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Researcher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4초

지체장애인 배우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The Autoethnography Study on the My Partner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이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57-266
    • /
    • 2019
  • 본 연구는 나 자신과 나와 함께 하는 지체장애를 갖고 있는 배우자(disable partner)와의 생활에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삶을 자서전(auto biography)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이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자 자신에 대한 내러티브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첫 번째 시기, '영원할 것 같았던 싱글라이프'의 시기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시기는 '성모의 마을'이라는 장애인시설의 만남으로 장애인과의 생활 속에서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약속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 시기는 지체장애인 배우자와의 만남과 그와의 생활의 시기이다. 마지막 시기로 지체장애인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노력의 시기이다. 질적연구는 사회적 또는 인간의 문제를 탐구하는 독특한 방법론적 연구전통에 기반하여 이해해야 하는 연구과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복합적이고 전체적인 그림을 구축 및 보고하고, 이러한 과정들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분석적이며 체계적인 연구로의 확장을 기대한다.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55-265
    • /
    • 2013
  •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기술자 지식 교류 서비스 활성화 요소 비교 연구 (Activation of Knowledge Exchange in the Researcher Community)

  • 김재훈;윤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50-957
    • /
    • 2011
  • 학문 분야의 융 복합화가 진행되고 웹 2.0 등장에 따른 온라인 협업 환경이 조성되면서 연구자들의 온라인 지식 교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도 다양한 과학기술자 커뮤니티가 존재하나 단순 자료 교환 수준의 교류는 활발하나 고급 지식의 교류는 미약한 편이다.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에 지식을 습득하고 자산화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구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과학기술자들의 온라인 지식 교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자 지식 교류 서비스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참여 활성화, 지식 품질 제고, 교류 신속성을 주안점으로 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지식 교류 서비스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특히 국내의 대표적 사례인 KOSEN What is? 서비스 운영 사례를 집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류되는 지식의 품질은 필수 조건이며 보다 활성화된 지식 교류를 위해서는 전문가 참여 유도, 전문가 매칭 시스템 개발, 지식 교류의 신속성 강화, 사용성 편의성 증진, 재미 요소 도입 등 다양한 운영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EAM Instructional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Instructional Program)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23-54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1년부터 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개발된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분석의 대상에 포함된 19편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관련 논문에는 '상황제시', '자기 문제화', '새로운 도전', '자기 평가'의 요소가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에 중점을 두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과학기술 출연(연) 연구자의 경력개발 현황과 개선방안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Career Development of Researchers at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of Science and Technology)

  • 홍성민;조현숙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101-12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의 융합 및 교류와 연구자의 성장이 더 중요해지는 최근 연구개발 활동의 특징을 반영해, 연구자 경력개발(전문성 심화) 및 경력 유동성(핵심연구주제 변화) 지원체계 구축으로 우수 연구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다.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자 5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활용해, 경력개발 및 경력 유동성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적으로 검증한 후, 연구자 성장에 적합한 경력개발을 촉진하는 연구환경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안정적인 경력개발이 이루어진 후 경력 유동성이 강화되는 게 더 바람직하나 출연연구기관의 인적자원 및 경력개발 지원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자 경력개발과 유동성을 지원하는 정책방안을 4단계로 제언하였다.

  • PDF

연구자율성 구성요인에 따른 조직효과성 연구 :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search Autonomy's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Researcher of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김종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61-1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연구자율성 구성요소를 새로운 관점에서 정의함과 동시에 그러한 구성요소들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해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에게 보장되어야 할 연구자율성 요소는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정책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연구자율성 수준을 구성 형태에 따라 개인 및 조직 수준으로, 연구자율성 유형을 본질적 및 비본질적 자율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질적 자율성이 비본질적 자율성에 비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자의 연구수행을 위한 간접적인 지원환경도 중요하지만 연구과제 선정, 자유로운 의견 교환, 연구방법론 선택, 연구결과 활용 등 연구 본연의 활동에 있어서 연구자들의 의사결정 및 재량권이 월등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PTV 지상파 실시간방송 채널의 시청률 추세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wing Rate Trends of Digital Media Service Special Reference to Terrestrial Real Time Broadcasting of IPTV)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471-477
    • /
    • 2017
  • 본 연구는 IPTV, 디지털케이블TV 등 디지털미디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상파 실시간 방송 채널의 시청 률 추세변화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수년 사이에 젊은 층의 TV 시청은 감소하고, 미디어의 대표격인 지상파의 시청률이 감소하면서 방송 산업 전반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상파사업자의 VOD 홀드백이 연장된 이후 시청자의 경쟁 채널과 모바일 매체로의 이동은 급격히 이뤄졌다. 연구자는 지상파 실시간 방송의 시청률에 종합편성채널, CJ E&M 등의 계열채널들이 영향을 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통계적 방법론인 시계열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연관성을 검증하였으며, 지상파 실시간 방송 시청률 감소의 원인을 면밀하게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책입안주체와 사업자들이 시청자의 만족과 시장의 상생 성장을 위한 정책을 만들 것을 기대한다.

Optimizing User Experience While Interacting with IR Systems in Big Data Environments

  • Minso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4호
    • /
    • pp.104-110
    • /
    • 2023
  • In the user-centered design paradigm, information systems are created entirely tailored to the users who will use them. When the functions of a complex system meet a simple user interface, users can use the system conveniently. While web personalization services are emerging as a major trend in portal services, portal companies are competing for a second service, such as introducing 'integrated communication platforms'. Until now, the role of the portal has been content and search, but this time, the goal is to create and provide the personalized services that users want through a single platform. Personalization service is a login-based cloud computing servic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enjoy the same experience at any time in any space with internet access. Personalized web services like this have the advantage of attracting highly loyal users, making them a new service trend that portal companies are paying attention to. Researchers spend a lot of time collecting research-related information by accessing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There is a need to automatically build interest information profiles for each researcher based on personal presentation materials (papers, research projects, patents).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advanced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that regularly provides the latest information matched with various information sources. Continuou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each researcher's information profile of interes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suitability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As researchers' interest in unstructured information such as technology markets and research trends is gradually increasing from standardized academic information such as patents, it is necessary to expand information sources such as cutting-edge technology markets and research trend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search and obtain the latest information for research purposes. The interest information profile for each researcher tha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can be used in the future to determine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and to build a database. If this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continues to be provided, it will be useful for research activities.

황진이 시조 「청산은 내 뜻이요」의 감정 코딩 (Emotion Coding of Sijo "Blue Mountain is My Meaning" by Hwang Jin-yi)

  • 박인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99-303
    • /
    • 2019
  • 이 연구는 본 연구자가 AI에 감정 코딩을 하기 위한 준비 작업의 하나이다. 이번에는 황진이의 시조 "청산은 내 뜻이요"에 대한 감정 코딩을 하는 것이다. 황진이는 이 시조에서 청산과 녹수에 감정 코딩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들은 Emotion Codon에서 살펴보면 UUU와 같이 감정 부호들을 코딩한다. 이러한 현상은 본 연구자가 가설을 세운 형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이 감정 코딩은 페닐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이 구성되는 촉매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러한 연구를 지속한다면, 인류의 미래에 보다 치유적인 문학의 기능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Biotechnology Development Collaboration System and Limitations of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 Yu, Tae 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247-252
    • /
    • 2022
  • The purpose of the domestic physician scientist support program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biotechnolog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xamining whether the purpose of support is being faithfully implemented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future domestic biotechnology development ecosystem.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analysis to 79 MD-PhD experts who participated or participated in doctor scientist program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a total of 25 researchers, one researcher from each classroom in parasitology, microbiology, pharmacology, biochemistry, physiology, and anatomy, which had the highest paper citations in the last five years (2016-2021),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research. I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view. As a result, 25 selected pseudo-scientists(MD-PhD) identifi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as co-researchers when publishing in overseas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5 years(2016-2021), and identified the affiliation and name of the top 5 among them, as well as the pseudo-scientist(MD-Ph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a total of 123 co-researchers(excluding 2 missing values) of the top 5 co-researchers with a high degree of co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researcher(25 in total), and the collaboration of pseudo-scientists. Relationships, major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s were examined. Nodexl Basic 2018 ver. (Microsof)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could be visualized by applying network analysis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