. J Neurosci Methods. 1990;31:43-6. https://doi.org/10.1016/0165-0270(90)90007-3
  27. Laake JH, Haug FM, Wieloch T, Ottersen OP. A simplein vitro model of ischemia based on hippocampal slice cultures and propidium iodide fluorescence. Brain Res Protoc. 1999;4:173-84. https://doi.org/10.1016/S1385-299X(99)00021-5
  28. 鄭智天. 左歸飮과 右歸飮에 의한 활성 산소류의 消去作用과 抗酸化 酵素系의 活性增加效果에 대한 연구. 大韓韓醫學會誌. 1996;17(1):21-36.
  29. 이준영, 정인철, 이상룡. 天王補心丹이 치매 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149-71.
  30. 하수영, 정인철, 이상룡. 加減固本丸이 치매 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1):53-77.
  31. 우주영,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調胃升淸湯이 흰쥐의 방사형 미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1):69-79.
  32. 이웅석,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調胃升淸湯이 Alzheimer'sdisease모델 백서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경희한의대 논문집. 1998;21(1):479-501.
  33. 박순권, 이홍재, 김현택, 황의완. 한약물의 치매치료에 관한 실험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9(2):19-35
  34. 박진성, 강형원, 유영수. 생체외 알츠하이머병 실험모델에서 星香正氣散加蒲公英의 효과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2):157-72.
  35. 최병만, 이상룡. 益精地黃湯이 치매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23-42.
  36. 정인철. 導痰益氣活血湯이 Alzheimer's desease 병태 모델의 생화학적 변화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1.
  37. 고태준, 이상용. 補益淸腦湯이 치매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 12(1):151-67.
  38. 이재혁,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荊防地黃湯이 흰쥐의 Morris水中 迷路學習과 記憶에 미치는 影響.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39. 강현근, 김종우, 황의완. 香附子八物湯이 Alzheimer's disease 모델 白鼠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影響.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9;10(1):39-51.
  40. 김영욱. 총명탕이 건망유도 백서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8;8(2):464-79.
  41. 하수영, 정인철, 이상룡. 聰明湯과 山査聰明湯이 Alzheimer's disease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7(1):59-78.
  42. 박지운. 聰明湯과 木槿皮聰明湯이 CT105와 ${\beta}$A로 유도된 Alzheimer's Disease 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1):37-57.
  43. 황의완. 麝香蘇合元이 Alzheimer's disease 모델 白鼠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9;10(1):1-16.
  44. 박지운, 정인철, 이상룡. 日黃連이 치매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1):87-9.
  45. 윤상학, 정인철, 이상룡. 香附子가 치매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1):59-74
  46. 최재환, 김미영, 김현미, 최훈, 전훈, 김대근, 임종필, 임강현. 수종 한약의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즈 효소활성에 대한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2;17(1):131.
  47. 이정희. 항치매 약효를 나타내는 천연물의 의약 화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8. 康永祿. 遠志와 石菖蒲의 단독 및 혼합투여가 백서의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1997.
  49. 류성진. 한약재로부터 뇌세포 산화억제와 항허혈 치매 물질 탐색.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3.
  50. 김상호, 강형원, 류영수. 釣鉤藤이 ${\beta}$APP과 발현 인간세포아세포암에서의 항치매효과에 대한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5):960-6.
  51. 김영석. 血栓症 및 高粘度血症에 대한 당귀음과 黃連解毒湯의 실험적 비교연구. 경희의학. 1991;8(3):322-31.
  52. 김현수. 巴戟天이 치매 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1):45-58.
  53. 백봉숙. 녹차로부터 분리된 Epicatechin3-O-Gallate의 항산화작용 기전에 관한 연구. 釜山大學校 藥學硏究誌. 1995;29(2):49-56
  54. 임홍. 선도기술 개발사업;Heterocyclic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의 개발(NDSL-DB). 대한민국:KISTI. 1998.
  55.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2004:166, 286, 291, 293, 305, 358, 397, 423, 469, 584, 621, 690.
  56. Stoppini LP, Buchs A, Muller D. A simple method for organotypic cultures of nervous tissue. J Neurosci Methods. 1991;37:173-93. https://doi.org/10.1016/0165-0270(91)90128-M
  57. Gahwiler BH, Capogna M, Debanne D, Mckinney RA, THompson SM. Organotypic slice cultures:a technique has come of age. Trends Neurosci. 1997;20:471-7. https://doi.org/10.1016/S0166-2236(97)01122-3
  58. Irma E Holopaine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A model system to study basuc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 s of neuronal cell death, neuroprotection, and synaptic plasticity. Neurochemical Research. 2005;30(12):1521-8. https://doi.org/10.1007/s11064-005-8829-5
  59. Research, "Development of Functiopnal Foods for the Prevention of the Circulatory Disseases and Dementia Using Agricultural and Fishery Resource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orea. 1998
  60. 이상인. 한약임상응용. 서울:성보사. 1990:497.
  61. 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서울:일월서각. 1994:694.
  62. 國家中醫藥管理局 <<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第五卷).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5:738-42.
  63. 고석태, 임동윤. 車前子(질경이)의 약리학적 연구. 약제학회지. 1977;7(1):28-35.
  64. 지옥표, 문형인. 차전자의 항암활성성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99;7(2):143-6.
  65. 윤혜숙, 장일무. 강장제로 사용된 생약의 조사연구 차전자의 강장효과에 관하여. 생약학회지. 197;89(3):139-44.
  66. 윤혜숙, 강길종, 장일무. 차전자의 간보호효과. 생약학회지. 1979;10(1):36.
  67. Kim JS, Kang SS, Choi JS, Lee MW, Lee TS. Antioxidant components from Aralia continentalis. Kor J Pharmacogn. 1998;29:13-7.
  68. Park HJ, Hong MS, Lee JS, Leem KH, Kim CJ, Kim JW, Lim S. Effects of Aralia continentalis on hyperalgesia with peripheral inflammation. Phytother Res. 2005;19:511-3. https://doi.org/10.1002/ptr.1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