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Usage Inten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3초

게임의 지속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Games)

  • 김한민;김종욱;박상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25-53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에서 이용자가 게임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주요 영향 요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치, 기대일치, 지각된 즐거움의 독립변수들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델과 가설을 개발하였다. 104명의 게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분석 프로그램인 Partial Least Square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기대일치는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즐거움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만족은 기대일치, 지각된 즐거움과 지속 이용 의도 사이에서 완전매개를 수행하여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는 이용자 만족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 주었다. 이는 게임 업체들에게 이용자 만족을 통하여 지속적 이용이 일어난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의 응용분야는 게임산업 전반과 게임 제작사들이 해당된다. 또한 마케팅과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연구변수들을 도입하여 게임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지속이용의도를 설명한 것이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도와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모바일 폐쇄형 SNS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층인터뷰와 실증분석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Mobile Closed Social Network Services: In-depth Interviews and An Empirical Investigation)

  • 소택화;고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3호
    • /
    • pp.21-46
    • /
    • 2015
  • Purpose Social Network Service (SNS) users feel fatigue in process of using open type of SNS like Facebook and Twitter. Compared to the open SNS, the closed SNS takes an closed form to prevent privacy exposure, and they are more practical and advantageous to form deepe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bile closed SNS characteristics (such as usefulness, playfulness, perceived security, psychological privacy, social influence, and belonging) on the users' continuous SNS usage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ology combining in-depth interviews and empirical valid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bile closed SNS characteristics on the continuous SNS usage intention of users. Findings Analytical results from a survey of 210 mobile closed SNS users showed that except perceived security, the effects of the five SNS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SNS usage intention were significa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mobile closed SNS services and suggesting SNS related marketing strategies.

The Effect of Big Data-based Fashion Shopping Applications on App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 Hong, Hyekyung;Shin, Yeonseo;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6호
    • /
    • pp.83-9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ig data-based fashion shopping (BDFS) applic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that influence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BDFS application users based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who are living in Seoul and Incheon area and have used BDFS applications, A total of 182 respons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Five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os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rs' perceived useful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ccuracy and persona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pp an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The result suggested that it is essential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for users to feel useful and to develop the personalized offerings and services which can be the biggest strength of the big-data based mobile fashion store. It was also found that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creases with increased perceived usefulness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expectations can play a critical role in perceiving the usefulness of BDFS applications and the user's expectation confirmation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개인 커뮤니티의 지각된 특성이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Personal Communities)

  • 정영수;정철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6권3호
    • /
    • pp.133-159
    • /
    • 200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personal communities.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of personal communities, TAM, perceived risks, and satisfaction. The research model includes perceived play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risk as perceived characteristics in personal communities. For validation of this theoretical model, we survey the users of 'Mini-hompy', one of the most popular person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ith data collected from 407 samples.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s that perceived ease of use is positively related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risk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atisfaction. User's satisfac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personal communities.

  • PDF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ents Quality on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UCC Services)

  • 정철호;정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94-303
    • /
    • 2009
  • 본 연구의 주목적은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문헌에 관한 종합적인 고찰 결과를 토대로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로 정확성, 완전성, 다양성, 유희성, 적시성 등의 다섯가지 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들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 요인들이 사용자의 만족을 거쳐 지속이용의도를 형성하게 되는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UCC 서비스 이용자 315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 중 완전성, 다양성, 유희성, 적시성 둥의 네가지 요인이 사용자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 중 정확성, 완전성, 유희성, 적시성 등의 네가지 요인이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UCC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UCC 서비스 운영자에게 실무적, 관리적 측면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Mobile Learning in Cyber University)

  • 주영주;함유경;정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77-49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향이 노력기대와 성과기대를 통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13년도 2학기에 W사이버대학에서 웰빙건강학부 한방건강학과의 전공과목 수강생 27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시스템품질과 개인혁신성향은 노력기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향은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노력기대와 성과기대는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러닝 학습자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모바일러닝의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및 서비스품질을 높이고, 학습자의 혁신성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지각된 화장품 브랜드 앱의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객만족의 매개효과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Cosmetic Brand App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 Medit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

  • 조가;김영길;김연성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7-25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 of perceived cosmetics brand apps attributes and use intentions, mediating rol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n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management strategy of beauty industry and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corresponding to smart era.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by an online company(EMBRAIN). Afte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general attributes of questionnaire survey using SPSS 22.0, and data conclusions were derived by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and hypotheses. Results: First, perceived cosmetic brand app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cosmetic brand app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erceived cosmetic brand app attributes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Fourth, involvement prove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smetic brand app attributes perceived interactiv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Involvement has proven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cosmetic brand app attributes perceived interactivity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Conclusion: Consumers buying products from cosmetics brand apps will be more likely to use cosmetics brand apps if they feel comfortable with calculation process, search, booking confirmation and payment methods.

옴니채널 서비스 이용 동기가 지속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 및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age motivation for omni-channel services on continu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 최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6호
    • /
    • pp.553-568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 to use omni-channel services on mobile devices in fashion stores and the effects of such usage motivation on br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omni-channel services during shopping for 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asked 413 consumers to rate their brand purchase intention. Sub-levels of each variable were examined using SPSS 25.0, follow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19.0. In addition,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mixed. First, only two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for omni-channel services,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greate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brands that provided omni-channel services than it did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of the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utilitarian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modified model, while social motivation did not affect service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Finally, our findings suggest that brand loyalty can be built by encouraging service commitments through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based on the usability of omni-channel services.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의 이타주의적 행위가 게임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관계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Network Social Gamers' Altruism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al Capital)

  • 채성욱;강윤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1호
    • /
    • pp.201-223
    • /
    • 2016
  • Purpose As social network games (SNG) enjoy rapid growth in the market and become a major sector of the gaming industry, it is of great interest to examine the how users continuously use SNG. In SNG, the users' social interaction is the most prominent advantage of the social network, as well as the entertainment afforded by the gam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m,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SNS, and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capital.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earch model considers social bonding and bridging that are divided by social capital. Design/methodology/approach An AMOS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from 223 SNG users indicated that SNG with greater altruism enhance social capital (social bonding, social bridging), which is related to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SNG. Findings Social bonding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user's satisfaction with SNG. In other words, social bridging positively affects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NG. These findings help manager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ltruistic relationships and social capital for continuous usage of SNG.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지속적 사용의도 영향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Affecting Factors of Healthcare Applications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their Relationships)

  • 기연수;안성만;조민국;최병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89
    • /
    • 2019
  •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 및 도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공이 기술 수용이나 도입이 아닌 지속적 사용의도에 의해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있어 성별과 연령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 혁신성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지향, 즐거움은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은 지속적 사용의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성별은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영자들에게 일정 정도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