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jugated Linoleic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44초

Conjugated linoleic acid의 비만 남자중학생 체지방 감소와 운동력 증진효과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Body Fat Reduction and Physical Exercise Enhancement of Obes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 하영래;정소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844-1850
    • /
    • 2010
  • 남자 중학생에 대한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체지방감소, 동맥경화 지표 개선 및 신체활력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체지방율이 30% 이상 인 건강한 남자 중학생 희망자 24명을 CLA섭취군과 대조군(placebo)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CLA (하루에 2회, 총 6 g)와 placebo를 이중맹검법으로 총 12주간 처리하였다. 실험전과 마지막에 인체구성, 혈중 지질조성 및 운동력을 조사하였다. CLA는 체지방과 body mass index (BMI)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지만, placebo는 효과가 없었다. CLA는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및 tryglyceride를 유의성 있게 낮추었고,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는 증가시켰다. 운동능력인 trunk flexion, closed-eyes foot balance, standing long jump, shuttle run 및 sit-up를 향상시켰다. 이 결과는 CLA가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동맥경화 및 인체활동능력을 개선할 수 있어 비만 청소년의 체력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생리활성과 축산식품 (Bilol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nimal Products)

  • 허선진;이정일;하영래;박구부;주선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27-442
    • /
    • 2002
  •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요약해보면 CLA는 생체내외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의 주요 효과는 유방암, 췌장암, 피부암 및 대장암을 억제하는 효과, 동물체내에서의 면역력증강 효과, 동맥경화증에 대한 효과, 지방축적 억제효과, 체내 지방분해 촉진효과 및 식육에서의 항산화 효과와 육색안정 효과 등으로 요약된다. 그러므로 CLA는 건강보조식품으로 혹은 축산식품을 비롯한 다양한 식품의 기능성 첨가제로써의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CLA의 효과는 실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또한 CLA의 생리활성 기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CLA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 새로운 CLA 이성체의 발견 및 CLA 합성방법에 대한 연구 2) CLA가 가지는 각각의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정확한 기작을 밝히는 연구 3) CLA 이성체간의 생리활성 효과 차이에 대한 연구 4)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성체간의 비율에 대한 연구 5) 기능성 식품첨가제로써의 CLA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연구 6) CLA를 식용가축 및 축산물에 효과적으로 축적시키는 방법 연구 7) CLA를 이용한 육제품 및 유제품 개발 연구 8) 사람에 있어 CLA 효과에 대한 임상 연구.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급여가 돈육의 조직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 이정일;최진성;박준철;문홍길;김영화;박종대;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9-357
    • /
    • 2001
  • 실험동물에서 항암성, 항산화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 후기사료에 2주간 급여하여 비육돈 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출하체중이 105~110kg으로 되도록 비육말기 사료를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2는 8%, 처리구 3은 12% 첨가하여 급여한 후 일괄적으로 도살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와 CLA 급여구간의 품질평가를 하기 위해 돈육의 육색,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돈육의 등심과 삼겹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3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육색(L*, a*, b*),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분석 결과 대조구와 CLA 급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대조구와 CLA 급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CLA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이 소비자 구매 지표인 육색과 조직감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관능적 특성 변화에 CLA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육색의 변화와 조직감 변화 결과가 뒷받침해 주며, CLA 급여로 인한 이취나, 불쾌취가 발생되지 않아 상품적 가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 PDF

인간 전립선 암세포인 TSU-Pr1에서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과 Bcl-2 단백질의 발현억제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and Depression of Bcl-2 Protein Levels by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in Human Prostate Cancer)

  • 오윤신;김은지;이상곤;정차권;강일준;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26-1133
    • /
    • 2002
  • CLA 이성체 mixture와 trans-10,cis-12 CLA는 살아있는 TSU-Prl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반면 LA와 cis-9,trans-11 CLA는 세포 수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CLA 이성체 mixture와 tran-10, cis-12 CLA는 apoptotic cell death를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특히 trans-10,cis-12 CLA는 Bcl-2/Bax 비율을 감소시켰다. Trans-10,cis-12 CLA에 의해 Bax와 Bcl-2 mRNA의 수준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이 지방산에 의한 Bcl-2의 변화는 mRNA 전사 후에 일어나는 단계에서 일어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로써 CLA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는 부분적으로 TSU-Prl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유아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에 의한 발효유의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증가 (Increas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s in Milk by Fermentation with Bifido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 이효구;권영태;강혜순;윤칠석;정재홍;김인환;정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48-1352
    • /
    • 2004
  • 인체의 장관에서 유래한 200여 Bifidobacteria 균주를 대상으로 CLA 생산능을 조사한 결과, 공시균주 1종과 국내의 유아로부터 분리한 12개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A를 CLA로 전환하였으며, 각 CLA 생산 균주들에 의한 CLA 이성체는 90% 이상이 cis-9, trans-11 CLA이었다. CLA 생산능과 전환율이 가장 높은 Bifidobacterium sp. KHU 141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을 때, 발효유의 CLA 함량은 대조구보다 39.6 mg/100 g 증가하여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효유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균주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fermenter에서의 발효유 제조 시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LA 함량은 감소하고 CLA 함량은 증가하여 배양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각각 소비된 LA의 86.0%및 84.8%가 CLA로 전환되었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CLA 생산은 배양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fermenter에서의 CLA 생산능도 bottle이나 시험관을 이용하여 발효한 경우와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한 Glyceryl Monooleate와 Conjugated Linoleic Acid로부터 효소적 반응을 통한 디글리세롤 유지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Diacylglycerol Oil from Glyceryl Mono-oleat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Using a Stirred-Batch Type Reactor)

  • 전미선;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6-252
    • /
    • 2009
  •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해 GMO와 CLA로부터 Lipozyme RMIM의 반응을 통해 DAG 함유 유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DAG 함유 유지의 조성은 총 DAG의 함량이 61 area%로 나타났으며, MAG, FFA, 그리고 TAG가 각각 30, 3.4 그리고 5.4 area%로 나타났다. 합성된 DAG 함유 유지는 short path distillation을 이용하여 DAG를 분리하였고, DAG를 포함한 증류결과물인 residue부분(DAG oil)의 수율은 46%였다. DAG oil의 조성은 총 DAG 함량이 87.3 area%, MAG와 TAG는 각각 1.5와 6 area%로 나타났으며, FFA는 검출 되지 않았다. DAG oil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각각 54%, 7%로 나타났으며, 특히 반응 기질인 GMO에서는 볼 수 없었던 CLA함량이 31.1%로 나타났다. 또한 불포화도의 척도인 iodine value가 GMO는 82.5인데 반해 DAG oil은 108.8로 증가되었고, 이러한 결과로 효소적 반응을 통해 GMO에 불포화도가 높은 CLA가 결합된 DAG oil이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Short path distillation을 통해 분리된 DAG oil의 황색도 값은 95.5였으나, 탈색 한 후 16.2로 감소하였다. DAG oil의 탈색 전 acid value와 peroxide value는 각각 0.3, 0 이었지만, 탈색 후에는 각각 1.0, 2.57로 다소 증가함을 보였다. SFI(%) 분석 결과 합성한 DAG oil은 $-50^{\circ}C$에서 고체지의 함량이 감소되기 시작하여 $15^{\circ}C$에서 모두 융해되었다. DAG oil은 세 개의 융점 피크를 $-41.2^{\circ}C$, $-25.9^{\circ}C$, $3.8^{\circ}C$에서 나타내었으며, $-17.8^{\circ}C$에서 하나의 결정화 피크를 나타내었다.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근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uscular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iler)

  • 김영직;김병기;윤용범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1-456
    • /
    • 2008
  • 본 연구는 CLA를 육계사료에 첨가하여 그 급여수준(0, 0.5, 1.0, 1.5, 및 2.0%)에 따라 육계의 생산성과 CLA를 급여한 계육의 도체특성, 혈청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육계 200수(Arbor Acre Broiler, male)를 5주 동안 공시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CLA급여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도체특성중 도체율뿐만 아니라 도체중에 대한 간, 대퇴부위, 흉심 및 북채의 비율은 CLA를 급여함으로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복강지방 비율은 CLA 급여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한 감소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혈청콜레스테롤은 CLA급여량이 증가할 수록 총콜레스테롤과 LDL-C은 감소하고, HDL-C은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지방산 조성 변화는 CLA를 급여함에 따라 palmitic acid는 증가하고,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arachidonic acid는 감소하여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CLA의 이성체함량도 CLA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계육에 CLA 축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2%까지 급여도 가능하지만. 지방산조성의 변화가 심하므로 CLA도 축적시키고 지방산 변화도 최소화할 수 있는 1%의 급여수준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주요 조사료의 Linoleic acid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Linoleic Acid Concentration in Major Domestic Forage Species)

  • 박형수;서성;임영철;최기춘;김지혜;이기원;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268
    • /
    • 2013
  • 본 연구는 조사료 종류와 수확시기에 따른 linoleic acid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목초 및 사료작물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전체 19종의 목초 및 사료작물이 조사대상 이었다. 대상작물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는 8종의 화본과 목초(Perennial ryegrass, Reed canarygrass, Tall fescue, Timothy, Bromegrass, Kentucky bluegrass, Orchardgrass and Wheat grass), 6종의 두과목초(White clover, Red clover, Sweet clover, Crimson clover, Alfalfa and Hairy vetch), 그리고 5종의 월동 사료작물(Italian ryegrass, Barley, Rye, Oat and Rape)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를 두었다(5월 8일, 5월 19일 및 5월 28일). 화본과 목초 중에서는 Reed canarygrass와 timothy가 가장 높은 lin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고 남방형 목초인 bromegrass가 가장 낮았다. 모든 초종은 5월 19일 조사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 28일 조사 시 가장 낮았다. 두과목초는 화본과 목초보다 linole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5월 19일 수확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사료작물 중에서는 유채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호밀은 높은 수준이었다.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수확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lin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육종, 품종의 선택 및 재배관리를 통하여 CLA 전구물질인 linoleic acid 함량을 변화시켜 반추가축 생산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