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파괴 분석을 활용한 조선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lass Beads from the Joseon Dynasty Using Non-destructive Analysis

  • 이수진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Lee Suji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Gyu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0.05
  • 심사 : 2023.11.21
  • 발행 : 2023.11.30

초록

조선시대 유리구슬의 가시적 특성과 화학 조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권역에 따른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 충청, 경상권역 25개소에서 출토된 1,819점으로 이 중에서 화학 조성 분석은 537점을 실시하였다. 조선시대 유리구슬은 크게 둥근형, 코일형, 꽃잎형, 연주형, 납작형, 대추형과 표주박형 구슬 등의 형태가 나타난다. 색상은 크게 갈색계(갈색, 담황색), 청색계(청록색, 벽색, 감청색), 백색계(무색, 백색), 녹색계(녹색, 녹청색, 녹갈색) 등이 나타난다. 갈색이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청록색과 벽색이 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 유리구슬 제작기법은 대표적으로 말은 기법이 확인된다. 유리구슬의 융제는 주로 K2O가 사용되었고, 포타쉬유리군, 알칼리혼합유리군 등이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한다. 안정제는 융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나 주로 CaO와 Al2O3가 사용되었다. 포타쉬유리군과 포타쉬납유리군은 HCLA계, 알칼리혼합유리군은 HCA계. 이와 반대로 납유리군은 LCA계에 속한다. 색상과 형태의 연관성으로 갈색계와 청색계는 둥근형이 가장 많으며 청색계는 코일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녹색계와 무색계도 코일의 비중이 높고 백색은 꽃잎형의 비중이 높다. 형태와 화학 조성에 대한 연관성으로 둥근형, 꽃잎형, 연주형은 포타쉬유리군이, 코일형과 납작형은 알칼리혼합유리군의 수량이 많다. 색상과 화학조성의 연관성으로 각 색상의 착색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갈색과 백색은 Fe, 담황색은 Ti, Fe가 착색제로 작용하였다. 감청색은 Co가, 벽색과 청록색, 녹색, 녹청색은 Fe와 Cu가 작용하였으며, 무색은 착색제의 성분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visible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beads from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associations thereof. It also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glass beads by region. This study covered a total of 1,819 pieces excavated from 25 locations in the 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regions, of which 537 pieces were analyz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Glass beads of the Joseon Dynasty tak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Round, Coil, Floral, Segmented, Flat, Oval, and Calabash. Colors vary from shades of brown (brown, lemon yellow) and shades of blue (Bluish-Green, greenish-Blue, Purple-Blue) to shades of white (colorless, white) and shades of green (Green, Greenish-Blue, Greenish-Brown). Brown accounts for the largest percentage, followed by Bluish-Green, greenish-Blue. It was identified that Drawing technique was the most common glass bead production technique of the Joseon Dynasty. Potassium oxide (K2O) was the most common flux agent for glass beads, while the potash glass and mixed alkali glass groups account for the largest quantity. The choice of stabilizers depended on the type of flux agents used, but the most common were calcium oxide (CaO) and aluminum oxide (Al2O3). The potash glass and potash lead glass groups are high in CaO and low in Al2O3, the mixed alkali glass group is high in CaO, and the lead glass group is low in CaO. In ter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lor and shape, most of the beads with shade of brown and blue have round shapes of brown and blue have spherical shapes, while the coil shape is prominent in blue beads. A high percentage of green and colorless beads also take the shape of a coil, while white beads in general have a floral shape. In ter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hape and chemical composition, round, floral and segmented shapes account for a high percentage of the potash glass group, while coil and flat shapes are common in the mixed alkali glass group.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colorants for each color ba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lor and chemical composition. Iron (Fe) was used as the colorant for brown and white, and titanium (Ti) and iron were used for light yellow. Purple-Blue was produced by by cobalt (Co), and greenish-Blue, Bluish-Green, green, Greenish-Blue were produced by iron and copper (Cu). Colorless beads had a generally low colorant con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남고고학연구소, 김해 구산동 유적I,II,III,IV,V,VI,VII,VIII,X, (2009).
  2. 고려문화재연구원, 안양 관양동 유적, (2012).
  3. 기호문화재연구원, 대구순환 건설구간 문화유적 1, 2, 4권, (2020).
  4.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화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5. 김나영, 삼국시대 알칼리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6. 김나영.김규호, 한국 포타쉬 유리구슬의 조성 분류에 따른 특성 비교, 보존과학회지 31(3), p255-265,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3.06
  7.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양산 가촌리 유적, (2012).
  8. 박승원, 충남 청양 안심리 출토복식의 과학적 보존,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9. 박준영, 한국 고대 유리구슬의 생산과 유통 : 한반도 남부 자료 화학조성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10. 백두문화재연구원, 고양 덕은동 유적, (2019).
  11. 백두문화재연구원, 청주 용암동 유적, (2020).
  12. 성림문화재연구원, 경주 모량리 유적, (2012).
  13. 성림문화재연구원, 대구 교항리, 강림리 유적 I,II, (2012).
  14. 성림문화재연구원, 울진 덕천리 고려,조선시대 분묘군, (2012).
  15. 성림문화재연구원, 포항 옥성리 고분군, (2012).
  16. 성림문화재연구원,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 I, (2014).
  17.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봉길리 유적, (2010).
  18.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산 신대리 유적 II,III, (2010).
  19. 윤지현, 원삼국 및 삼국시대 경상도 지역 출토 청색계 유리구슬의 화학조성과 특징 : 거창 정장리 유적 출토 구슬류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20. 이수진, 고려 및 조선시대 구슬류의 특성 분석,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21).
  21.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고고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0).
  2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서산 부장리 유적, (2008).
  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홍성 남장리유적, (2008).
  24.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아산 갈산리 57-8번지 유적, (2019).
  25.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화성 우음도 고려 분묘군 I, II, (2019).
  26.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김해 본산리, 여래리 유적 III, (2014).
  27.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성 청계리 유적 I~VIII, (2013).
  28. 한얼문화유산연구원, 홍성 신경리유적, (2012).
  29. 한얼문화유산연구원, 공주 신관동 78번지 외 유적, (2013).
  30. 한얼문화유산연구원, 논산 강경 채운리 유적 1, 2, 3권, (2015).
  31. 한얼문화유산연구원, 화성 송곡리 유적, (2016).
  32. 한얼문화유산연구원, 평택 용이.죽백동 유적 I~V,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