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t educational method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5초

영문학 기반 키네틱 교육 콘텐츠의 교육적 유의미성과 현장 활용 방안 탐구 (A study of kinetic narrativ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English literature: A convergent approach)

  • 김은정;신동일;김금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43-53
    • /
    • 2016
  • 키네틱 교육(Kinetic education)은 모션을 인식하는 디지털 기기인 체감형 게임기(motion based game device)를 사용하여 교육행위에 운동성을 접목하는 융합형 교육방안이다. 본 논문은 키네틱 교육의 필요성과 의미를 탐색하고, 영미문학 서사 교육, 전신반응 활동에 기반을 둔 스토리텔링(Total Physical Response-Storytelling) 교수법의 특성을 상보적으로 결합시켜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교육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영문학 기반 키네틱 교육 콘텐츠' 기획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예시는 '아기돼지 삼형제'(The Story of the Three Little Pigs) 동화를 활용하여 1) 어린이 영문학 작품 선정 및 분석, 2) 콘텐츠 프로토타입 설계 및 개발, 3) 동작 데이터베이스 구축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사문화 교육과 스토리텔링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새로운 융합적 모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학 서사 기반의 키네틱 콘텐츠의 교육적 연계성과 인문학적 가치를 부연하였다.

A Study on Creative and Convergent SW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 Lee, Myung-S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3-100
    • /
    • 2017
  • Aft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me along, SW education to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ega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irst and then in universities as well positively; however, research on the curriculum or what it has to pursue is not yet enough. He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W education provided in software-oriented schools operated in universities and also given as cultural studie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examines the curriculum or the standard plan for education. In most schools, it is operated as similar subject names, and diverse methods are tried on- and off-line to cultivate computing thinking skills. Also, to study SW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operated in the general cultural courses of universities and find out how to utilize them, this author suggests the goal setting,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SW education. As follow-up tasks, it will be needed to apply the suggested programs to the field and find out new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persons of ability.

증명학습에서 생성-수렴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Proof Learning-Teaching Methods: the Generative-Convergent Model)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1호
    • /
    • pp.59-9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증명학습을 할 때 범하는 수학적 오류를 교수학적으로 처방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증명의 역할과 본질을 이해하여 증명과정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이라는 증명 학습-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모형을 8학년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40시간에 걸쳐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과 관계를 학습할 때 적용하여 학생들의 증명능력 향상과 오류 교정에 미치는 효과 및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 양상으로 세분화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증명능력 검사에서 평균점수는 높았다. 그러나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증명능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생들은 논증기하 영역에서 증명을 할 때 범하는 오류 교정율에 있어서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한 학생들의 오류 교정율이 통제집단보다 더 큰폭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경험적 정당화에서 분석적 정당화로의 이행을 보였으나,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한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분석적 정당화를 구성하는 학생들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 PDF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이룸(IiRUM)인성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융합적 로드맵 설계: 교육혁신의 대안 (Design of Convergence Roadmap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Duksung IiRUM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Alternativ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 김영준;권량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79-87
    • /
    • 2021
  • 본 연구는 덕성여자대학교의 교육혁신을 조망하는 대안의 관점에서 덕성이룸(IiRUM) 인성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로드맵을 설계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대학 인성교육과정 기반을 구축하는 이론적 고찰이나 사례 방안을 다룬 문헌을 분석하는 절차와 함께 전문가 회의가 병행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내용은 덕성여자대학교의 현행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인성교육의 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못한 교육혁신의 대안 관점에서 새롭게 구축되어야 할 인성교육과정이 현행 교육과정 구도에 어떻게 융합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가의 로드맵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덕성이룸(IiRUM)인성교육과정이 교과과정 및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에 걸쳐 개발 및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덕성여자대학교에서 덕성이룸(IiRUM)인성교육과정은 기존과 현행 교육과정 구도와 상호 균형적이고 융합적으로 개발이 될 뿐 아니라 효과적인 운영 역시 가능함이 분석되었다.

웹 기반의 치매 예방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치매예방 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among Elders in Communities)

  • 박경순;반금옥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onvergent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mong elders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 Participants were 16 elders over 65 years of age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was given twice a week for 9 weeks. Results: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ere reduc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pre-inspect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s homogeneity test was not conducted previously for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based on covariate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depression level did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prevented worsening of depression and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For further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research including a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contents and length of the program.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 - 과학교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 이선경;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74-99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제적인 의미와 수행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포커스 그룹 면담법을 이용하였으며, 과학교육의 관점으로부터 교육적 목적과 내용을 통합하는 방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을 도출하였다. 4명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2차의 포커스 그룹 면담에서는 융복합 교육의 개념, 가능성, 수행, 체계적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 질문되고 논의되었다. 면담의 결과는 질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다섯 가지 주요 주제로 구분하여 주요 범주로 사용하였다. 이들은 1) 관련 개념과 근거, 2) 내용, 방법 및 평가, 3) 융복합 교육에 적합한 과학교과의 특성, 4) 융복합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인식과 전문성과 5) 이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환경적 조건 등이었다. 이로부터 융복합교육을 수행하고 미래 사회를 위해 과학교육을 재정향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적이고 실제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차유미;차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07-214
    • /
    • 2019
  • 본 논문은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16년 한국아동 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중학교 2학년 2,36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하였으며,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들이 인권존중 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에 대한 인권교육 강화, 인권존중과 자아존중감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분석 (The Analysis on interes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 이종원;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65-173
    • /
    • 2017
  • 본 연구는 CBAM 모형에 근거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을 앞두고 체육교사의 관심도를 측정하고 교사배경 변인별로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지역 중·고등학교 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게 나온 걸로 보아 중·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결과에 대해 관심이 매우 높으나, 그 방법에 대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연수와 활용방안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체학급수별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학급수별 맞춤형 2015 개정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달해야 한다. 일방적인 집합형태의 전달연수에서 벗어나 학급 수에 따른 연수와 자료의 전달방법이 달라야 할 것이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체육교사의 관심도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예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교육론에 기초한 수학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thod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Rudolf Steiner's Anthroposophy Education Theory)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27-154
    • /
    • 2018
  •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prize" was presented as a human resource to be pursued by current curriculum. The core competencies that future talent should have are self-management capacit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creative thinking capacity, aesthetic capacit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mong the six core competencies, the ability to have more attention today is aesthetic capacity and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pursue it. The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based on Rudolf Steiner's anthroposophy education theory is an education that actively raises the aesthetic sensitivity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the Steiner's anthroposophy and examine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m.

How do learners discover the topic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alysis of Learners' Creative Activit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topic

  • Kim, Hyekyung;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2호
    • /
    • pp.167-187
    • /
    • 2013
  • Team project learning is a type of Project-Based Learning, which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for developing cognitive competency such as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analytical skills. This research,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focuse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activities in TPBL(Team Project-Based Learning). A qualitative approach including a reflective journal based on the 6 stages of TPBL, was adopte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69 reflective journals on the three stages (developing a theme, researching, theme-making)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ree criteria: divergent thinking factors, convergent thinking factors and affective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journals demonstrated twenty-eight activities from nine cognitive factors and nine activities from three affective factors were derived from reflect journal.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ore appropriat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needed for students to enhance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