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lanar transmission lin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다공질 실리콘 산화막 Air-Bridge 기판 위에 제작된 MMIC용 공면 전송선 (Coplanar Waveguides Fabricated on Oxidized Porous Silicon Air-Bridge for MMIC Application)

  • 박정용;이종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5호
    • /
    • pp.285-28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실리콘 기판상의 전송선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면 마이크로머시닝 기술과 새로운 산화법(H₂O/O₂ 분위기에서 500℃, 1시간 열산화와 1050℃, 2 분간 RTO(Rapid Thermal Oxidation) 공정)을 이용하여 10 ㎛ 두께의 다공질 실리콘 산화막(oxidized porous silicon:OPS) air-bridge 기판 위에 공면 전송선로(Coplanar Waveguide:CPW)를 제작하였다. 간격이 40 ㎛ 신호선이 20 ㎛ 전송선 길이가 2.2 mm인 CPW air-bridge 전송선의 삽입손실은 4 GH에서 -0.28 dB이며, 반사손실은 -22.3 유를 나타내었다. OPS air-bridge 위에 형성된 CPW의 손실이 OPS층 위에 형성된 CPW의 삽입손실보다 약 1 dB 정도 적은 것을 보여주었으며, 반사손실은 35 GHz 범위에서 약 -20 dB를 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두꺼운 다공질 실리콘 멤브레인 및 air-bridge 구조는 고 저항 실리콘 집적회로 공정에서 고성능, 저가의 마이크로파 및 밀리미터파 회로 응용에 충분히 활용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신호-접지 교차구조를 이용한 소형화된 CPW 월킨슨 분배기 구조의 발룬 (A Size-Reduced CPW Balun with the Wilkinson Divider Structure Using a Crossing Structure)

  • 임종식;양회성;김동주;정용채;안달;김광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835-84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소형화된 CPW(Coplanar Waveguide) 발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발룬에는 신호선-접지선 교차구조가 CPW전송 선로의 중앙 신호선과 양쪽 접지면 사이에 존재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만들어 준다 따라서 물리적 길이가 $3{\lambda}/4$인 전송 선로가 ${\lambda}/4$의 길이로 줄어들어도 전기적 길이는 270도를 유지하므로 회로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것은 종래에 제안된 월킨슨 분배기 구조의 발룬이 월킨슨 분배기 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한쪽 단자 방향으로 $3{\lambda/4$ 길이의 전송 선로를 필요로 하였다는 사실과 비교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CPW 선로의 신호선-접지선 교차 구조가 지니는 180도의 위상차를 측정으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함께 제시한다.

Composite Righg/Left-Hand 전송선로를 이용한 새로운 이중대역의 CPW 윌킨슨 전력 분배기 (A New CPW Dual Band Wilkinson Power Divider Using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

  • 장조복;왕양;윤기철;이종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7-1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기법의 광대역 저손실 CRLH(composit right/left handed) 전송선로와 윌킨슨 전력 분배기에 대해 제안한다. 전송선로는 평형 미엔더 인덕터와 직렬 캐패시터로 구성된 coplanar 도파관 (CPW)으로 구성되며, 전력 분배기는 CRLH 전송선로를 일반 전송선로 부분에 대체하여 설계를 한다. 실험 결과 동작 주파수 대역 8.4 GHz 에서 30.0 GHz내에서 반사손실은 12 dB 이하로써 비교적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전력 분배기의 주파수는 12.05에서 13.15 GHz 그리고 16.50에서 19.30 GHz 로써 대역폭은 20 dB 기준으로 8.9 % 및 17.9 % 이며 이는 측정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를 하였을 때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성능 시스템을 위한 클록 분배 방식 및 Coplanar 및 Microstrip 전송라인의 구조적 분석 (A Novel Clock Distribution Scheme for High Performance System and A Structural Analysis of Coplanar and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 박정근;문규;위재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4호
    • /
    • pp.1-8
    • /
    • 2004
  • 고속 저전력 디지털 시스템을 위해 클록 스큐를 최소화하고 동적 파워 소모를 줄이는 새로운 클록 분배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접힌 라인구조(FCL)과 위상 섞임 회로(phase blending circuit)을 이용하여 Zero-skew 특성을 갖는다. FCL에 적합한 라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마이크로 스트립과 코플라너 라인을 FCL형 클록 라인으로 분배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l0㎜ 떨어져 있는 두 리시버 사이의 최대 클록 스큐가 1㎓에서 10psec보다 적고 20㎜ 떨어져 있는 두 리시버 사이의 최대 클록 스큐는 1㎓에서 60 psec보다 작음을 보였다. 또한,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무관하게 클록 신호들의 스큐가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0.18-{\mu}m$ CMOS공정을 이용한 Ka 대역 근거리 무선통신용 전력증폭기 설계 (Ka-band Power Amplifiers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0.18-{\mu}m$ CMOS Process)

  • 허상무;이종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4호
    • /
    • pp.131-136
    • /
    • 2008
  • [ $0.18-{\mu}m$ ] CMOS공정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22-29 GHz)에서 응용할 수 있는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전도성 기판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기판 차폐된 두 가지 형태의 전송선로를 설계하고, 40 GHz 까지 측정 및 모델링하였다. 기판 차폐 microstrip line (MSL) 전송선로의 경우 27 GHz에서 약 0.5 dB/mm의 삽입손실을 나타내었다. 기판 차폐 MSL 구조를 이용한 전력증폭기는 0.83$mm^2$의 비교적 작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27 GHz에서 14.7 dB의 소신호 이득과 14.5 dBm의 출력을 나타내었다. 기판 차폐 coplanar waveguide (CPW) 전송선로의 경우 27 GHz에서 약 1.0 dB/mm 삽입손실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증폭기는 26.5 GHz에서 12 dB의 소신호 이득과 12.5 dBm의 출력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0.18-{\mu}m$ CMOS공정을 이용한 저가격의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중 특성 임피던스 선로를 이용한 Gysel 3:1 가변 전력분배기 (Gysel 3:1 variable power divider using the dual characteristic impedance transmission line)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09-1415
    • /
    • 2021
  • Rat-race 구조의 변형인 Gysel 전력분배기는 분배기내 저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Gysel 전력분배기 내에서 선로 임피던스를 다르게 설정하면 두 개의 출력단자에서의 출력 전력 비율을 다양하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ysel 전력분배기에서 선로 임피던스를 변화하여 두 개의 출력 단자의 출력 비율을 1:3 또는 3:1로 선택할 수 있는 회로를 제안하였다. 선로의 임피던스 변화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형태의 전송선로 밑면에 비접지 동판을 위치시켜 구현할 수 있다. 비접지 동판과 접지면이 단락 연결하면 전송 선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고, 비접지 동판과 접지면을 연결하지 않으면 전송 선로는 코플라나 선로로 동작하게 된다. 제안된 Gysel 가변전력분배기는 중심주파수 1.5GHz에서 제작하였다. 제작된 Gysel 가변 전력분배기는 1.3~1.7 GHz에서 입력 반사계수(S11) -17dB 이하, 두개의 출력 단자의 전력차는 4.8±0.2dB,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단자로의 신호 전달계수(S21)는 -1.39±0.12dB, 낮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단자로의 신호 전달계수(S31)는 -6.15±0.08dB의 안정된 값을 가졌다.

BCB를 이용한 High & Low$Z_0$전송선로 제작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fabrication of transmission line with high and low $Z_0$ using BCB layer)

  • 한효종;이성대;전영훈;윤관기;김삼동;황인석;이진구;류기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57-60
    • /
    • 2002
  • In this paper, transmission lines with low and high characteristic impedance (Z$_{0}$) are fabricated and analyzed. The transmission lines are fabricated on the benzo-cyclo-butene (BCB) films of a low dielectric constant. For the low Z$_{0}$, two types of coplanar waveguide (CPW) structures are fabricated, which include bottom-ground and double-ground type. Measurement shows that Z$_{0}$ values for each CPW type are 7.3 and 9.4$\Omega$, respectively, at a signal line width of 100 #m. Whit the ratio between the spacing of bottom-ground and the signal line with becomes greater than 2.5, the Z$_{0}$ is nearly saturated. In addition, thin film microstrip lines fabricated using the BCB insertion layers show very low Z$_{0}$ of 25.5$\Omega$, and this impedance is ~64 % of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BCB-based CPW structures of the same line width. Measurement result of CPW on BCB layer is 100.5 Ω.s 100.5 Ω.

  • PDF

Conducting Polymer Material Characterization Using High Frequency Planar Transmission Line Measurement

  • Cho, Young-Seek;Franklin, Rhonda R.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3권5호
    • /
    • pp.237-240
    • /
    • 2012
  • A conducting polymer, poly 3-hexylthiophene (P3HT) is characterized with the metal-insulator-semiconductor (MIS) measurement method and the high frequency planar circuit method. From the MIS measurement method,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3HT film is estimated to be 4.4. For the high frequency planar circuit method, a coplanar waveguide is fabricated on the P3HT film. When applying +20 V to the CPW on P3HT film, the P3HT film is in accumulation mode and becomes lossy. The CPW on P3HT film is 1.5 dB lossier than the CPW on $SiO_2$ film without P3HT film at 50 GHz.

투명 플렉시블 무선통신 소자구현을 위한 PES 박막상의 단파장 선로에 대한 고주파 특성연구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hort-wavelength transmission line on polyether sulfone thin film for a realization of transparent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윤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353-36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형화된 투명 플렉시블 무선통신소자 구현을 위해, 주기적 접지구조를 가지는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를 PES (polyether sulfone) 박막상에 제작하였으며, 이에 관한 RF 특성을 고찰하였다. PES 상의 주기적 접지구조를 가지는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종래의 전송선로에 비해 축소된 파장특성을 보여주었으며, 50 GHz의 주파수에서 선로파장은 1.91 mm으로, 종래의 코프레너 선로의 48.5%이다. 삽입손실 측정결과에 의하면 주기적 접지구조를 가지는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40 GHz 까지의 주파수 범위에서 1.75 dB보다 낮은 저손실특성을 보여주었다. 대역폭 추출결과에 의하면, 주기적 접지구조를 가지는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통과대역이 250 GHz인 광대역 특성을 보였다. 제안된 구조의 전송선로에 대한 특성임피던스 추출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구조의 전송선로는 종래의 주기적 선로구조에 비해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로 인해 광대역의 전송선로 및 광대역 분포형 수동소자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기적 접지구조를 가지는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종래의 전송선로에 비해 낮은 임피던스 특성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좁은 선로폭으로 낮은 특성임피던스를 가지는 선로를 구현할 수 있었으며, 이는 RF 회로상의 점유면적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연결선에 기인한 시간지연의 정확한 모델 및 실험적 검증 (A New Accurate Interconnect Delay Model and Its Experiment Verification)

  • 윤성태;어영선;심종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9호
    • /
    • pp.78-8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고속 VLSI 회로 내의 전송선에서 발생하는 전달지연시간을 계산하는 해석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 모델의 정확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새로 제시한 모델은 표피효과, 근접효과 그리고 실리콘 기판에 의한 전성선 파라미터 변화를 고려하기 때문에 이들 영향을 반영한 새로운 인터커넥트 회로모델에 대하여 시간지연 모델을 구현한다.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코플레너(coplanar)와 마이크로 스트립구조가 결합한 패턴의 모델을 0.35${\m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이들 테스트 패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통하여 모델이 약 10% 이내의 오차범위에서 정확하다는 것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