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bead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2초

동선(銅線)을 이용한 헤어 장식(裝飾) 디자인 연구(硏究) (A study on hair art design using the copper wire)

  • 박은정;안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1호
    • /
    • pp.38-47
    • /
    • 2007
  • In the modern society that is advancing rapidly, the hair art is also advancing and subdivi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que field of formative as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copper wire, focused on such a harmony of hair art, the present thesis aims at developing concept of hair art as a creative way, and recogn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pper wire as analyze and arrange the concept of hair art, formative, a way of practical application, material aspect, through literature, academic journals, photo data, and researched about prior piece, for example, architecture and costume with hair art, and then pieces of hair art were made. Influenced by the theory, applied the social phenomenon and the formative principles, produced the five pieces which includes balance, composure, flying, harmony, way, spring etc.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It showed that the copper wire can express the mysterious and beautiful formative world, and it could know the possibility of design. Secondly, formative activity using copper wire can differ according to approach and interpretation, and it can be a works with aesthetic value. Thirdly, hair could be express the art of the three-dimensional forms which constitute the mixture of line, surface and space. So, hair art has enlarged the fields with development of technique, and changed to recognition of the hair art, and opened up a new field. Hair art will be positive fields to maximize the possibility, and not only the beauty artist but also the public will be communicate each other.

과전류에 의한 동 전선의 용단 아크 특성 및 금속조직 분석 (The Analysis of Metallurgical Structure and Arc Properties of Copper Wire Due to Over-current)

  • 김영석;송길목;김동욱;이기연;최충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6
    • /
    • pp.554-555
    • /
    • 2005
  • In this paper, we analyzed a metallurgical structure and arc properties of copper wire when the over-current flows on electric wire. From the results, The fusing current was related to the fusing time(current rising rate per second). In case of the shorter the fusing time, the fusing current was high, and the fusing time of ac type was larger than that of dc type. The copper wire was bent by the increase of current and heated, the beads were scattered around wire with a flash. We could observed the dendrite structure in 'molten wire at ac and dc current type. According as the current rising rate per second is short, the dendrite structure is distributed in surface of wire.

  • PDF

비파괴 분석을 활용한 조선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lass Beads from the Joseon Dynasty Using Non-destructive Analysis)

  • 이수진;김규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0권
    • /
    • pp.71-88
    • /
    • 2023
  • 조선시대 유리구슬의 가시적 특성과 화학 조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권역에 따른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 충청, 경상권역 25개소에서 출토된 1,819점으로 이 중에서 화학 조성 분석은 537점을 실시하였다. 조선시대 유리구슬은 크게 둥근형, 코일형, 꽃잎형, 연주형, 납작형, 대추형과 표주박형 구슬 등의 형태가 나타난다. 색상은 크게 갈색계(갈색, 담황색), 청색계(청록색, 벽색, 감청색), 백색계(무색, 백색), 녹색계(녹색, 녹청색, 녹갈색) 등이 나타난다. 갈색이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청록색과 벽색이 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 유리구슬 제작기법은 대표적으로 말은 기법이 확인된다. 유리구슬의 융제는 주로 K2O가 사용되었고, 포타쉬유리군, 알칼리혼합유리군 등이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한다. 안정제는 융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나 주로 CaO와 Al2O3가 사용되었다. 포타쉬유리군과 포타쉬납유리군은 HCLA계, 알칼리혼합유리군은 HCA계. 이와 반대로 납유리군은 LCA계에 속한다. 색상과 형태의 연관성으로 갈색계와 청색계는 둥근형이 가장 많으며 청색계는 코일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녹색계와 무색계도 코일의 비중이 높고 백색은 꽃잎형의 비중이 높다. 형태와 화학 조성에 대한 연관성으로 둥근형, 꽃잎형, 연주형은 포타쉬유리군이, 코일형과 납작형은 알칼리혼합유리군의 수량이 많다. 색상과 화학조성의 연관성으로 각 색상의 착색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갈색과 백색은 Fe, 담황색은 Ti, Fe가 착색제로 작용하였다. 감청색은 Co가, 벽색과 청록색, 녹색, 녹청색은 Fe와 Cu가 작용하였으며, 무색은 착색제의 성분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다.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조성 및 풍화특성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Weathering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Andong Tumulus in Gildu-ri, Goheung)

  • 한민수;이한형;문은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3-332
    • /
    • 2011
  •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에서 파편상태로 출토되어 복원이 불가능한 유리구슬 7점에 대해 미세조직관찰과 성분분석을 실시하여 유리유물의 화학조성 및 풍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유리의 풍화상태를 분석한 결과, 표면과 내부 균열부분에 주변 매장환경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염물질이 다량 관찰되고 검출되었다. 또한 Na과 K 등의 알칼리금속 성분이 균열부에서 주로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이 부분에 풍화현상이 집중적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화학조성을 통한 특성분류에서는 potash glass group($K_2O-SiO_2$유리군) 2점, soda glass group($Na_2O-SiO_2$유리군) 4점, 알칼리혼합유리군(mixed alkali glass group) 1점으로 확인되었다. 유리의 발색원소를 추정해보면, 청색과 감색 유리는 코발트(Co), 벽색은 철(Fe)과 구리(Cu), 황갈색은 철(Fe)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분출토 유리구슬의 과학적 연구는 향후 4~5C 호남문화권의 교류관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증발분출냉각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evaporative transpiration cooling)

  • 이진호;남궁규완;김홍제;주성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130-1137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증발분출냉각장치의 설계 및 이의 응용을 위하여 두께가 비교 적 두꺼운(120mm) 다공물질층을 모델로 사용하여 증발분출냉각에 관한 열전달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열과 유체의 흐름이 1차원 정상상태에 대하여 증발 영역의 발생과 그 길이 및 상변화위치, 그리고 다공물질층의 표면온도등에 영향을 미 치는 인자들을 조사하며, 아울러 냉각수의 상변화시 다공층내 냉각수 유동의 안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의 사르마티아(Sarmathia)식 검집 패용 방식의 전개 과정으로 본 동서교섭 (Thinking in Terms of East-West Contacts through Spreading Process of Sarmathia-Pattened Scabbard on Tillya-Tepe Site in Afghanistan)

  • 이송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54-73
    • /
    • 2012
  • 최근 북방유목민족인 사르마티아에 관한 고고학적 자료들이 증가하면서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양상과 그 실체들이 조금씩 규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르마티아인들의 동서 교역의 활동 양상을 사르마티아식 검집의 확산 지역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르마티아인들의 검은 스키타이나 페르시아인들이 사용한 아키나케스(Akinakes)의 계보를 잇는 것이지만 손잡이나 패용 방식에서 손쉽게 칼을 뺄 수 있도록 변화되었다. 즉 양 측면에 달린 4개 돌기에 끈으로 연결한 검집을 허벅지에 부착시키는 패용 구조로 변한 것이다. 사르마티아식 검은 기원전 5세기 파지리크시기 알타이 지역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중심지인 남시베리아, 박트리아, 파르티아, 로마로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서 교섭의 요충지인 박트리아지역에 속하는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 4호묘에서 출토된 검집에 관심을 두었다.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한 채 매장되었던 틸랴 테페 4호묘의 묘주는 당시 쿠샨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던 박트리아에서 상당한 위치의 인물로 파악된다. 묘주가 2자루의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하고 있었던 것은 박트리아에 사르마티아의 영향이 상당이 수용된 사실을 의미한다. 사르마티아인들이 동서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산 물자를 실크로드에 공급하였던 이들의 역할과도 관련이 있다. 이에 사르마티아인들이 활동한 북방 초원 루트에 중국 한대 동경, 메론형 구슬, 수정구슬 등의 장식구슬, 금환연접구슬 등 중국 특히 비단이 생산되었던 남중국의 공예품들이 출토되는 경위에 관심을 가졌다. 모자이크 구슬은 당시 남중국 그리고 사르마티아와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살펴보았다. 거리적으로 먼 사르마티아와 남중국이 교섭할 수 있었던 중간 매체로는 흉노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하여 흉노의 유적에서 남중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금환연접구슬이 발견되는 점을 참고하였다.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한 금환연접구슬이나 모자이크구슬이 아프카니스탄의 틸랴 테페 유적에는 없는 반면 같은 초원길로 연결되는 사르마티아 유적이나 흉노의 몽골 유적에서 등장하는 점이 흥미로운 것이다. 이는 남중국과 사르마티아, 흉노와의 연결 루트를 상정하게 한다. 한편 사르마티아인들의 중심연대인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초원루트와 남중국을 잇는 교통로로는 운남에서 미안마를 지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지나 인도 동부로 들어가는 서남실크로드로 판단된다. 1세기 동서교섭의 루트에는 북방 초원 루트, 남해 루트, 오아시스 루트 등 다양한 루트가 존재한다. 이들 루트들은 운반, 집산되는 물자의 특성이나 당시 정치적 관계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인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남중국을 잇는 최단거리의 길인 서남루트가 북방 유목민들인 사르마티아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개척된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알긴산 비드에 혼합된 해파리 면역 반응물질 함량에 따른 중금속 흡착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the Content of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in Alginate bead)

  • 김종환;박혁진;최인호;김은진;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31-436
    • /
    • 2023
  •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중금속은 분해가 어려워 생태계 내에 장기간 잔류하고 독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중금속은 수처리 시 흡착, 여과, 화학적 침전 등 물리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흡착 및 제거용 킬레이트 수지로 알긴산 비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중금속 흡착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JEI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를 혼합하였다. JEI를 혼합한 비드는 알지네이트의 특성에 따라 납(79-99%)과 구리(64-70%)에서 높은 흡착효율을 보였으며 카드뮴(25-37%)과 아연(5-6%)에서 낮은 흡착효율을 나타내었다. 중금속 흡착은 JEI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았으나 50%와 100% JEI 비드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반응 속도식을 적용한 결과 유사 1차 반응식보다 유사 2차 반응식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드의 생산 단가나 중금속 흡착제거 효율을 비교해보면 50% JEI 비드가 중금속 흡착제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아프로 패션에 관(關)한 디자인 연구(硏究) (A Study Conceming the Designs of the Afro Fashion)

  • 김지은;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1호
    • /
    • pp.25-34
    • /
    • 1998
  •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materialized background. characteristic of African traditional costume and the A fro fashion of the year 1960. and it's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n the findings are applied to suggest a new way of image creation. 1960' s was the year in which people tried to free oneself from the ruling culture of the social standards. war.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By such movement. people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ecology. This then lead to the interest of the rights of the minority. With the youngs as the central figure A fro hair style and dashiki appeared as the street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African costume applied to A fro fashion in 1990' s is as below. First. the North African style. Djellaba. and wrap style in the most common silhouette. Second. heavy materials such as stone. copper. silver. and gold are used. Necklac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imple but. modern style. delicate but grand style. Bracelets are however. broad in width and many rings are worn widely. Third. Multi colored stripe and prints inspired by tattoo and deformation using red brown. dark beige. and orange are printed on textiles such as see through. Fourth. image of tattoo and deformation are applied to make-up. A fro hair and corn beads are also African taste. Fifth. African taste in recent fashion showed off the black beauty by appointing black models at the collection. In analyzing the study done above. characteristic images of African costume. accessaries and body painting was applied in presenting 3 creative designs. The first design named "Geometric I", took it's motif from the geometric pattern of the body painting with the afro hair. "Geometric II", the second design, showed it's application of geometric pattern of mutilation and the silhouette of the costume by using the see through. The third design called the "Geometric III" showed that the aesthetic and decorative side of clothing can be satisfied by applying various form and color of accessaries as the motif. A fro fashion is chosen as one of the folklore mood and it's beauty is conveyed on till today.

  • PDF

수처리용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반응기 개발 (Development of Plasma Reactor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Water Treatment)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7-603
    • /
    • 2012
  • Non-thermal plasma processing us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has been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degradation of non-biodegradable organic compounds in wastewater. The active species such as OH radical, produced by the electrical discharg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grading organic compound in water. The degradation of N, N-Dimethyl-4-nitrosoaniline (RNO) was investigated as an indicator of the generation of OH radical. The DBD plasma reactor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plasma reactor, recycling pump, power supply and reservoir. The effect of diameter of external reactor (15 ~ 40 mm), width of ground electrode (2.5 ~ 30 cm), shape (pipe, spring) and material (copper, stainless steel and titanium) of ground electrode, water circulation rate (3.1 ~ 54.8 cm/s), air flow rate (0.5 ~ 3.0 L/min) and ratio of packing material (0 ~ 100 %)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hape and materials of ground were not influenced the RNO degradation. Optimum diameter of external reactor, water circulation rate and air flow rate for RNO degradation were 30 mm, 25.4 cm/s and 4 L/min, respectively. Ground electrode length to get the maximum RNO degradation was 30 cm, which was same as reactor length. Filling up of glass beads decreased the RNO degradation. Among the experimented parameters, air flow rate was most important parameters which are influenced the decomposition of RNO.

Silk and Cotton Textiles, the Principal Maritime Trade Commodities of Ancient India

  • DAYALAN, Duraiswamy
    • Acta Via Serica
    • /
    • 제6권2호
    • /
    • pp.91-116
    • /
    • 2021
  • India has had a rich and diverse textile tradition since the 3rd millennium BCE. The origin of Indian textiles can be traced back to the Harappan period. Owing to the hot and humid climate in most parts of India, cotton has remained India's favourite choice of fabric for normal use. Thus, India is supposed to be the first nation to have grown, woven, and patterned cotton fabrics. Moreover, India is one of the leading cotton-growing countries in the world. The earliest occurrence of cotton thread in India is roughly datable to 4000 BCE and of dyed fabrics to about 2500 BCE. Large numbers of needles and spindle-whorls found in Harappa and other early historic sites in India reveal the prosperous state of textile production and its trade in the early period. The textile producers used a wide range of skills to process raw materials and make regionally idiosyncratic dyes, weaves, prints, and embroideries. Additionally, the silk from wild indigenous forms of silkworms was known in the Indian sub-continent roughly contemporary with the earliest clear archaeological evidence for silk in China. The analysis of thread fragments found inside a copper bangle and ornament from Harappa and steatite beads from Chanhu-daro, have yielded silk fibers dating to 2500-2000 BCE. Apart from other products, cotton and silk textiles were important export materials from India right from the Harappan period. Actually, the sea-borne trade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of the Harappan civilization. Several ancient seaports in the entire coastline of India played a vital role in the maritime trade during the Harappan period and cotton and silk textiles of Indian origin have been found in various countries. The contemporary writings and epigraphy have also attested to the vast maritime trade network of India and the export of textile materials. The paper discusses in detail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otton and silk textile production in India through the ages and its role in maritime trade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