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ve Program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6초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부성성 연구 - MBC <아빠 어디 가>에 대한 기호학 분석 (Fatherhood Representations of Childcare 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 A Semiotic Study on a Reality Program, "Where Are We Going, Dad?" of MBC)

  • 이란;백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7-120
    • /
    • 2016
  • 본 연구는 기호학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재현된 부성성의 표상들을 분석하였다. MBC <아빠 어디 가>의 방영분 2편의 영상과 기호 체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출연한 부성들은 그동안 모성의 전유 영역으로 이해되던 육아에 공동으로 헌신하는 페미니스트적 남성상을 표출하고 프렌디로서의 친근한 부성의 재현을 통해 현대의 이상적 부성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부성상의 변화는 감성적이면서 양성적인 남성으로의 변화를 함의하는 포스트모던적 남성 이데올로기를 내재화한다. <아빠 어디 가>의 부성들은 육아 실천을 지향하는 프로그램 속에서 육아를 전면적으로 수행하는 가운데, 육아 미숙의 상황을 간헐적으로 노출하면서 역설적이게도 육아에 대한 모성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이들이 재현한 육아 실천의 남성상은 현대의 이상적인 남성상을 시도하는 것이었지만, 자녀를 지도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기존의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적 인식을 지니고 있고, 나아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이들의 포스트모던적 프렌디 부성으로의 변화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위계 구조를 전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가상착의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용어 표준화 방안 - 아바타사이징 용어 분석 -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to Boost the Use of 3D Virtual Fitting Program - Analysis of Terminology in Avatar Sizing -)

  • 한현정;전은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1-203
    • /
    • 2016
  • The 3D virtual fitting system is a new and very efficient system replacing real fitting in apparel industry and on-line shopping. It is a win-win system for both of consumer and manufacturer which not only reduces design and production time but also resolves consumer's complaints by checking the wearing image beforehand. It is a must-have item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izing menu, terms, and current status and to figure out problems of avatar sizing programs which substitute human bodies in virtual fitting. We chose three existing outstanding programs in domestic and global market,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gram, manual, and terms that are used in avatar sizing, and investigated the strengths, weaknesses, problems of options and terms and finally suggested an alternative terms. The revealed problems are as follows: each program supports various avatars ranging from male to female, from child to adult, and from oriental style to western style. The image of the avatar could be changed through the options for hair style, shoes and accessories. But we found out some problems. The avatar body types are far from actual human body types, avatar sizing menus and item terms are different from program to program, and terms not yet standardized. Cooperative efforts of industry and academy on standardization of sizing menus and terms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virtual fitting system to be widely used like the other computer graphic programs or word editors.

  • PDF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소고 (Study on the university library instruction)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33-61
    • /
    • 1982
  • It is an established fact that the university library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To keep abreast with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explosive increase of knowledge, the university library must also find new a n.0, pproaches to better serve the users in the university community. Also, on the part of university faculty, instructional methods must be improved from text book oriented education toward assignment oriented education. To facilitate effective teaching,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y and its efficient use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indispensab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and to find out current practice among students and professional librarians on the library instruction in order to find ways to strengthen and improve it. A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current status.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university students received some guidance on library utilization as part of their freshman orientation program.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elementary nature of the guidance program was insufficient for their subsequent actual attempt to use. Students are not familiar with library organization, search procedure, and they lack basic knowledge on library service available to them. (2) Problem areas related to library instruction are insufficient amount of time allocated for the guidance program, big size of orientation program, and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etc.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the above mentioned problem areas be overcome through cooperative and concerted efforts among faculty members, professional librarians, and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by increasing library instruction hours, improving the contents of program in its scope and depth to be practically useful. To sum up, the lecture oriented education should be shifted toward library oriented education by improved instruction program on library use.

  • PDF

대학생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기반 비교과교육의 효과 (Effect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based on Smart Learning for enhancing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김현우;강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35
    • /
    • 2018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기반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참여자의 역량변화와 교육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의 S대와 K대 재학생이 연합하여 총 10개의 팀을 구성하여 스마트기기와 앱을 활용한 일일캠프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역량분석결과 소통역량, 자기주도역량, 창의성역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소통', '자기주도', '협동학습', '문제해결', '도구 활용'의 영역에서 발전적인 변화가 있다고 하였으며, 스마트기기와 앱의 교육적 활용이 프로그램에 몰입하고 흥미를 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새로운 모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향후 보다 다양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발전에 단초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 S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s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Case of S Public Library)

  • 이수영;김유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습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연구로서, 표준교과목과 실습교과목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논한다. 전국 4년제 문헌정보학 관련 학과 및 학부에 개설된 도서관 실습 교과목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 소재 42개 구립 공공도서관의 실습교육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기본업무형, 참여형, 주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사례연구로서 서울시 소재 S공공도서관과 C대학 문헌정보학과 간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 학생과 현장 사서들의 실습교육에 대한 요구들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의 개선을 위해, 교수 교육기관, 사서 실습기관, 학생 등 실습교육 주체들의 당면 과제와 단계적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 평가 - 서울시 A 교육청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a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Seoul Area)

  • 정수지;김민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9-168
    • /
    • 2014
  •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과 질적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영역을 영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영역별로 살펴보고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기존의 평가 틀을 수정 보완하여 수정된 평가 틀을 사용하여 서울시 A 교육청에서 운영 중인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목표는 명확하고, 차별화 되어 있었으며, 내용영역의 편성은 심화 영역이 더 많았고, 수와 연산, 도형,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내용은 심화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많았고, 최신 연구 내용이 고르게 반영되어 있었다. 수학적 사고전략을 고르게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고, 문제해결에 대한 평가지표를 만족하였고, 창의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적절하였으며, 참고서적은 명확하게 제시된 프로그램이 없었으나 자료의 제시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문제중심학습,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수행평가를 활용하고 있었다.

  • PDF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A program for enhancing the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terpersonal abilities and accultural abilities)

  •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채정민;이영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2호
    • /
    • pp.33-54
    • /
    • 2007
  • 본 연구는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상호 간의 문화와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좀 더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구성과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 연구들에서 실제 검증되지 못한 프로그램들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반영하여 양측 주민들이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의존적 협동 작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각 회기는 1.5시간씩이고, 총 4회기로 1주일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조사에 의해 검증되었고, 통제군도 설정되어 있는데, 통제군에 비해 본 프로그램 참가군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단, 북한이탈주민 중 5명이 중도에 이탈하여 프로그램 효과 중 남한 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뢰감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 PDF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zing Perception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in the Gifted Education of Korea)

  • 정현철;박영신;황동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1-16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서의 실태 및 인식을 정량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임의 표본으로 전국의 16개 도시의 영재담당 교사 614명, 수학에서는 1,670명, 과학에서는 1,732의 영재학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기존의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협동학습 형태의 소그룹활동 및 탐구활동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1) 현 한국의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은 교실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및 교수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국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해 교사 및 영재학생들은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 실질적으로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도모하기 위한 교수법이나 효과적인 조구성을 위한 교수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그룹 탐구활동은 단순한 전통적인 그룹 활동에 불과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3) 이는 영재담당 교사들의 소집단 탐구활동, 특히 협동학습 관련 이해 및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영재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소그룹 탐구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영재담당 교사연수를 통해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한 이해도 및 지식을 반성하고 개발하며 또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련된 교수법 및 교수 모델을 창안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통합 산림관리를 위한 협력요인 추출 및 협력프로그램 개발 - 동해안 및 지리산권역 산불관리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 (Extraction of Cooperation Factors and Development of Cooperation Program for Unified Cooperative Forest Management - A Case Study of the East Coast & Mt. Jiri Sphere Forest Fire Administration Center -)

  • 김의경;김성주;김현근;김대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84-69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산불관리에 있어서 협력을 형성 촉진시키는 요인을 구명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 산림관리를 위한 협력프로세스 및 협력 매뉴얼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행정구역 단위를 초월하여 협력함으로써 큰 성과를 거둔 "동해안 산불관리센터"와 "지리산권역 산불관리센터"를 모델로 하여 각 단계별 협력요인을 추출하였다. 즉, 협력의 단계를 발의 계획 집행 이익의 공유 4단계로 나누고 통합 산림관리체계를 위한 각 단계별 협력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심층면접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분석을 사용하여 중요도 순에 따른 핵심 4요인을 단계별로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단계별 핵심 4요인을 바탕으로 산림협력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 프로세스 및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이는 지자체간의 협력을 통한 제반 산림관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는데 있어 하나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 전환과정과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Self-Sufficient Centers that Converted the Centre Corporation into Social Cooperative)

  • 백학영;김경휘;한경훈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265-299
    • /
    • 2018
  • 2015년부터 보건복지부는 지역자활센터 법인 형태를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여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 위주 사업에 다양성 및 자율성을 부여하고, 자활사업 대상자 확대 및 근로빈곤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 시범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 사업이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서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의 전환과정과 변화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요소를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소는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자활센터가 시범사업 참여, 즉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지역자활센터의 주도적인 변화라기보다 조직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하나의 선택이었다. 그리고 이사회와 조합원 구성에서 생산자나 소비자의 참여는 저조하였고,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종사자의 적극성과 책임성의 증가라는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지역자활센터에 대한 운영비 활용의 자율성 확대로 매출 증가를 위한 적극적인 영업 활동과 전문성 제고의 결과를 낳았다. 사회적협동조합 설립 후 지역자활센터의 가장 큰 변화는 지역사회 내에서 자활사업의 인지도 향상과 지역사회 협력의 증가였다.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해서 지역자활센터가 새로운 사업에 참여하고 지자체의 우선 지원사업 대상이 되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그렇지만 사회적경제 조직이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한계도 있었다.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자활사업 참여자의 감소와 근로능력이 저하되는 상황을 고려한 유형다변화 사업의 방향과 내용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