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Weathering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Andong Tumulus in Gildu-ri, Goheung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조성 및 풍화특성

  • Han, Min-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Han-H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Moon, Eun-J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한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문은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09.05
  • Published : 2011.09.20

Abstract

Microtexture and components of 7 glass bead fragments excavated from Andong tumulus in Gildu-ri, Goheung have been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eathered condition as well as chemical compositions. Firstly, status of microtexture shows that there is a large quantity of pollutants which were presumably transferred from the buried environment into the surface and the gap of the cracks. The examination has displayed that there are less amount of alkali metal components such as sodium (Na) and potasium (K) in the gap of the cracks than on the surface. The chemical compositions analysis has confirmed that two samples belongs to potash glass group ($K_2O-SiO_2$), four to soda glass group ($Na_2O-SiO_2$), and one to the mixed alkali glass group. Chromophoric elements of the glass varies by different colours: blue and navy are cobalt (Co); greenish blue is copper (Cu) and iron (Fe); and light brown is Fe respectively. Such kind of scientific analysis of the excavated glass bead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interchange between various local cultures and arts within the southwest region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4th and the 5th centuries.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에서 파편상태로 출토되어 복원이 불가능한 유리구슬 7점에 대해 미세조직관찰과 성분분석을 실시하여 유리유물의 화학조성 및 풍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유리의 풍화상태를 분석한 결과, 표면과 내부 균열부분에 주변 매장환경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염물질이 다량 관찰되고 검출되었다. 또한 Na과 K 등의 알칼리금속 성분이 균열부에서 주로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이 부분에 풍화현상이 집중적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화학조성을 통한 특성분류에서는 potash glass group($K_2O-SiO_2$유리군) 2점, soda glass group($Na_2O-SiO_2$유리군) 4점, 알칼리혼합유리군(mixed alkali glass group) 1점으로 확인되었다. 유리의 발색원소를 추정해보면, 청색과 감색 유리는 코발트(Co), 벽색은 철(Fe)과 구리(Cu), 황갈색은 철(Fe)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분출토 유리구슬의 과학적 연구는 향후 4~5C 호남문화권의 교류관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심,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특별전 기념 학술대회 발표집, p117, (2011).
  2. 이 훈, "금동관을 통해 본 4-5세기 백제의 지방통치".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 이한상,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금동관모와 금동식리에 대한 검토".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특별전 기념 학술대회 발표집, p53-70, (2011).
  4. 김주홍, "고대 유리옥 제작기술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 (2007).
  5.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 Koezuka T. and Yamadsaki K.,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A Historical Survey-". Proceedings of XVII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Chinese Ceramic Society: Beijing, p469-474, (1995).
  7. 임영진,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발굴조사 성과".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특별전 기념 학술대회 발표집, p1-29, (2011).
  8. 김병호, "유리공학 ". 청문각, 서울, p164-183, (1977).
  9. Koesuka, T.,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Doctorate thesis, (1997).
  10. 강형태, 정광용, 김건수, 허우영, 조남철, "고창 만동유적(8호 및 9호묘) 유리구슬의 특성". 호남고고학보, 21, p73-87, (2005).
  11. 김규호,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황남대총의 제조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0).
  12. 김규호, 허우영, "오창유적 유리구슬의 성분분석". 한국문화재보호단, (1999).
  13. 전남대학교박물관, 복암리고분군, (1999).
  14. Shortland, A. J. and Tite, M. S., "Raw materials of glass from Amarna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s of Egyptian glass". Archaeometry, 41, p141-152, (2000).
  15. 김남영, "투광성 색소지 개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 (1995).
  16. Zvigiffer, "Archaeological Chemistry ". John Wiley & Sons, p136-166, (1980).
  17. 이연주, "저화도 색유약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7-11, (2007).
  18. 김동윤, "경주 덕천리 유적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