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검색결과 1,936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의 차세대 자유비행 인프라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Master plan of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of Next Generation Free Flight Concept)

  • 한재현;김장환;강자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4-62
    • /
    • 2008
  •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air transport such as ICAO, IATA, ACI are forecasting that the number of passenger will grow about 4.4% annually up to 2015. Therefore, the innovation of given system technology and operation procedure is required in global scale to cope with the increase of air traffic demand. CNS/ATM infrastructure based on satellite is considered to play key ro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ue to the dramatic increase of air traffic demand over the world. Free flight concept in the air transport operation has been proved with CNS/ATM infrastructure especially in USA and Euro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key technologies to overcome technology gap and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 ADS-B is an important issue, and new element technologies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items which were shown in Capstone project. Nowadays, the free flight concept is combined to Air Transport Road Map such as NextGen project in USA, SESAR in Europe. In this process, free flight is included in the concepts such as ATM(Air Traffic Management), aviation security and safet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y development, wide area weather variable reduction service, information integration and application between the related authorities (civil/military) etc.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stablish mid-term and long-term infrastructure plan and strategy for free flight realization in Korea. The analysis of action target and equipment construction status, phase construction plan of infrastructure has been performed by considering mid-term and long-term free flight plans of USA and Europe.

  • PDF

보트제작 공정융합과 자동화를 위한 베큠인퓨전 시스템 구현 (Vacuum Infusion System for Manufacture Process Convergence and Automation of Boat)

  • 윤달환;조상;이철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4-28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보트 안정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해 배큠인퓨전(vacuum infusion) 자동화 기술을 개발한 다. 보트 생산시 매우 짧은 시간에 정확한 혼합비율로 수지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진공으로 선체와 데크 내부에 흡착되기 때문에 강도 변형 및 후(後) 변형성 등은 매우 중요하다. 배큠인퓨전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 등의 조건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보트의 건조 및 강성 확보를 위한 최적 조건을 찾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간대별 수지 유동율 및 수지 흐름도 등은 작업 조건에 대한 모델별 정보 분석 및 최적화 정보를 DB화하여 내구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수 작업장에서 소수 작업 인원으로 효율적인 생산 공정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 한다.

준공 이후 승강기 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Elevator Management System after Completion)

  • 조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55-461
    • /
    • 2016
  • 대형구조물이나 고층 건물에 승강기는 필요적임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사고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 사고가 사소하면 재난안전본부에서 처리되고 있으나 중대한 사고가 아닐 경우 안전공단에 보고되지 않아 누적되지 않고 있다. 또한 승강기의 부품교체나 수리시에는 이용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유지관리항목에 포함되는 것인지 아니면 소유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장기수선대상항목에 포함되는 것인지와 관련하여 갈등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승강기 사고 수는 줄어들지 않고 있고, 승강기 보수비용과 관련한 갈등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승강기의 사고나 고장을 감소시키고 승강기의 운행중단을 줄이며 승강기 소유자와 사용자간의 갈등을 줄일 필요가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강기 하자보수책임기간중에 하자보수처리절차, 승강기의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시 통지절차, 승강기 유지관리계약서 작성방향, 승강기검사의 공정성 담보방향을 제시하였다.

DCM 공법으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 말뚝기초의 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Piled Abutment Subjected to Lateral Soil Movement of Soft Ground Improved by Deep Cement Mixing Method)

  • 최연호;강경호
    • 지질공학
    • /
    • 제30권2호
    • /
    • pp.131-145
    • /
    • 2020
  •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시공할 경우 연약지반에는 편재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이나 활동파괴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말둑기초의 안정성과 말뚝의 거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말뚝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파악하고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교대말뚝기초의 거동특성과 보강효과를 확인하여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말뚝기초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압밀도 분석 결과, 압밀 단계에 따라 연약지반 강도증가율에 의해 연약지반의 강도정수인 점착력은 약 1.1~1.8배 증가하였다. 측방유동 검토 결과, 허용수평변위 기준은 3.8 cm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공적인 면에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나, 구조물의 중요도 및 지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여 시공 시 계측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측방유동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누출사고 방지를 위한 위험물 탱크의 기초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Foundation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Tank for Preventing Leakage Accidents)

  • 임종진;구재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96-100
    • /
    • 2020
  • 산업단지내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결함으로 인한 위험물질의 유출사고는 인근 지역의 대형 인명사고 및 대형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기초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위험물탱크 단지가 건설된 대표지반을 선정하여 3차원 모델링에 의한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적인 탱크 기초 유형을 4종류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탱크기초의 응력 및 침하량 크기와 분포 특성은 링월기초의 경우 옆판 직하부분이 탱크 중심부에 비해 40배 이상의 응력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침하영향범위는 수평방향으로 탱크 반경만큼, 수직방향으로 탱크 직경만큼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각 기초 유형별로 위험물 저장탱크의 설계 및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Village Bathhouse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Pilot Project of Common Facilities for Rural Seniors -

  • Do, Hyun-Hak;Byun, Kyeonghwa;Kim, Seung-Geun;Seo, Jae-Hyung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3-6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ser satisfaction with village bathhouses, selected from a two-year pilot project of common facilities for seniors in rural areas from 2014 to 2015.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evaluate user satisfaction, and 9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0 village bathhouses. User satisfaction was evaluated in five categories with a five-point scal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emotions and intimacy; safety; hygiene and equipment;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ores on hygiene and equipment stood at four points or higher, indicating higher user satisfaction. However, scores on the other four categories were below four points. But when overall user satisfaction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score stood at 4.13out of five points and 89.5 out of 100 poi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bathhouses. Second, a comparison of bathing patterns from before and after bathhouse construction in villages revealed that 42.7% of residents had previously gone to neighboring villages to bathe. Local bathhouse construction led to an increase in overall bathing frequency, exerting a beneficial effect on hygiene. Third, general user satisfaction correlated more closely with items related to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than items of other categories, indicating that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bathhouses have a major impact. Finally, access to a bathhouse at all times showed strong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levels, suggesting a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bathhouses throughout rural areas.

지하도로 계획 및 기하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ning and Geometric Design of Underground Roads)

  • 김낙석;배성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11
    • /
    • 2011
  • 현재 국내의 지하 도로건설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그동안 건설계획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하도로의 특성, 관련 법규 및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지하도로 건설에 필요한 기초적인 방향제시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지하도로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하도로의 선형 선정 시 지하공간 활용, 기술적요인 및 교통체계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2) 지하도로의 설계속도는 주행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한속도보다 10km/h정도 상회되도록 건설되어야 한다. 3)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하도로는 재난방지 시설 계획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제약상 지하도로 운전자의 특성에 대한 내용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나 향후 지하도로 건설에 관한 개괄적인 방향제시에 관한 내용은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 설계개념과 시공과정 상의 주요 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oncepts and Main Construction Processes of the Coal Shed at Thermal Power Plant)

  • 김시현;최장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19-3626
    • /
    • 2015
  • 본 연구대상인 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는 우리나라 발전 산업 현장 중에서 원자력, 화력 등을 포함한 건축물 중 그 규모면에서 가장 크다. 이 옥내형 석탄저장고는 축구장 6개 크기의 평면에 높이가 73m인 mass volume이다. 또한 구조 및 기능적 요소가 미적요소보다 우선이므로 구조적 안전성과 기능적 석탄저장을 위해 중앙 옹벽과 부벽 합산이 $75,000m^3$에 달하는 콘크리트와 11,744ton의 PEB시스템을 이용한 철골을 사용하여 장대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따라서 옥내형 석탄저장고에 적용된 옹벽과 철골구조에 대한 설계조건과 PEB 시스템의 특징 및 시공에 따른 주요 공정 특이사항을 조사하고, 아울러 이들 주요 공정상에 요구되는 시험 사항에 대해서 조사함으로써 이와 유사하게 지어질 옥내형 석탄저장고에 대한 설계조건과 기준 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of field water supply using public groundwater wells as irrigation in drought-vulnerable areas with a focus on the Dangjin-si, Yesan-gun, Cheongyang-gun, and Goesan-gun regions in South Korea

  • Shin, Hyung Jin;Lee, Jae Young;Jo, Sung Mun;Cha, Sang Sun;Hwang, Seon-Ah;Nam, Won-Ho;Park, Chan Gi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1호
    • /
    • pp.103-117
    • /
    • 2021
  • The severe effects of climate change, such as global warming and the El Niño phenomenon, have become more prevalent. In recent years, natural disasters such as drought, heavy rain, and typhoons have taken place, resulting in noticeable damage. Korea is affected by droughts that cause damage to rice fields and crops. Societal interest in droughts is growing, and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to address their impacts. As the demand for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expands, farm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water management, and the demand for field irrig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we investigated water demand in the irrigation of drought-vulnerable crops. Specifically, we determined the water requirements for crops including cabbage, red pepper, apple, and bean in four regions by calculating the consumptive water use (evapotranspiration), effective rainfall, and irrigation capacity. The total consumptive water use (crop evapotranspiration) estimates for Dangjin-si (cabbage), Yesan-gun (apple), Cheongyang-gun (pepper) in Chungnam, and Goesan-gun (bean) in Chungbuk were 33.5, 206.4, 86.1, and 204.5 mm, respectively. The volumes of groundwater available in the four regions were determined to be the following: Dangjin-si, 4,968,000 m3; Yesan-gun, 4,300,000 m3; Cheongyang-gun, 1,114,000 m3, and Goesan-gun, 3,794,000 m3. The annual amounts available for the representative crops, compared to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were 313.9% in Dangjin-si, 29.5% in Yesan-gun, 56.1% in Cheongyang-gun, and 20.1% in Goesan-gun.

말뚝 시공관리를 위한 비접촉식 관입량 측정장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contact Penetration and Rebound Measurement Device for Quality Control in Driven Piles)

  • 서승환;김주형;최창호;정문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11호
    • /
    • pp.97-106
    • /
    • 2022
  • 국내 매입말뚝 시공방법은 선굴착 후 최종단계의 항타 관입량으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입량은 오래전부터 수기 측정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문제와 측정값의 신뢰도 부족 등에도 작업성의 한계와 비용 문제로 자동화 기술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말뚝 관입량 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기존 장치와 비교계측을 통해 현장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관입량 측정장치를 활용하여 현장 품질관리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해 개발 장치를 활용한 관입량 측정과 수정 Hiley공식 및 동적감쇠계수 산정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지지력 추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각 현장마다 수행된 동재하시험으로 부터 현장 보정 절차가 이루어지면 보다 신뢰성 높은 지지력 추정이 가능하며, 실제 현장에서는 동재하시험이 수행되지 않은 말뚝에 대해서도 지지력 관점의 말뚝 시공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