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Awareness and Shar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Context Aware System based on Bayesian Network driven Context Reasoning and Ontology Context Modeling

  • Ko, Kwang-Eun;Sim, Kwee-Bo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54-259
    • /
    • 2008
  • Uncertainty of result of context awareness always exists in any context-awareness computing. This falling-off in accuracy of context awareness result is mostly caused by the imperfectness and incompleteness of sensed data, because of this reasons, we must improve the accuracy of context awareness.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o model the uncertain context by using ontology and context reasoning method based on Bayesian Network. Our context aware processing is divided into two parts; context modeling and context reasoning. The context modeling is based on ontology for facilitating knowledge reuse and sharing. The ontology facilitates the share and reuse of information over similar domains of not only the logical knowledge but also the uncertain knowledge. Also the ontology can be used to structure learning for Bayesian network. The context reasoning is based on Bayesian Networks for probabilistic inference to solve the uncertain reasoning in context-aware processing problem in a flexible and adaptive situation.

모바일 유비쿼터스 인터넷 구축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 자원공유 시스템 (Resource Sharing System Base on Context-Awareness for Construction of Mobile Ubiquitous Internet)

  • 나승원;오세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6호
    • /
    • pp.419-424
    • /
    • 2004
  • 휴대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은 이동성을 제공하며 우리의 생활 속에서 빠르게 성장해 가고있다 그러나 모바일 인터넷은 기본적인 제약으로 인해서 대중적 활용이 미약한 수준이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는 사전의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되어 자원간의 상호 연계성이 미비한 자원제약 적인 사항이 대두되고 있어서 모바일 인터넷이 대중적인 서비스로 발전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분산되어 있는 객체간의 위치 제약성을 극복하고 객체 자원 간 상호 공유를 확대하는 '모바일 자원의 공유'를 증대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이론 구현하기 위해서 모바일 자원공유 시스템(MIRSS : Mobile Resources Sharing System)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자원공유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일 요청을 상황인식(Context Awareness)에 기반한 다중 명령으로 자동 변환하여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모바일 자원공유 시스템의 적용으로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어디에서든지(anywhere), 언제든지(anytime) 얻을 수 있는 모바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구축을 기대할 수 있다.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approaches to knowledge sharing

  • Widen, Gunill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6-14
    • /
    • 2017
  • Workplace knowledge sharing is a complex process and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tudies in the area. In this article three theoretical approach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used to discuss knowledge sharing in the workplace. The approaches are information behavior,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culture, and they bring important insigh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rom a holistic management point of view when it comes to knowledge sharing. The individual's relation to different levels of context is important, meaning both in relation to work roles, work tasks, situation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culture. The frameworks also shed light on where and how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re present in the organization. From a knowledge management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when knowledge is valued, there is also an awareness of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lso, in addition to more traditional views of context, the frameworks bring forward different views on context, such as time and space as contextual factors.

모바일 P2P 환경에서 사용자 상황 인식을 위한 컨텍스트 인식 및 통합 모델 (A Model of Context Awareness and Integration for Users Situation Awareness in Mobile P2P Environment)

  • 윤효근;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4-309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는 각종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지역마다 다른 컨텍스트 인식 구조로 인하여 타 지역의 정보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컨텍스트 자원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처리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로 사용자의 상황을 능동적으로 분석하고 적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텍스트 인식 및 통합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사용자의 상황을 분석하기 저한 컨텍스트 구조를 동적, 정적으로 구분하고, 지역 내사용자들의 컨텍스트 정보를 공유시켜 컨텍스트 자원을 확보하였다.

사용자 상황 인식 정보 및 서비스 정보의 공유를 위한 지능형 P2P 모바일 에이전트 (An Intelligent P2P Mobile Agent for sharing Users' Context and Service Information)

  • 윤효근;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38-544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지원 구조는 사용자 주변에 공유된 자원을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맞게 제공된 서비스 항목과 자원을 분석하고, 필요한 서비스 및 자원을 적합하게 분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 상황에 맞도록 서비스된 항목을 공유시킴으로써 지능적인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지능형 P2P 모바일 에이전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특정 자원에 대한 독점성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사용자 상황 인식 및 서비스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Design and Implement Ubiquitous System on Chip for IEEE 802.15.4 WPAN Standard

  • Doo, Kyoung;Kim, Young-Sam;Kim, Sun-Kuk;Lee, Kang-Wha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697-698
    • /
    • 2008
  • Ubiquitous Computing System is available anytime, anywhere communications and computing systems, and information sharing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computing systems. in addition, For Ubiquitous Computing System, it is need the sensor technology to detect information of user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or these reason, this paper proposed CRS(Context Recognition Switch) and DOS(Dynamic and Optimal Standard) based Context-awareness system architecture.

  • PDF

스케줄과 상황 인식을 결합한 모바일 폰의 프로파일 모드 자동 설정 기법 (A profile Mode Automation Technique for the Mobile Phone using Combination of Schedule and Context-awareness)

  • 서정희;박흥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64-1370
    • /
    • 2017
  • 본 논문은 사용자의 핸드셋 처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스마트 폰에 내장된 GPS 센서 및 가속도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부 상황을 수집하고 사용자 스케줄의 데이터와 상호작용하여 스케줄 컨텍스트 기반의 모바일 폰의 프로파일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모바일 폰에서 실시간의 데이터 수집은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장치에 에너지 부족 현상을 나타낸다. 즉, GPS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측정 장치에 액세스하면 휴대용 장치의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따라서 주별 스케줄과 스마트 폰 모드 제어를 위한 상황인식의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싱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면에서도 향상되었고, 최종 사용자의 로컬 컨텍스트와 스마트 폰 강제 제어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환경 적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텍스트의 이용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황인식 미들웨어를 위한 트랜스듀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설계 (A Design of Transducer Interface Protocol for Context-aware Middleware)

  • 장동욱;손석원;한광록;선복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5-55
    • /
    • 2011
  •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곳곳에 편재된 센서가 수집한 각종 환경 정보를 효율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한 센서의 종류는 다양하고 각각의 센서는 고유의 특성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센서의 활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센서와 네트워크 계층과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화를 위한 IEEE 1451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IEEE 1451은 트랜스듀서(Transducer)의 표준화를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미들웨어에 접속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XML을 이용하여 주변상황 정보를 얻기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함으로써 상황인식 미들웨어에 연결되는 트랜스듀서 인터페이스 및 응용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센서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량 건전성 감시 시스템과 철로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고 제안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커뮤니티 기반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한 커뮤니티 생성 권한 위임 방안 (Authority Delegation Scheme for Secure Social Community Creation in Community-Based Ubiquitous Networks)

  • 노효선;정수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호
    • /
    • pp.91-98
    • /
    • 2010
  • 본 논문은 커뮤니티 기반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대리 서명 기법을 적용한 커뮤니티 멤버들 간의 상호 인증 기법 및 안전한 커뮤니티 생성 권한 위임 기법을 제안한다. 커뮤니티 기반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응용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해 다양한 상황인식 정보가 수집 되고 활용된다. 또한 사용자는 학업, 게임, 정보 공유, 사업, 회의 등의 다양한 목적에 의해 다양한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 기반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경우 공격자에 의해 상황인식 정보가 위조 및 도용되어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악의적인 목적으로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위임 서명 기법을 이용하여 커뮤니티 멤버들 간의 상호 인증 및 비밀 키를 교환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안전하게 커뮤니티 생성 권한을 위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 RSA 서명 기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전체 계산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카메라간 정보공유를 통한 종합적인 상황인식 (Integrated Context Awareness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Cameras)

  • 안태기;신정렬;한석윤;이길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60-1365
    • /
    • 2008
  • Most recognition algorithms for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are based on analysis of the video collected from one camera. Video analysis is also used to compute the internal parameters used in the recognition process. The algorithm computes only the video of the fixed area so that it is a insufficient method and it could not use information of the related areas. However, intelligent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correlate the events in the other areas as well as in the fixed area. In this paper, in order to construct the intelligent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we describe the method not to focus on the video of each camera but to aware the whole event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cameras, which is more accurate. The method would be used to aware the event in the fixed area such as stations in urban trans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