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성 비만인의 자세변화에 따른 융합적인 폐기능에 대한 비교 (Analysis of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in the 20s Men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Obesity According to Position Changes)

  • 박승환;김옥기;서교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67-74
    • /
    • 2019
  • 본 연구는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성 비만인이 자세변화에 따른 융합적인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만을 가진 20대 경도의 지적장애인 남성 10명(비만군)과 비만이 없는 20대 경도의 지적장애인 남성 10명(대조군)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자세변화(바로 누운 자세,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 90도 앉은 자세)에 따라 Fit mate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평가해 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모든 대상자의 자세변화에 따란 호흡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각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비교를 실시하였다. 비만군에서 자세변화에 따른 호흡기능이 대조군보다 실험 후 호흡기능이 더 낮게 나타났다. 세가지 자세변화에도 바로 누운자세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비만군은 대조군보다 호흡기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런 결과는 비만을 가진 지적장애인의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객관적인 호흡측정 자료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트레드밀 훈련이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성 비만인의 복합적인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in the 20s Men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Obesity to Tredmill Exercise)

  • 서교철;박승환;조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77-83
    • /
    • 2021
  •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성 비만인들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훈련을 통해 복합적인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비만을 가진 20대 경도의 지적장애인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을 각각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군은 트레드밀 훈련을 30분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고정자전거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실험전과 실험후에 Fit mate로 폐기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으로 실험전과 후에 각 그룹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비교를 실시하였다. 실험 후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호흡기능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호흡기능이 더 향상되었으며, 이런 결과는 비만을 가진 지적장애인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대학생의 다양한 누운 자세별 복합적 폐활량에 대한 비교 (Analysis of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in the 20s Men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Multiple Lying Positions)

  • 김옥기;박승환;서교철;조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9-175
    • /
    • 2019
  • 본 연구는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대학생이 다양하게 누운 자세변화 따른 복합적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자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누운 자세, 오른쪽 옆으로 누운 자세, 원쪽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러 누운 자세에 따라 폐기능 측정기를 이용하여 폐활량을 평가해 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18.0 버전을 이용하여 실험 대상자의 자세변화에 따란 호흡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결과는 오른쪽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폐활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엎드러 누운 자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경도의 지적장애인이 일상이나 임상에서 침상생활을 할 때 취침에서 가장 안정된 호흡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상적인 누운 자세를 제시하고 효율적 환기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앉은 자세각도에 따른 PNF를 융합한 호흡운동이 20대 여대생의 폐활량에 대한 비교 (The Effects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20's Female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Respiration Pattern Convergence Exercise by Sitting Position)

  • 서교철;박승환;조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5-1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와 바로 누운 자세에서 PNF를 융합한 호흡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0대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실험은 4주간 실시하였으며, 주당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 호흡운동 30분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PNF 호흡운동 30분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실험전과 실험후에 폐활량분석기를 통해 폐기능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호기예비용적과 폐활량, 최대환기량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호흡패턴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이 바로 누워 PNF호흡운동을 실시한 대조군보다 폐기능의 증진을 볼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트 적용이 폐 기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 (The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Pulmonary Func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 임규리;고현정;강지현;오다운;박신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6-18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즉각적으로 알아보고자 함이다.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압박벨트 착용 전에 폐기능, 압력중심, 버그균형검사, 일어서서 걷기 검사, 10m 보행, 기능적 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한 직후에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노력성 폐활량과 1초간 노력성 날숨 유량을 제외한 모든 결과값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가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균형과 보행 능력의 증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폐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압박 수준과 자세 변경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rediction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rrelation with Quantitative CT Parameters

  • Hyun Jung Koo;Sang Min Lee;Joon Beom Seo;Sang Min Lee;Namkug Kim;Sang Young Oh;Jae Seung Lee;Yeon-Mok Oh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4호
    • /
    • pp.683-692
    • /
    • 2019
  • Objective: We aimed to evaluate correlations between computed tomography (CT) parameter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PFT) parameters according to disease sever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to determine whether CT parameters can be used to predict PFT indic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70 patients with COPD were grouped based on disease severity according to th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I-IV criteria. Emphysema index (EI), air-trapping index, and airway parameters such as the square root of wall area of a hypothetical airway with an internal perimeter of 10 mm (Pi10) were measured using automatic segmentation software.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FT results and quantitative CT parameters according to GOLD criteria were compared using ANOVA. The correlations between CT parameters and PFT indices, including the ratio o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to forced vital capacity (FEV1/FVC) and FEV1, were assessed. To evaluate whether CT parameters can be used to predict PFT indic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ll patients, Group 1 (GOLD I and II), and Group 2 (GOLD III and IV). Results: Pulmonary function deteriorated with increase in disease severity according to the GOLD criteria (p < 0.001). Parenchymal attenuation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worse in patients with higher GOLD stages (P < 0.001), and Pi10 was highest for patients with GOLD III (4.41 ± 0.94 mm). Airway parameters were nonlinearly correlated with PFT results, and Pi10 demonstrated mild correlation with FEV1/FVC in patients with GOLD II and III (r = 0.16, p = 0.06 and r = 0.21, p = 0.04, respectively). Parenchymal attenuation parameters, airway parameters, EI, and Pi10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FEV1/FVC for the entire study sample and for Group 1 (R2 = 0.38 and 0.22, respectively; p < 0.001). However, only parenchymal attenuation parameter, EI,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FEV1/FVC for Group 2 (R2 = 0.37, p < 0.001).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FEV1. Conclusion: Airway and parenchymal attenuation parameters a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COPD, whereas parenchymal attenuation parameters are domin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severe COPD.

Structuring of Pulmonary Function Test Paper Using Deep Learning

  • Jo, Sang-Hyun;Kim, Dae-Hoon;Kim, Yoon;Kwon, Sung-Ok;Kim, Woo-Jin;Lee, Sang-Ah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61-6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문자 검출 및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비정형의 폐 기능 검사지 이미지로부터 연구를 위한 관련 정보들을 추출하여 정형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문자 인식 오차율을 줄이기 위한 후처리 방법 또한 개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정형화 방법은 폐 기능 검사지 이미지에 대해 문자 검출 모델을 사용해 검사지 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문자 이미지를 문자 인식 모델에 통과시켜 문자열을 얻어낸다. 얻어낸 문자열에 대해 문자열 매칭을 이용한 유효성 검토를 진행하고 정형화를 마무리한다. 제안하는 정형화 시스템의 오차율은 약 1% 이내, 검사지 당 처리속도는 2초 이내로 전문인력의 수작업을 통한 정형화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방식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J-2698, an Adenosine A3 Receptor Antagonist, Alleviates Elastase-Induced Pulmonary Emphysema in Mice

  • Boo, Hye-Jin;Park, So Jung;Noh, Myungkyung;Min, Hye-Young;Jeong, Lak Shin;Lee, Ho-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3호
    • /
    • pp.250-258
    • /
    • 2020
  • Emphysema, a major compon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leading cause of human death worldwide. The progressive deterioration of lung function that occurs in the disease is caused by chronic inflammation of the airway and destruction of the lung parenchyma. Despite the main impact of inflammation on the pathogenesis of emphysema, current therapeutic regimens mainly offer symptomatic relief and preservation of lung function with little therapeutic impact.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iscover novel therapeutics that suppress the pathogenesis of emphysema. Here, we show that LJ-2698, a novel and highly selective antagonist of the adenosine A3 receptor, a G protein-coupled receptor involved in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significantly reversed the elastase-induced destructive changes in murine lungs. We found that LJ-2698 significantly prevented elastase-induced airspace enlargement, resulting in restoration of pulmonary function without causing any obvious changes in body weight in mice. LJ-2698 was found to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and pulmonary cell apoptosis in the murine lung. LJ-2698 treatment induced increases in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s at doses that displaye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in normal cell lines derived from various organs. Treatment with LJ-2698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anti-inflammatory M2 macrophages in the lungs. These results implicate the adenosine A3 receptor in the pathogenesis of emphysema. Our findings als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LJ-2698 as a novel therapeutic/preventive agent in suppressing disease development with limited toxicity.

8주간의 슈로스운동(3차원적 융합운동)이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폐기능과 Cobb's angle, Scoliometer angle,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8 Weeks of Schroth Exercise (Three-dimensional Convergence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Cobb's Angle, and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in Idiopathic Scoliosis)

  • 박상용;심재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61-68
    • /
    • 2014
  • 본 연구는 schroth 운동(3차원적 융합운동)이 폐기능과 Cobb's angle, scoliometer angle과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Cobb's angle $10^{\circ}$ 이상의 특발성 척추측만증을 가지고 있는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각각 20명의 슈로스운동군과 전통적인 치료군으로 나누어 총 8주간 주 3회, 회당 60분의 운동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Schroth 운동을 적용한 그룹에서는 Cobb's angle과 갈비뼈 돌출부, 폐활량, 체간의 확장, 오른쪽 흉추부위의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8주간의 전통적인 측만증 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체간의 확장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3차원적 접근법인 슈로스운동이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흉추측만각도의 감소와 폐기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중재기법으로 기존의 운동방법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후의 연구에서는 척추측만증이 장기간의 관리와 치료가 필요한 질환임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체계적인 자세관리와 3차원적 융합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maximal oxygen uptake, and heart rate of short-term non-smokers)

  • 유경태;정범철;박순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64-1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단기 금연 동안 실시하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소재 N대학교의 20대 남성 26명으로 흡연자 13명과 비흡연자 13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파악 후 사전 측정 시 허파기능(FVC, SVC, MVV)과 최대 산소 섭취량를 측정하였으며 3일 간 심장박동수와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3일 금연과 함께 몸통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으로 허파기능과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당일 운동 후 즉시 1일차, 2일차 3일차의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흡연자 집단과 비흡연자 집단 모두 운동 전후 허파기능(FVC, SVC, MVV), 최대산소섭취량, 회복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짧은 기간이라도 비흡연자뿐만 아니라 단기 금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금연 활동을 더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심장허파기능 감소 예방 및 향상을 위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