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among Elders in Communities

웹 기반의 치매 예방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치매예방 행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6.10.01
  • Accepted : 2016.12.20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onvergent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mong elders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 Participants were 16 elders over 65 years of age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was given twice a week for 9 weeks. Results: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ere reduc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pre-inspect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s homogeneity test was not conducted previously for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based on covariate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depression level did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prevented worsening of depression and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For further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research including a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contents and length of the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기백석 (1996).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과학, 35(2), 298-307.
  2. 김성윤 (2004). 치매에서의 우울증. 대한치매학회지, 3(1), 18-23.
  3. 김승돈, 김용환 (2009). 가족 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5(1), 7-32.
  4. 김지애 (2009). 노인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20(2), 50-61.
  5. 김한곤, 박세정 (2009). 치매 노인의 삶의 질과 시설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4), 1461-1481.
  6. 박경순, 박재성, 반금옥, 김경옥 (2013). 웹기반의 치매 예방용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322-331.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322
  7. 박현숙, 김현수 (2008).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전도관련체력에 대한 시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7(1), 77-85.
  8. 서국희, 김장규, 연병길, 박수경, 유근영, 양병국 등 (2000). 노년기 치매와 우울증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 신경정신과학, 39(5), 809-819.
  9. 손준호, 류호상 (2010). 장기간 복합운동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4), 183-195.
  10. 오의금, 석소현 (2009). 치매노인 주부양가족의 건강상태, 부양부담감, 삶의 질 연구. 정신간호학회, 18(2), 157-166.
  11. 왕중산 (2004). 손동작 운동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경기.
  12. 유애리 (2013). 치매예방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기.
  13. 유자연 (2011). 노인의 치매예방해위와 자기 효능감 및 인지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4. 이동영, 이강욱, 이정희, 김기웅, 주진형, 윤종철 등 (2002).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한국 노인 정상규준 연구. 신경정신과학, 41(3), 508-525.
  15. 이윤미, 박남희 (2007).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인지 장애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9(5), 104-114.
  16. 이윤희 (2011).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인식 정도와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서울.
  17. 이홍자, 김현실, 정영미 (2009). 일 지역 재가 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 12-22.
  18. 임정자 (2010). 치매예방간호중재프로그램이 노인의인지기능우울에미치는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
  19. 전진숙 (2009). 장수와 치매의 예방. 신경정신의학, 48(5), 307-313.
  20. 주애란, 박상하 (2004).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6(1), 27-37.
  21. 지혜련, 최순희, 조명숙 (2003).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5(2), 205-217.
  22. 보건복지부 (2010). 치매유병률 최종보고서
  23. 보건복지부 (2014). 치매유병률 최종보고서
  24. 황옥남, 윤숙례, 황해연, 남기석 (2002). 치매 예방 프로그램 운영 및 효과검증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5(2), 156-165.
  25. A. Karp, S. Paillard-Borg, H. X. Wang, M. Silverstein, B. Winblad, L. Fratiglioni (2006). Mental, physical and social components in leisure activities equally contribute to decrease dementia risk.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1(2), 65-73. https://doi.org/10.1159/000089919
  26. J. A.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H. Virginia, M. Adey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27. Lewis, M. L., Hobday, J. V., & Hepburn, K. W. (2010). Internet-based program for dementia caregiver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25(8), 674-679. https://doi.org/10.1177/1533317510385812
  28.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1975.
  29. N. Coley, S. Andrieu, V. Gardette, S. Gillette-Guyonnet, C. Sanz, B. Vellas et al. (2008). Dementia prevention: Methodological explanations for inconsistent results. Epidemiologic Reviews, 30, 35-66. https://doi.org/10.1093/epirev/mxn010
  30. R. Savica, R. C. Petersen (2011). Prevention of dementia.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4, 127-145. https://doi.org/10.1016/j.psc.2010.11.006
  31. S. Burgener, P. Twigg (2002). Relationships among caregiver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n care recipients with irreversible dementia.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6(2), 88-102. https://doi.org/10.1097/00002093-200204000-00006
  32. S. C. Burgener, L. L. Buettner, E. Beattie, K. M. Rose (2009). Effectiveness of community bas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early stage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5(3), 50-57. https://doi.org/10.3928/00989134-20090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