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r ee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식품소재로서 어류뼈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bone as a food source)

  • 최종덕;구재근;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67-72
    • /
    • 1998
  • 수산가공 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6종의 어류뼈(대구뼈, 명태뼈, 각시가자미뼈, 민태뼈, 붕장어뼈 및 고등어뼈)에 대하여 식품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건물당 조단백질 함량, 콜라겐 함량 및 amino acid 조성비는 민태뼈가 각각 40.7%, 5.86% 및 189 잔기/1,000 잔기로 기타 어류뼈의 $28.8{\sim}38.8%$, $39.4{\sim}5.73%$$160{\sim}170$ 잔기/1,000 잔기 보다 높았으나, 가축뼈 콜라겐의 amino acid 조성비(204 잔기/1,000 잔기) 보다는 낮았다. 각시가자미뼈, 붕장어뼈 및 고등어뼈의 경우 건물당 조지방 함량은 $22.8{\sim}43.9%$이었고, 생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EPA 및 DHA 등의 조성비는 $15.6{\sim}23.8%$로 오징어 내장의 그 성분들보다 낮았다. 어류뼈의 무기질은 대부분 칼슘$(37.1{\sim}38.6%)$및 인$(18.0{\sim}18.5%)$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들의 함량은 대구뼈(38.1% 및 18.5%) 및 명태뼈(38.6%, 18.3%)가 다른 어류뼈는 물론이고, 가축뼈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콜라겐 또는 젤라틴 추출 소재로는 민태뼈가, 칼슘 추출소재로는 대구뼈 및 명태뼈가 적절 하였다.

  • PDF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1.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1.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the Bamboo and Plastic Pots)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7
    • /
    • 1987
  • 현재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의 붕장어 유입성능과 구성재료에 따른 차이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조실험을 통해 이들 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붕장어의 색이행동은 주로 후각에 의존하며, 시각감도는 매우 나쁜 것 같았다. 2)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다. 3) 붕장어의 입롱은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나고, 입롱이 일어나면 통발에의 접촉수가 증가하며,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4) 통발에 접근한 붕장어의 대부분은 미끼가 있는 부분으로 향하여 그곳의 통발외벽을 계속적으로 쪼았고, 입구를 접촉하는 것은 매우 우연적이었다. 5) 붕장어가 통발의 입구를 접촉했을 때는 강한 주촉성을 보이지 않고, 입구를 접촉한 총 회수 중에서 $40\%$ 정도는 입롱을 시도하지 않은 채 도피하였다. 6) 붕장어가 입롱을 시도한 총 회수 중에서 $20\%$는 완전 입롱하였고 나머지 $80\%$는 입롱시도후 도피하였는데, 이러한 불리한 입롱은 주로 입구깔때기의 길이가 긴 것에 기인하는 것 같았다. 7) 통발을 수조바닥에 수평으로 놓은 경우는 미끼의 위치가 통발의 입구쪽에서 꽁무니쪽으로 갈수록 붕장어 유입성능이 나빴다. 8) 통발속에 미끼를 방치하고 통발의 꽁무니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통발을 수평으로 하여 미끼를 입구쪽에 고정한 경우와 붕장어 유입성능에 대차가 없었으나, 통발의 입구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유입성능이 매우 나빴다. 9)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을 비교하면, 붕장어의 입롱이 플라스틱통발에서 수분 정도 늦어질 뿐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 PDF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수산부산물의 검색 (Screening of by-products derived from marine food processing for extraction of DHA-contained lipid)

  • 김정균;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15-219
    • /
    • 1997
  • 수산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서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붕장어, 칼치의 내장 및 두부, 꽁치,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의 내장 등과 같은 부산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산부산물의 건물당 지질함량은 $40.5{\sim}48.0%$이었고,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이 $92.1{\sim}99.0%$로 추출 소채에 관계없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50.0{\sim}69.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유리지방산이 $7.8{\sim}20.3%$, 스테롤류가 $3.5{\sim}13.9%$, 탄화수소가 $4.2{\sim}10.2%$ 및 디글리세리드가 $3.5{\sim}9.3%$를 차지하였으며, 모노글리세리드는 2% 내외 이었다. 수산부산물에서 추출한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중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각각 41.0% 및 38.2%로 어류 부산물유의 $27.7{\sim}33.3%$에 비하여 높았다. DHA조성비는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21.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포클랜드산 오징어 내장유(16.3%), 갈치 부산물유(13.9%), 붕장어 부산물유(11.7%) 및 꽁치 부산물유(10.7%) 등의 순이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지질 추출 소재인 부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16:0,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다.

  • PDF

수식 어류껍질 젤라틴 유화물에 의한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surimi gel from fish with a red muscle by emulsion curd containing a modified fish skin gelatin)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61-367
    • /
    • 1996
  • 어류껍질 및 적색육어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succinylation 처리한 붕장어껍질 젤라틴으로부터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이 있는 유화물의 제조조건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유화물의 안정성은 20% 수식 젤라틴용액을 예비교반(5,000 rpm, 1분)하고 이어서 교반(15,000 rpm, 5분)하는 동안 젤라틴에 대하여 15배의 대두유를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았고, 이때 정치, 진동 및 저온저장에 의한 안정성은 각각 95%, 90% 및 95%이었다. 수식 붕장어껍질 젤라틴을 유화제로 한 유화물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함량은 각각 18%, 5%, 76% 및 0.5%이었고 관능적 색조는 백색을 나타내었으며, 과산화물값 및 지방산조성은 대두유와 유사하였다. 고등어 고기풀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 적색육어류 연제품은 유화물 무첨가 제품에 비하여 과산화물값, 갈변도 등과 같은 유지특가는 차이가 없었으며, 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적 조직감은 개선되었으며, 휘발성염기질소, 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 등은 상당히 낮았다.

  • PDF

국내시판(國內市販) 수산건제품(水産乾製品)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Sea Food Products on Korean Market)

  • 이응호;오광수;안창범;김진수;지승길;김우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3-89
    • /
    • 1987
  • The crude lipid contents of dried sea food products varied remarkably from 1.2 to 29.9% for dried fish products, from 2.8 to 12.3% for dried mollusk ones, and from 0.1 to 2.3% for dried seaweed on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fish products, the saturated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for dried anchovies, hair tail, Kstsuobushi, the monoeno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one for dried yellow corvenia, flat head, common carp, sea eel and conger eel. And the polyeno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ne for dried cod. Allaska pollack, flounder, sole fish, ray, smelt and sardine. The major fatty acids of these dried fish products were 16:0, 16:1, 18:0, 18:1, 20:5 and 22:6.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mollusk products were mainly consisted of polyenoic acid, and followed by saturated acid, monoenoic aced. The major fatty acids of these products were similiar to those of dried fish products. And in case of dried seaweed products, saturated acid such as 14:0, 16:0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while polyenoic acid was abundant one in dried laver and sea mustard. The main fatty acids of dried seaweed products were 14:0, 16:0, 18:1, 20:1, 20:4, and 20:5. Judging from the results, dried sea food products were abundant of the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in spite of the drying processing and storage.

한.일 FTA체결에 따른 수산부문 영향 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Korea-Japan FTA on Fisheries Sector)

  • 이광남;박명섭
    • 무역상무연구
    • /
    • 제22권
    • /
    • pp.227-254
    • /
    • 2004
  •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effects on fisheries sector following Korea-Japan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results are found as follows.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RCA(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shows that Korea is higher than Japan in most species items. And the calculation of TSI(Trade Specialization Index) finds that Korea is export specialized while Japan import specialized, showing that Korean fisheries sector is internationally more competitive than Japan. The tariffs on the marine products should be completely scrapped between Korea and Japan, export of marine products to Japan increases a mere 2%, while import from Japan 13.5%. In terms of value, annual export to Japan stands at 20,135thousand USD, while import from Japan at 12,137thousands USD, resulting in trade balance improvement of 8,000thousand USD in total. The tariff measures above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ed industry of marine products such as Oyster, Conger eel, Ark shells and Laver, but those involved in fisheries of Alaska pollack, Hair tail, Sea-bream(live fish), Red horsehead(frozen), Saury are expected to be negatively affected. Given the results of analysis above, the effects of FTA on the fisheries would be advantageous to Korea as a whole, but at the same time,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sustained differs by fishery type and marine products. To that effect, negotiation strategies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made, taking the results into account.

  • PDF

통발용 인공미끼의 개발 (The Improved Artificial Trap Baits)

  • 염말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2호
    • /
    • pp.185-190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rtificial trap baits being able to replace the natural anchovy or sardine baits. The fishing trials for evaluating the fishing efficiencies of the artificial baits were conducted with commercial traps at coastal areas near Tongyoung, southern Korea. The preferable artificial baits which were made of minced anchovy, sardine, mackerel, or fish surplus products mixed with wheat flour into dry or wet pelleted or crumbled types, were showed some merits as the following. \circled1 Fishing efficiencies of the artificial baits were same or little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natural bait anchovy; \circled2 bait cost were same or little lower level; \circled3 dry artificial baits stocked in the room condition showed good fishing efficiencies; \circled4 making of artificial baits were very simple; \circled5 there were no harm to the fish and little pollution to the environment; \circled6 the releasing rate of attractants in the artificial or natural bait showed similar patterns. The artificial baits using the fish by-products which were vacuum freeze-drying extract of boiled anchovy or tunas extract, showed lower catches in the conger eel, Coner miriaster, but similar catches in the crabs, mainly Charybdis japonica, to the those of natural anchovy bait.

  • PDF

트롤 어선에서 어획후 투기된 어류의 생존율 (The survival rate of fish discarded from trawler)

  • 안희춘;양용수;박창두;조삼광;박해훈;정의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2호
    • /
    • pp.87-91
    • /
    • 2003
  • 끌그물로부터 탈출한 소형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관리형 어구어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서, 트롤망에서 양망 후 투기되는 어류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이 한국 남해안 및 제주도 근해에서 이루어졌다. 트롤망의 끝자루를 탈출한 소형어류를 선내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수용하여 시간대별로 생존지속 시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롤 어구로부터 어획된 어류를 선상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넣어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살오징어, 한치, 갈치, 달고기, 삼치, 참조기 및 눈볼대등 대부분의 어종은 양망후 즉시 사망하였다. 2 두툽상어, 붕장, 가오리, 말쥐치, 부채새우 등은 수조내에서 장시간 생존하였으므로 이들 어종은 투기된 후에 생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3.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등가시치는 수조에 수용된지 6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97% 의 두툽상어와 72% 의 붕장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4. 끝자루를 빠져나온 가오리는 수조에 수용된지 60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으나, 25% 의 말쥐치와 문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5. 홍감팽의 경우 탈출장치와 끝자루를 빠져나온 개체간의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끝자루를 빠져나온 홍감팽은 72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것의 8.3%는 72시간 이상 생존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개체의 생존율이 다소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6. 그러나 부채새우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끝자루를 탈출한 새우의 생존율이 75%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부채새우의 생존율 33%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탈출후의 어종별 생존 특성에 대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어업에 있어서 침지 시간과 어획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ak Time and Catch numbers of Plastic Pot for Sea-eel, Conger myriaster)

  • 정순범;이주희;김형석;권병국;아동근;조영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3호
    • /
    • pp.202-208
    • /
    • 2002
  • 붕장어 통발 어업에 있어서 침지 시간과 어획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안 통발 조업선을 이용하여 2002년 3월 15일부터 2002년 4윌 7일 사이에 실시한 시험 조업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침지 시간 3시간, 6시간 그리고 12시간에서 평균 어획은 각각 44.6마리/60개, 60.0마리/60개 및 81.3마리/60개였고, CPUE(catch number 10pots·hour)는 3시간, 6시간 그리고 12시간의 침지 시간에서 각각 2.5마리, 1.7마리 및 1.1마리로 나타났다. 2. 침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존 미수의 변화는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서 11.3%, 48시간과 72시간 사이에서 3.3% 로 침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잔존 미수의 변화를은 감소했다. 3. 12시간까지의 침지 시간에서 혼획률은 매우 낮았다(1.5-3%). 그러나 24시간 이상의 긴 침지 시간에서는 침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혼획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장어에 대한 미끼의 유인 효과는 통발의 설치 후부터 곧바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미끼의 상태에 따라 어획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에 따른 다소비 어류의 총수은 오염 및 위해 평가 (Mercury Contamination and Risk Evaluation in Commonly Consumed Fishes as Affected by Habitat)

  • 조미라;김기현;조문래;권지영;손광태;이희정;김지회;이태식;강상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21-63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total mercury in 17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es and assessed the risk to human health from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PTWI% as affected by migratory characterization, such as migration and vagility.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mercury in these 17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es suggest that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mercury in 10 species of migratory fishes (largehead hairtail, chub mackerel, Pacific saury, skipjack tuna, Pacific cod, anchovy, Alaska pollack, brown croaker, Japanese Spanish mackerel, yellow croaker and Pacific herring) were low compared to those in 7 species of demersal fishes (red stingray, brown sole, bastard halibut, conger eel, blackmouth angler, rockfish and filefish). Based on the mean concentrations, the PTWI% of total mercury among commonly consumed migratory fishes was 3.39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mmonly consumed demersal fishes (2.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