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ntional Biofilt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5초

악취 및 VOC를 함유한 폐가스의 바이오필터 처리: 2. 개선된 바이오필터설계에 의한 악취 및 VOC 제거거동 (Biofilter Treatment of Waste Air Containing Malodor and VOC: 2. Transient Behavior of Biofilter with Improved Design to Eliminate Malodor and VOC)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136-1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를 함유하는 폐가스 처리에 있어서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의 악취 및 VOC의 제거거동 및 제거효율 등을 관찰하고, 전통적 바이오필터의 경우의 악취 및 VOC의 제거거동 및 제거효율 등과 비교하였다.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 운전 1~7단계에서 바이오필터 유효높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미생물 population 분포 차이로 인하여, 정해진 시간에 각 단에서 에탄올 농도 순서가 바뀌었다. 반면에 운전 8단계에서 폐가스의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으로의 공급방향들이 바뀌었을 때에 에탄올 농도가 높은 순서는 운전 1~7단계와 다르게 바이오필터의 유효높이가 낮은 순서와 일치하였다. 황화수소 경우도 마찬가지였으나 에탄올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에 농도순서가 바뀐 단의 황화수소 농도의 차이는 매우 적었다. 바이오필터 운전 8단계에서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의 에탄올 제거효율은 약 96%로서 전통적 바이오필터반응기의 에탄올 제거효율인 94%보다 약 2% 증가하였다.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 처리가스의 황화수소 농도의 거동은 전통적 바이오필터반응기와 비슷하였으나 황화수소 처리농도가 더 낮았다. 운전 8단계의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의 황화수소제거효율은 전통적 바이오필터반응기의 황화수소 제거효율보다 약 2% 가량 높았다. 따라서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의 제거효율은 에탄올과 황화수소 경우에 전통적 바이오필터반응기보다 각각 2% 제고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악취 및 VOC를 함유한 폐가스의 바이오필터 처리: 1. 개선된 바이오필터설계에 의한 압력강하와 미생물 population 분포 (Biofilter Treatment of Waste Air Containing Malodor and VOC: 1. Pressure Drop and Microbe-population Distribution of Biofilter with Improved Design)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127-1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바이오필터설계를 가지는 새로운 바이오필터의 압력강하 및 미생물 population 분포 등을 관찰하고, 같은 유효부피를 갖고 unidirectional flow (UF)를 갖는 전통적 바이오필터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개선된 바이오필터는 운전 초기 또는 정상상태의 장기운전에서 전통적 바이오필터 압력강하의 약 40~80% 이상을 감소시켰다. 미생물 population 분포는 바이오필터 담체인 폐타이어담체와 입상 활성탄의 두 경우 모두 바이오필터 top 단에서 가장 낮았고 바이오필터 밑으로 내려갈수록 미생물 population이 커졌다. 한편 폐타이어담체는 입상활성탄 담체보다 월등히 큰 미생물 population을 나타내는 미생물 콜로니 개체수(CFU counts)를 보였다. 개선된 바이오필터에서 악취가스가 $bottom{\rightarrow}up$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악취가스가 $top{\rightarrow}down$으로 공급되는 경우보다 미생물 population 성장이 더욱 컸으며, 입상활성탄 담체보다 폐타이어담체에서 이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전통적 바이오필터와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 각각의 미생물 population 분포도를 비교하였을 때에, 개선된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population은 전통바이오필터보다 입상 활성탄 담체와 폐타이어담체의 경우에 각각 약 15배 및 2.5배 만큼 더 고르게 분포되었다.

코르크담체를 이용한 유기휘발성화합물의 제거 (Characterization of Cork Biofilter)

  • 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327-1331
    • /
    • 2002
  • The cork have been preferred over the conventional materials, zeolite, ceramics, and lignite as a biofilter medium. During the 6 months of operation, the performance of the cork biofilter was considered good with 150ppm of mixture BTX vapor efficiencies greater than 90% at 60 second of EBCT. It was observed 56 % of removal efficiency under transition conditions at first stage, and then the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to above 90 %, and the sustainability of removal efficiency was maintained. At second stage, the performance of cork biofilter was not decreased 90 % efficiency with 150 ppm BTX at 30 sec. EBCT. The production of $CO_2$ due to microbial respiration was increased to the 40 % on the operation of cork biofilter.

통합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압력강하 거동 및 바이오필터 담체의 미생물 population 분포 (Pressure Drop of Integrated Hybrid System and Microbe-population Distribution of Biofilter-media)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16-124
    • /
    • 2022
  • 교대로 운전되는 광촉매반응기 공정, 및 바이오필터 공정(전통적 바이오필터(L 반응기)와 두 개의 유닛(unit)을 가지는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R 반응기))로 구성된 통합처리시스템에서, 에탄올과 황화수소를 동시 함유한 폐가스 처리를 수행하는데 발생하는 공정 당 압력강하(△p)와 바이오필터 공정의 미생물 population 분포를 관찰하였다. 교대로 운전되는 광촉매 반응기의 △p는, 바이오필터의 △p와 비교할 때에 무시할 정도로 작게 관찰되었다. L 반응기의 △p는, 통합처리시스템의 운전 중에 계속 증가하여 4.0~5.0 mmH2O (i.e., 5.0~6.25 mmH2O/m)로 증가하였다. 한편 R 반응기의 경우에서는 L 반응기의 △p의 약 16~20% 이하인 작은 △p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공극율이 큰 폐타이어 담체 등의 바이오필터 담체 및 R 반응기 설계의 적용이, 목재 칩(wood chip)과 목재 바크(wood bark)의 50 대 50인 혼합물을 바이오필터 담체로 사용한 전통적 바이오필터의 보고된 압력강하 값의 각각 37~50%와 40~53% 만큼 압력강하 저감에 공헌하였다고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R 반응기 운전에서 압력강하 값이, 공극율이 큰 화산석(scoria)과 compost를 75 대 25로 혼합한 복합 담체를 충전한 전통적 바이오필터의 보고된 압력강하 값보다 약 80%만큼 저감된 결과는 주로 R 반응기 설계의 적용에 기인하였다고 해석되었다. 한편, 통합처리시스템에서 바이오필터 담체의 microbial population 분포로서 L 반응기 및 R 반응기의 담체 내 미생물 콜로니 수 비교에서는 L 반응기가 제일 밑단에서 다른 윗 단의 콜로니 수보다 거의 두 배로 증가하였으나; R 반응기의 경우는 Rdn 반응기와 Rup 반응기 각각의 상단과 하단에서 고르게 분포하였고 L 반응기보다 콜로니 수가 평균적으로 약 50% 정도 더 컸다. 이러한 현상은 R 반응기의 상단과 하단의 함수율이 50-55%의 고른 분포를 보인 것에 기인하였다. 따라서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이 전통적 바이오필터보다 △p와 미생물 population 분포에서 더욱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갈대(Phragmites australls)수초를 적용한 바이오필터에서의 하수처리시설 악취저감기술 (Odor Reduction Technology in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Biofilter with Reed Grass(Phragmites australls))

  • 정진도;김규열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3-382
    • /
    • 2013
  • In this study, a biological odor treatment system was proposed to remove odor(foul smell) materials causing several problems in the closed sewage treatment plant. This odor treatment system was composed of a two-step biofilter system in one reactor. The two-step biofilter reactor was constructed with natural purification layer in upper part and artificial purification layer in lower part. The reed grasses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were planted in the surface area and mixed porous ceramic media were filled with the lower part of biofilter reactor. By using the above experimental apparatus, the ammonia gas removal efficiency was attained to 98.3 % and the hydrogen sulfide gas removal efficiency was appeared more than 97.7 % which shows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odor removal process.

VOC 처리를 위한 Biofilter 개발 원리 및 상업화 (Principle and Commercialization of Biofilter for Treat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이은열;황재웅;강염석;문철연;박성훈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85-106
    • /
    • 2004
  • Styrene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 has come under strict regulatory control as they cause serious health and environmental problems. Biofiltration offers a number of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technologies, such as incineration, catalytic adsorption, and chemical scrubbing. In this presentation, recent progresses on the development of lab-scale biofilter for the treatment of gas-phase styrene are reviewed, The potentials of commercialization of biofilter systems are also discussed.

  • PDF

하절기 오염 소하천 정화를 위한 생물여과조와 식생대의 Pilot Test (Pilot Test of Biofilter and Vegetation Bed for Contaminated Ditch Treatment at Summer)

  • 이상화;조문철;박영식;문정현;김좌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6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ver the contaminated ditch by using a biofilter filled up with waste-concrete media and vegetation bed. Two systems were tested for elimination of organic compounds, turbidity, nitrogen and phosphate. System 1 is three-stage system which consisted of one biofilter and two vegetation bed, system 2 has three-stage system consisted of one biofilter, one vegetation bed (four bed), and one media trench operated in series. In system 1, HRT of biofilter was 4 hour, and Oenanthe javanica was planted in two vegetation bed. In system 2, HRT of biofilter was varied 2 hours and Persicaria chinensis was planted on the top of the biofilter. And Oenanthe javanica, Hydrocharis asiatica, Salvinia natans were planted in four bed of a vegetation bed and the second vegetation bed of system 1 was rebuilt to a media trench bed. The elimination rate of BOD and turbidity was over 90% in both systems. The mean elimination rates 40~50%(system 1), 30~40%(system 2) for T-N and 40~50% (system 1), 30~40%(system 2)for T-P. T-N and T-P elimination performance of system 1 was a little higher(10%) than that of system 2.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bed are not efficient in reducing T-N and T-P. It was considered that HRT of vegetation bed of both systems was much lower(1~2hr)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5~20days).

  • PDF

재순환에 의한 한국형 Biofilter System 의 질소.인 제거 (Removal of treatment efficiency for nutrients by recirculation in Korean Type Biofilter System)

  • 전기설;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11-614
    • /
    • 2003
  • A Korean Type Biofilter system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anoxic tank(septic tank) process was investigated in regard to its feasibility for removing organic as well as nutrients from the rural wastewater in Korea. At recirculation, the removal rate in BOD and SS increased slightly as much as 93 and 95% compared with non-recircul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removal rates of the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ous(T-P) in recirculation system increased significantly as much as 62 and 57%,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n-recirculation system. The recirculation system provides sufficient treatment to improve the removal rate in T-N and T-P.

  • PDF

통합 하이브리드시스템을 활용한 폐가스 처리 거동 (Time-Dependent Behavior of Waste-Air Treatment Using Integrated Hybrid System)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00-115
    • /
    • 2022
  • 교대로 운전되는 광촉매반응기 공정 및 바이오필터 공정[전통적 바이오필터(L 반응기)와 두 개의 유닛(Rup 및 Rdn)을 가지는 개선된 바이오필터(R 반응기)]으로 구성된 통합 하이브리드시스템(통합처리시스템)에서 에탄올과 황화수소를 동시 함유한 폐가스 처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통합처리시스템의 운전 단계로서 HA1, HA2 및 폐가스의 공급 방향이 뒤바뀐 HA3T stage의 광촉매 공정에서 각각 55, 50 및 45%의 에탄올 제거효율과 각각 70, 60 및 37%의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보였다. 특히, HA3T stage에서 통합처리시스템으로 공급되는 폐가스(feed)의 황화수소 농도가 10 ppmv에서 20 ppmv로 급증함에 따른 황화수소 부하량의 증가로 인하여 특히 황화수소 제거효율의 급격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통합처리시스템의 HA1, HB1, HA2 및 HB2 stage 및 HA3T stage의 초반에, 개선된 바이오필터(R 반응기)의 각 유닛에 설치한 sampling 구들의 에탄올의 파과 순서 및 에탄올 처리효율의 크기 순서는, HA3T stage 후반과 HB3T stage의 경우에서 각각 거꾸로 바뀌었다. 한편 개선된 바이오필터(R 반응기)에서 황화수소의 경우는 파과 정도가 에탄올의 경우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나 비슷한 추세가 관찰되었다.

유로변경식 부상여재 생물여과시스템을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Biofilter System with Floating Media under Alternative Flow)

  • 류홍덕;이정훈;이상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0-257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process for the small sewage treatment plants in rural communities. A biofilter has been used for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which is becoming the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system. The proposed process used in this study, which is packed with floating media (i.e. expanded polystylene), has advantages of biofilter system and alternative flow system and they are incorporated into one process. Pilot and bench scale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domestic wastewater. In the results of pilot plant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stable effluent water quality was achieved and it met the present effluent criteria of suspended solid (SS), organic matters, T-N and T-P. In the study for determination of the cycle of backwashing, it was observed that the cycle of backwashing depended on BOD loading rates of influents. In the BOD loading rates of $0.5kg\;BOD/m^3{\cdot}day$ and $1.0kg\;BOD/m^3{\cdot}day$, the backwashing cycle of 28 hour and 16 hour were needed, respectively. The optimum backwashing time was 120~80 seconds at the media expansion rate of 50%. In the removal of SS, organic matters, T-N and T-P, SS removal was rather achieved by physical filtration than biological mechanism and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s except for SS, T-N and T-P were mainly rather achieved by biological mechanism than physical filtration. In bench-scale study, the effects of recirculation rate was investigated on removal of SS, TCOD, T-N and T-P. It was observed that the recirculation made removal efficiencies of SS, TCOD, T-N and T-P increased. Especially, in T-N removal, the increase of T-N removal efficiency of 40% was observed in the reicirculation rate of 1Q compared with 0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