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oking program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 of Temperature Control Algorithm for Supercooling Storage of Pork Loin and Its Feasibility for Improving Freshness and Extending Shelf Life

  • Lee, SangYoon;Park, Dong Hyeon;Kim, Eun Jeong;Kim, Honggyun;Lee, YunJung;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67-485
    • /
    • 2022
  • Supercooling storage refers to lowering the product temperature below its freezing point without phase transition and has the potential to extend shelf life. Nevertheless, supercooled objects are in a thermodynamically unstable state, and nucleation can occur spontaneously. To achieve supercooling storage, slow cooling and insulation are essential. Hence, a stepwise algorithm for the supercooling storage of pork loins was design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Pork loins were stored at 3℃, -18℃, and -3℃ (freezing), and supercooled for 16 days. All samples remained in a supercooled state and were unfrozen at the end of storage. Supercooled pork loins were superior in terms of drip loss, cooking loss, and water-holding capacity compared to frozen samples. Additionally, supercooling treatment prevented discoloration, increase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microbial growth. Thus, supercooling of pork loin was achieved using a stepwise program and was effective to maintain meat quality.

레스토랑의 지각된 혼잡성이 소비자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Restaurant Crowding on Satisfaction, Dine-Out Intention, and Dine-In Intention)

  • 하무성;이지아;박재연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4권3호
    • /
    • pp.1-16
    • /
    • 2023
  • Purpose: In the post-COVID-19, many consumers still feel uncomfortable with crowding in closed spac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non-crowding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and restaurant visit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people aged 20 and above. A total of 347 respondents, excluding 3 unfaithful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Smart PLS 4.0 program. Result: Both spatial and human crowd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neither spatial nor human crowding directly affected dine-out intention significantly. In addition, spatial crowding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in-store dining intention, but human crowding did not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in-store dining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dine-out intention and in-store dining intension. Conclusions: This study has expanded the range of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by applying a non-crowded environment (S) to the SOR theory. Also,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was expanded by dividing visit intention into a dine-out and in-store dining intention. Therefore, we propose measures to minimize human crowding by introducing a system such as adjustment of store operating hours, reservation system, store opening time alarm system, and reduction of cooking time.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오븐 사용 효과 평가 (Evaluation of Oven Utilization Effects at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이정아;이진향;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64-1072
    • /
    • 2010
  • 급식소 오븐 사용실태와 사용효과를 평가하고자 대구 경북지역 학교급식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오븐사용 학교급식소는 도시형이 75.0%, 농 어촌형이 22.7%, 도서 벽지형이 2.3%였고, 급식생산방식은 한 번에 조리가 75.0%, 분산조리가 25.0%였다. 오븐을 이용하는 조리법은 구이류(95.5%), 찜류(86.4%), 조림류(61.4%)의 순이었다. 오븐사용에 대한 기대효과-사용효과 분석결과 전체 항목 중 다양한 메뉴 생산 가능, 음식맛의 향상, 음식 모양 형태 유지 용이, 음식의 표준화, 구이류 조리 개선, 찜류 조리개선, 조림류 조리 개선, 조리시간 단축, 작업조작의 단순화, 조리완료시간의 정확성, 최종 조리음식의 위생 확보, 작업장 온도 관리 용이, 급식생산관리에 미치는 총체적인 효과 등 총 13개 항목(48.1%)에서 기대효과와 사용효과가 모두 높았다. 그리고 조리인력 감소, 조리장 위생 개선, 조리원 업무만족도 향상, 조리원에게 작업지시 용이 등 총 4항목은 기대효과에 비해 사용효과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도시형 학교급식소의 경우 농어촌형 급식소에 비해 총 8개 항목에서 오븐 사용효과가 높게 평가되었다. 볶음솥과 환기팬의 구비율은 오븐 미사용 급식소가 오븐 사용 급식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오븐 사용 급식소가 오븐 미사용 급식소보다 전체적으로 기기용량이 더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급식생산시 오븐 등의 대량조리기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한다면 급식대상자의 기호도가 높았던 메뉴 중 인력과 조리기기의 부족 등으로 제공할 수 없었던 메뉴의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장과 최종 조리음식의 위생관리도 용이해짐에 따라 급식만족도의 향상과 더불어 급식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학교급식의 효율적인 운영과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학교급식소 시설 설비의 현대화 및 자동화를 실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정교과가 연계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ome Economics-Relevant Korean 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 for the Improvement of Self-Identity and Social Adaptation -)

  • 이신숙;김소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3-7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알고 직접 체험해 봄으로써 자아정체감을 정립하고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교과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총 12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한국문화 체험을 주제로 하는 본 프로그램은 주제를 중심으로 크게 5개의 마당인 어울마당, 한글마당, 놀이마당, 요리마당, 역사마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전남 동부권에 소재한 S시 거주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로 구성된 총 18명을 대상으로 총 3개월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응 정도, 참여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프로그램 활동을 통한 효과성 평가인 사전 사후검사와 만족도 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은 프로그램 참여 전 평균 3.03점에서 참여 후 3.33점으로 0.3점이 향상되었고 사회적응력은 참여 전 평균 3.11점에서 참여 후 3.41점으로 0.3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에서는 먼저 중간만족도가 중앙치인 3.00점을 상회하는 점수인 평균 3.30을 나타내 만족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종만족도에서는 평균 4.03점을 나타내 프로그램 참여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가정교과와 연계된 본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응력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평가되었고 프로그램 수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병원 급식소와 영양사의 특성이 HACCP 선행요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and Dietitian on Performance of HACCP Prerequisite Program)

  • 송윤지;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7-113
    • /
    • 2016
  •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서울 경인, 대구 경북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규모 100병상 이상 병원 급식소 총 6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위탁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환경관리(p<0.01), 폐기물관리(p<0.05), 세척 소독관리(p<0.05)에 대한 중요도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개인위생관리 영역의 중요도 평가점수는 300병상 미만인 경우가 300병상 이상인 경우에 비해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영양사의 조리과정 감독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가 3시간 미만인 경우에 비해 폐기물관리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을 종속변수로 하고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된 영양사의 경력과 조리과정 감독시간, 직무만족도와 병원 급식소의 허가 병상 수와 위생기기 보유율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9%였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172, p<0.001). 회귀분석 결과 선행요건 수행도에는 '영양사의 직무만족도(p<0.001)'와 '위생기기 보유율(p<0.05)'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영양사의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근무조건 개선과 함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기의 적정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Genetic Parameters of Reproductive and Meat Quality Traits in Korean Berkshire Pigs

  • Lee, Joon-Ho;Song, Ki-Duk;Lee, Hak-Kyo;Cho, Kwang-Hyun;Park, Hwa-Chun;Park, Kyung-D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0호
    • /
    • pp.1388-1393
    • /
    • 2015
  • Genetic parameters of Berkshire pigs for reproduction,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were estimated using the records from a breeding farm in Korea. For reproduction traits, 2,457 records of the total number of piglets born (TNB) and the number of piglets born alive (NBA) from 781 sows and 53 sires were used. For two carcass traits which are carcass weight (CW) and backfat thickness (BF) and for 10 meat quality traits which are pH value after 45 minutes (pH45m), pH value after 24 hours (pH24h), lightness in meat color (LMC), redness in meat color (RMC), yellowness in meat color (YMC), moisture holding capacity (MHC), drip loss (DL), cooking loss (CL), fat content (FC), and shear force value (SH), 1,942 pig records were us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The genetic parameters for each trait were estimated using VCE program with animal model. Heritability estimates for reproduction traits TNB and NBA were 0.07 and 0.06, respectively, for carcass traits CW and BF were 0.37 and 0.57, respectively and for meat traits pH45m, pH24h, LMC, RMC, YMC, MHC, DL, CL, FC, and SH were 0.48, 0.15, 0.19, 0.36, 0.28, 0.21, 0.33, 0.45, 0.43, and 0.39, respectively. The estimate for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W and BF was 0.27. Th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pH24h and meat color traits were in the range of -0.51 to -0.33 and between pH24h and DL and SH were -0.41 and -0.32, respectively. The estimates for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eproductive and meat quality traits were very low or zero. However, the estimates for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eproductive traits and drip and cooking loss were in the range of 0.12 to 0.17 and -0.14 to -0.12, respectively. As the estimated heritability of meat quality traits showed medium to high heritability, these traits may be applicable for the genetic improvement by continuous measurement. However, since some of the meat quality traits showed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carcass traits, an appropriate breeding scheme is required that carefully considers the complexity of genetic parameters and applicability of data.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와 고객 행동에 관한 연구 - 제주 방문 관광객의 고객 만족, 재방문, 구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stomer Behavior and Recognition of Jeju Regional Cuisine - Focusing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among the Tourists in Jeju -)

  • 안학영;전효진;양태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7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찾아 온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홍보의 정도와 인지를 파악하여 고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이다. 조사한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은 SPSS+/WIN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분석(frequncy analysis) 및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향토음식 메뉴 중 인지도도 낮고 만족도도 낮은 것은 지속적인 홍보와 조리 방법의 변화 그리고 이를 통한 신메뉴 개발을 통해서 인지도 만족도를 높이도록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만족도가 높은 것은 조리방식에 있어서 구이, 조림, 회 등을 주로 만족하는 메뉴로 나타나 이에 대한 조리법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보는 고객 만족과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는 고객 만족, 재방문, 구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할 수 있는 교육 체험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정보의 취득은 주변 사람의 추천이나 소문이 가장 크므로 홍보를 제주를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도민을 상대로 한 홍보도 많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후의 연구과제로 도민을 대상으로 한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 및 홍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지역의 음식문화를 관광 상품화와 축제로 발전하기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절식(韓國節食)의 여행실태(旅行實態)에 관(關)한 지역별(地域別) 비교연구(比較硏究) -강릉, 대구, 대전, 전주지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Regional Obeserving State of Korean Holiday's Traditional Festive Foods (Centering Around KANGREUNG, DAEJEON, JEONJU and DAEGU Regions))

  • 김향희;황춘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73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on the observing state of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nd the traditional foods related to those days through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578 housewives who live in Kangreung, Daejeon, Jeonju, and Daegu area. For data processing, SAS program was employed, and all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2-squa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observing the traditional holidays, more than 90% of housewives who answered the inquiry keep up SEOLNAL, DAEBOREUM, and CHUSEOK, whithout regarding regions. There are larger number of people who keep up IPCHUN, JUNGWHAJEAL, and DANOH in Kangreung and SAMBOK in Daegu than that of other regions (p<.001). Compared to general circumstances, CHOPAIL is more commonly celebrated by older class as well as lower educated class (p<.001) Also, the consequence shows that Buddhists observe IPCHUN, SAMJITANL, CHOPAIL, DANOH, SAMBOK, and DONGJI more commonly compared with other classes (p<.001), IPCHUN, SAMJITNAL, (p<.01). DAEBOREUM, YUDU, SAMBOK, JUNGYANGJEOL, OHIL, and DONGJI (p<.001) are celebrated more generally among extended. 2. On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holidays, most of the housewives answered that the SEOLNAL, DAEBOREUM, CHUSSEOK, and DONGJI are to be inherited. Compared to general circumstance CHOPAIL is suggested to be inherited by older people (p<.001). The IPCHUN, CHOPAIL, SAMBOK (p<.001), and DANCH (p<.01) are suggested by Buddhists that YUDU and SAMBOK are by nuclear. 3. In preparaing festive foods, DEOKGUK on SEOLNAL, OHKOKBAP and MUKEUNNAMUL on DAEBOREUM, SONGPYEON and GATEUNNAMUL on CHUSEOK, and PATJUK on DONGJI are being made very generally. KANGJEONG on SEOLNAL, BUREUM on DAEBOREUM, KALGUKSU and SAMGYAETANG on SAMBOK, DARKJIM on CHUSEOK, SUJEONGGWA and DONGCHIMI on DONGJI appeared comparatively high rated of making. 4. In normal times, DEOKGUK, MANDU, INJEOLMI, SIKHYAE, SUJEEONGGWA, PYEONYUK, JEONYUEO, SIRUDDEOK, BOKSSAM, MUKEUNNAMUL, SONGPYUN, MINARINAMUL, YUKGAEJANGGUK, KALGUKSU, SAMGYAETANG, HOBAKJIJIM, TORANTANG, GATEUNNAMUL, NUREUMJEOK, DAKJIM, KALBIJIM, PATJJUK, and DONGCHIMI is usully made. 5. The source to learn about traditional foods is mostly by her mother and the rest orders are husband's mother, cooking books, mass media (including T.V), school education, and cooking instituse, etc.

  • PDF

특급호텔 조리사의 푸드 스타일링 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 Styling for Cooks in a Deluxe Hotel)

  • 김병희;신미혜;강근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76-88
    • /
    • 2011
  • 특급호텔 조리사의 푸드 스타일링 인지 및 만족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리사들은 조리 시 '음식의 맛(57.7%)'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다음은 '위생 (25.9%)'이었다. 호텔 자체 푸드 스타일링 교육은 35.5%만 수행되고 있었으며 푸드 스타일링 관련 정보는 '잡지 등 정보매체에서 주로 얻는다'고 한 비율이 54.9%로 가장 많았다. 또한 푸드 스타일링에 관하여 조리사들은 '개인적인 발전과 관심(74.7%)'에서 '개인적으로 학습한다(49.6%)'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음식문화 트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3.35{\pm}.83$ 이었고, 푸드 스타일링 원리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3.41{\pm}.84$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푸드 스타일링 원리인지는 연령(p<0.01), 조리경력(p<0.05), 직급(p<0.01)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리사의 푸드 스타일링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90{\pm}.89$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푸드 스타일링 만족도는 직급(p<0.1) 및 교육(p<0.1)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직급과 교육이 높을수록 조리사의 푸드 스타일링에 대한 만족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교급식의 관리와 효과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태도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Effect)

  • 김학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8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general problems of school food service and to explore a way to improve it,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ciousness and attitude toward it that gave a big impact on children's development of food habit. For attaining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 1) What's elementary school teacher attitude toward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2) What's elementary school teacher attitude toward school food service effect on children? 3) What's elementary school teacher opinion about how to develop school food service? The subjects of study were 328 male or female teachers who served at elementary school in urban and rural area, including eup, myon, 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Kyonggi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m.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eacher Attitude Toward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Concerning food service place, the subjects were more satisfied at food service room(73.3%) than at classroom(23.0%). They responded that food service room was more effective, than classroom, for food transportation, distribution and post-arrangement. Their satisfaction at food service pla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older teachers considered personnel management and cooking room's sanitary management to be more efficient, and their ag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consciousness of these things. Many teachers(63.1%) thought the measures to prevent and manage group food poisoning were relatively efficient. The male teachers expressed more affirmative view on the efficiency of school food expense management and menu preparation than female teach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2)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Effect School food service was thought to be very effective for physical growth(74.1%) and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70.1%). Teachers at smaller school revealed more affirmative response toward school food service effect on correcting an unbalanced diet, and older teachers considered its effect on nutri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learning outcome to be more great. Teachers at larger school put less value on its effect on table manners, and school size produc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mber of teachers who thought school food service generally raised parent concern and support for school(36.6%) was a little more than that of teachers who didn't think so(15.2%). And the number of teachers who didn't consider its effect on improving parent food life to be good(29.3%) was slightly more than that of teachers who did. 3) School Food Service Reform Measure What's most urgently needed for better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appeared to be an expansion of facilities concerned, followed by more effective food distribution and transport, cooking room's better sanitary management, more successful food poiso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more effective food expense management, and an increase of food service personnel in the order named. The most effective means of school food service education was found to be a creation of link system to family, followed by a development of school food service education program, a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 insertion of school food service in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in the order na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