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915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GIS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ying of GI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 김창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09-312
    • /
    • 2006
  • GIS를 고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체계적인 공간분석이 가능하도록하는 SDSS 기반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트라넷 기반 SDSS를 구축하고 공간분석 사례를 통해 공간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식정보 생성 과정을 제시하였다.

  • PDF

A Scalable Recovery Tree Construction Scheme Considering Spatial Locality of Packet Loss

  • Baek, Jin-Suk;Paris, Jehan-Francoi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2권2호
    • /
    • pp.82-102
    • /
    • 2008
  • Packet losses tend to occur during short error bursts separated by long periods of relatively error-free transmission. There is also a significant spatial correlation in loss among the receiver nodes in a multicast session. To recover packet transmission errors at the transport layer, tree-based protocols construct a logical tree for error recovery before data transmission is started. The current tree construction scheme does not scale well because it overloads the sender node. We propose a scalable recovery tree construction scheme considering these properties. Unlike the existing tree construction schemes, our scheme distributes some tasks normally handled by the sender node to specific nodes acting as repair node distributors. It also allows receiver nodes to adaptively re-select their repair node when they experience unacceptable error recovery dela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constructs the logical tree with reduced message and time overhead. Our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it provides fast error recovery, since it can reduce the number of additional retransmissions from its upstream repair nodes or sender node.

건설현장 사전 환경조사를 위한 공간정보의 적용기법 (Application Technique of Geospatial Information for Pre-Environment Survey in Construction Site)

  • 연상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9-128
    • /
    • 2014
  • 건설공사에서 사전 환경조사는 시공 전 현장 조사 서비스뿐만 아니라, 계획 및 설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USN과 결합된 지형공간정보의 적용은 사전에 건설 현장의 진행 단계마다 조사 및 연구에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건설 환경 계획 및 기본 설계의 건설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위치를 기반으로 환경 센서와 무선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건설현장을 디지털 공간정보 환경으로 전환하고, 현장에 설치된 무선의 소형 환경 센서를 이용하여 각 유비쿼터스 센서에서 측정된 환경 데이터를 싱크 센서가 데이터 수집 처리하고 초소형 Tiny OS 기반의 PC 출력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건설 현장의 여러 환경정보를 3차원 지형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그 환경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하공간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품질등급제 연구 (A Study on Quality Level of Underground Spacial Information for Accuracy Improvement)

  • 김원대;이강원;김태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7-177
    • /
    • 2021
  • 지하공간에 위치한 시설물은 도시의 위생 및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하공간정보를 정밀하게 구축하여 시설물의 유지 관리, 안전, 지하 공간 개발 등에 주요한 정보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구축되어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하공간정보의 신뢰도를 증대하여 현장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지하공간정보 관련 구축 현황을 정리하고, 공간정보 선진국인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에서 적용되고 있는 지하공간정보 품질등급제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현장 활용성 측면에서 국내의 관련 분야에서 종사하는 현장 전문가 및 수요자의 지하공간정보 관련 제도 및 기준, 관리 방안 등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고,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도입에 따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공간정보의 구축 방법, 정확도 및 신뢰도 등에 따른 품질 등급제의 도입이 필요하며 관련 제도 및 규정 등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DESIGNING AND DEVELOPING E-MAP COMPONENT USING UML

  • Jo Myung-Hee;Jo Yun-Won;Kim Dong-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466-469
    • /
    • 2005
  • In this study e-map component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possibly overlay with all kinds of thematic maps in various scales and provide the all detailed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GIS. Also, this system has powerful map composition tool to display map such as legend, scale bar, index map and so on. For this, this e-map component was designed by using UML and developed based on Windows 2000 and implemented by using Visual Basic 6.0 as development programming language, Map Objects 2.1 of ESRI as GIS component. Through this system, the forest officials could generate more detailed topography and desired thematic map. In addition, the data consistency in DBMS could be maintained by using SDE (Spatial Database Engine) for their job and share the standard forest database with others in real time.

  • PDF

3차원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3D 모델링 자동화 기법 (Efficient 3D Modeling Automation Technique for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3D Spatial Data)

  • 이종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70-1675
    • /
    • 2021
  • 건설산업 영역의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드론,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기술 등 스마트 건설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 현장의 재해율을 낮추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건설 시공 현장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공 현장을 가상의 공간과 동일하게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구축방법은 시공 전주기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을 하고 3D 모델 파일을 이용하여 시각화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성하는 3D 모델링을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생성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축하는 모델링 자동화 기법을 소개한다.

Web GIS를 이용한 건설공사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using Web GIS)

  • 우제윤;구지희;나준엽;편무욱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45-51
    • /
    • 2001
  • 기존의 건설지원시스템은 주로 문자정보를 대상으로 구축되어 지형이나 공간정보와 같은 실 세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취약점이 있으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공간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설계지원시스템과 연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의 분석 및 지원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축 및 이를 통한 정보서비스의 발전은 GIS의 제공방식과 내용을 변모시키고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동적인 GIS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Web GIS의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진행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업무보고 및 업무지시를 수행함으로써 원격공정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단지 문서적인 업무보고에만 의존하여 보고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던 관행에서 벗어나 Web GIS에 기반한 건설공사 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건설공사 현황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Three-dimensional Map Construction of Indoor Environment Based on RGB-D SLAM Scheme

  • Huang, He;Weng, FuZhou;Hu, B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5-53
    • /
    • 2019
  • RGB-D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refers to the technology of using deep camera as a visual sensor for SLAM. In view of the disadvantages of high cost and indefinite scale in the construction of maps for laser sensors and traditional single and binocular cameras, a method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map of indoor environment with deep environment data combined with RGB-D SLAM scheme is studied. The method uses a mobile robot system equipped with a consumer-grade RGB-D sensor (Kinect) to acquire depth data, and then creates indoor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maps in real time through key technologies such as positioning point generation, closed-loop detection, and map construction. The actual field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error of the point cloud map created by the algorithm is 0.0045m, which ensures the 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using deep data and can accurately create real-time three-dimensional maps of indoor unknown environment.

기구축 공간데이터를 활용한 3차원 건물모델의 위치정합 기법 연구 - ICP 알고리즘 구현 중심으로 - (A Study on Position Matching Technique for 3D Building Model using Existing Spatial Data - Focusing on ICP Algorithm Implementation -)

  • 이재희;이인수;강지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1호
    • /
    • pp.67-77
    • /
    • 2021
  • 최근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스마트 건설 등의 분야가 발전하면서 각 분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공간정보의 가치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데이터의 최신성을 위해 공간정보의 신속한 구축과 갱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위치정확도가 이미 검증된 기구축 공간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상기준점 없이 제작된 영상기반 3차원 건물모델의 위치를 정합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를 실험대상지역에 적용한 결과, 지상기준점 없이 제작된 3차원 건물모델과 기구축 공간데이터가 높은 위치 정합률을 보여 최신의 3차원 공간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n the New Technology of Construction Structures Disaster Protection Management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Yeon,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136-145
    • /
    • 2018
  • The disaster monitoring technique by combination of the measurement method and the fine precision of the sensor collecting the satellite-based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displacement space is available in a variety of diagnostic information and the GIS/GNSS by first sensor it is being requested from them. Be large and that the facility is operated nationally distributed torsional displacement of the terrain and facilities caused by such natural disasters progres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surroundings. To diagnose this spatial information, which contains the various sensors and instruments tracks the precise fine displacement of the main construction structures and the first reference in the Geospatial or more three-dimensional detailed available map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nstalled or the like bridges and tunnels produced to a USN/IoT change at any time, by combining the various positioning analysis of mm-class for the facility main area observed is required to constantly in the real time information of the USN/IoT environment sensor, and to utilize this as a precise fine positioning information by UAV/Drone to the precise fine displacement of the semi-permanent infrastructures. It managed to be efficient management by use of new technologies, analyzing the results presented to a method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for a large structure or facility to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