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er error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4초

FSR센서를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안정점 제어 (ZMP Control of a Humanoid Robot Using FSR Sensors)

  • 황병훈;공정식;김진철;허욱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05-50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measurement of ZMP using FSR sensors, and then the ZMP control with measured ZMP on single leg. ZMP is mostly used as standard evaluation of stability of a humanoid robot. The ISHURO has 5 sensors which are mounted at each corner and center of a sole. ZMP is computed using a model of a humanoid robot and information from the joint encoders. And we may able to use measurement data from FSR sensors at the robot feet. IP(Integration Proportional) control algorithm is applied to position control of ZMP that is an error of desired ZMP between measured ZMP.

  • PDF

칼만필터를 이용한 부상시스템 관측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server Design of the Levitation System using Kalman Filter)

  • 조정민;한영재;이창영;이형우;강부병;이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91_1192
    • /
    • 2009
  • The objective of levitation control design is to stabilize a levitation system, or obtain certain transient response, bandwidth, and steady state error. An air gap signal from the each corner is important parameter to design levitation controller. A levitation controller using gap signals with measurement delay time can not make a expected performance. In this paper, a new air gap estimato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evitation controller is proposed. The estimated gap signal which has little measurement delay time is used as a feedback value in the levitation controller.

  • PDF

라체트 휠의 자동설계와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Desig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nd Automatic Design of Lachet Wheel)

  • 박진형;이승수;김민주;김태호;전언찬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한국공작기계학회)
    • /
    • pp.3-8
    • /
    • 2001
  •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for the ADS optimum design by using FEA. We write out program which express ADS perfectly and reduce the required time for correcting of model to the minimum in solution and manufacture result. We complete algorithm which can plan optimum forming of model by feedback error information in CAE. Then we correct model by feedback date obtaining in solution process, repeat course following stress solution again and do modeling rachet wheel for optimum forming. That is our aim. In rachet wheel, greatest equivalence stress originates in key groove corner and KS standard is proved the design for security.

  • PDF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최적자동설계 데이터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Optimum Auto-design Data using FEA)

  • 박진형;이승수;김민주;김순경;전언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6-409
    • /
    • 2001
  •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for the ADS optimum design by using FEA. We write out program which express ADS perfectly and reduce the required time for correcting of model to the minimum in solution and manufacture result. We complete algorithm which can plan optimum forming of model by feedback error information in CAE. Then we correct model by feedback date obtaining in solution process, repeat course following stress solution again and do modeling rachet wheel for optimum forming. That is our aim. In rachet wheel, greatest equivalence stress originates in key groove corner and KS standard is proved the design for security.

  • PDF

볼렌즈를 이용한 광학식 진직도 측정시스템 (Optical Straightness Measuring System Using a Ball-lens)

  • 이민호;조남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33-1139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method to improve a sensitivity of a straightness measurement system for a linear stage,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based on a geometric optic method. An optical system for this method is composed of a corner-cube retro-reflector, a ball-lens and a twodimensional position sensitive detector (2D PS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was examined theoretically, and verified experimentally using a prototype measurement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suring sensitivity was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ball-lens and the setup position of PSD from the ball-lens, an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icient method to improve the measuring sensitivity.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AGV의 주행 환경 인식과 간단한 벽면 따르기 알고리즘 (Driving Environment Recognition and a Simple Wall-Following Algorithm for AGV Using Sonar Sensor)

  • 김성중;이정웅;이창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337-234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of AGV(Automatic guided vehicle)'s moving environment(plane, corner, edge) recognition using SONAR sensor configuration. As for the SONAR sensor, the Crosstalk effec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as an inevitable noisy phenomenon in the indoor environment. However, this effect can be used as a clue for classifying and localizing targets in the indoor environment if those can be controlled and used well. EERUF(error eliminate rapid ultrasonic firing) is a method for firing multiple ultrasonic sensors in mobile robot application and multi-echo mode of POLARIOD Device can reduce the Crosstalk effect. Here, Crosstalk effect was reduced using EERUF and applied to the AGV with a simple wall-following algorithm in the indoor environment. This method was tesed by a typical AGV with multi SONAR sensors in the laboratory environment.

  • PDF

A Nonlinear Analytic Function Expansion Nodal Method for Transient Calculations

  • Joo, Han-Gyu;Park, Sang-Yoon;Cho, Byung-Oh;Zee, Sung-Quun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79-86
    • /
    • 1998
  • The nonlinear analytic function expansion nodal (AFEN) method is applied to the solution of the time-dependent neutron diffusion equation. Since the AFEN method requires both the particular solution and the homogeneous solution to the transient fixed source problem, the derivation solution method is focused on finding the particular solution efficiently. To avoid complicated particular solutions, the source distribution is approximated by quadratic polynomials and the transient sourc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error due to the quadratic approximation is minimized.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two-node solution scheme that is derived by imposing the constraint of current continuity at the interface corner points. The method is verified through a series of applications to the NEACRP PWR rod ejection benchmark problem.

  • PDF

멀티모달 다중 카메라의 영상 보정방법 (A Calibration Method for Multimodal dual Camera Environment)

  • 임수창;김도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138-2144
    • /
    • 2015
  • 멀티모달 다중 카메라 시스템은 동일 기종이 아닌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와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성한 스테레오 형태의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열화상 카메라와 광학카메라에서 동시에 인식이 가능한 전용 타겟을 제작하여 스테레오 보정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인 스테레오 교정에서는 두 카메라 사이의 내부 파라미터와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교정을 진행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영상에서 코너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코너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두 영상 사이의 픽셀 오차율, 영상의 회전정도 및 영상의 크기 차이를 구한다. 이를 이용하여 기하학적 변환중 하나인 어파인 변환을 이용하여 보정을 진행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보정된 영상에 매핑되는 영역을 재구성하여 최종 결과 영상을 구했다.

동공 움직임, 각막 반사광 및 Kalman Filter 기반 시선 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aze Tracking Based on Pupil Movement, Corneal Specular Reflections and Kalman Filter)

  • 박강령;고유진;이의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3호
    • /
    • pp.203-2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 카메라 및 눈동자 좌표계간의 복잡한 3차원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동공의 중심 위치와 모니터의 구석에 설치된 적외선 조명에 의한 네 개의 조명 반사광 사이의 관계를 사용하여 2차원적인 변환 방법으로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파악한다. 동공중심과 조명 반사광을 정확하게 추출하고, 이를 통해 계산된 시선 위치 계산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차 요소들을 보정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동공 중심을 통해 계산된 시선위치와 실제 시선 축이 이루는 카파에러를 초기 1회의 사용자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보정하였다. 또한,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눈의 급격한 움직임 변화에도 각막 조명 반사광을 안정적으로 추적하여 시선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연구방법의 시선 위치 추출 오차는 눈의 급격한 움직임 변화에 상관없이 약 1.0$^\circ$ 를 나타냈다.

초음파 영상을 위한 계층적 특징점 기반 블록 움직임 추출 (Hierarchical Feature Based Block Motion Estimation for Ultrasound Image Sequences)

  • 김백섭;신성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4호
    • /
    • pp.402-410
    • /
    • 2006
  • 연속된 초음파 영상 시퀀스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접된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을 추정해야 한다. 기존에는 고정 블록 움직임 추정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정확성을 높이고 계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다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특징점 기반 블록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블록 움직임 추정 방법은 규칙적으로 블록을 배치하기 때문에 추정된 움직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블록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을 중심으로 블록을 배치하여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는 유지하면서 블록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어파츄어문제(aperture problem)을 줄이기 위해 코너점을 특징점으로 하였다. 움직임 추정 영역은 일정한 크기의 부영역으로 나누고, 각 부영역에서 가장 코너 강도가 큰 점을 선택하였다. 특징점을 선택하는 데는 해리스 스테판 코너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코너점들이 한 곳으로 편중될 경우 블록들이 움직임 추정 영역에서 골고루 분산되지 않아 이렇게 구한 블록 움직임을 이용하여 전역 움직임을 구하면 오차가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징점을 선택하는 영역에 제한을 두도록 하였다. 초음파 영상에는 스펙클과 잡음이 많아 코너점을 구하기 전에 영상 평활화를 해야 한다. 계산시간을 줄이고 잡음이 감소된 영상에서 코너점을 구하기 위해 저해상도 영상에서 블록 움직임을 구한 후 점점 고해상도로 확산하는 형태로 다해상도 영상을 사용한다. 실제 세가지 종류의 초음파 영상 시퀀스에 대해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움직임 추정 오차(Displaced Frame Difference)를 평균 66.02에서 58.98로 줄이면서 계산시간은 평균 71ms에서 44ms 으로 빠르게 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