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 Prob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플러시 압력공을 사용한 대기자료 측정장치의 교정 및 비행시험 결과 (Calibration and Flight Test Results of Air Data Sensing System using Flush Pressure Ports)

  • 이창호;박영민;장병희;이융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531-538
    • /
    • 2017
  • 비행속력 및 받음각과 옆미끄럼각을 측정할 수 있는 플러시 대기자료측정장치를 소형의 무인항공기를 대상으로 설계/제작하였다. 동체 노즈콘 표면에 4개 압력 측정점과 5개 압력 측정점의 2가지 타입으로 플러시 압력공들을 만들었다. 플러시 압력공의 교정 압력 데이터는 전기체를 전산유체해석 코드로 계산하여 구축하였다. 교정압력 데이터로부터 받음각, 옆미끄럼각, 전압계수, 정압계수는 4차 다항식으로 표현하고, 최소자승법으로 교정계수 행렬을 구하였다. 비행시험 결과 4개 플러시 압력공 및 5개 플러시 압력공을 이용하여 예측된 비행속력, 받음각과 옆미끄럼각은 비교를 위해 장착한 5-압력공 프로브로 예측된 것과 잘 일치하였으며, 특히 4개의 압력공으로 5개 압력공과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Gun식 가스버너의 난류유동장 발달에 미치는 슬릿과 스월베인의 영향 (The Effect of Slits and Swirl Vanes on the Development of Turbulent Flow Fields in Gun-Type Gas Burner)

  • 김장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9호
    • /
    • pp.1299-1308
    • /
    • 2003
  • This paper is stud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its and swirl vanes on the development of turbulent flow fields in gun-type gas burner with a cone type baffle plate because this gas burner is generally composed of eight slits and swirl vanes. All of turbul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mean velocities were measured in the horizontal plane and cross section by using X-type hot-wire probe from hot-wire anemometer system. This experiment is carried out at flow rate 450 l/min in the test section of subsonic wind tunnel. Slits cause the fast jets, and then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low is not adequately spread to radial direction and has long flow length and very small flow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central part. On the contrary, swirl vanes does not have long enough for adequate flow length to downstream because the rotational flow diffuses remarkably to radial direction. However, the suitable arrangement between slits and swirl vanes causes effective flow width and flow length, and then it promotes fast flow mixing over the entire region including central part to increase turbulence more largely and effectively. Therefore, it is thought as a very desirable design method in gun-type gas burner to locate slits on the outside of swirl vanes.

실트의 비배수 전단강도 및 밀도와 전단파속도와의 상관관계 (Correlating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Density of Silt with Shear Wave Velocity)

  • 오상훈;박동선;정재우;박철수;목영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79-87
    • /
    • 2008
  • 최근에 벤더 엘리먼트를 이용한 현장탄성파 프로브(probe, MudFork로 명명됨)가 개발되어 정밀하고 수월하게 연약지반의 전단파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탄성파시험의 용도를 확장하고자 강성도 측정과 함께 전단강도와 밀도를 추정할 수 있는 상관관계를 시도하였다. 인천의 한 연약지반 현장에서 콘시험과 MudFork를 사용하여 현장탄성파시험을 수행하고,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에서 삼축압축시험과 병행하여 공시체의 전단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연약지반의 전단강도와 전 단파속도의 상관관계와, 밀도와 전 단파속도의 상관관계를 정립하였다.

오염지반의 전기비저항치와 토성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ils)

  • 윤길림;이영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2호
    • /
    • pp.79-92
    • /
    • 1998
  • 실내모형실험으로 전기비저항치와 오염된 흙의 물리적 성질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요소분석을 수행하였다. 세가지의 모래질 구에 산업폐기물매립지의 침출수를 첨가하여 모형실험에 이용했다. 혼합토의 전기비저항치는 비저항콘을 모사한 프로브를 제작하여 측정했다. 실내모형실험에서는 흙의 함수비, 간극비. 단위중량, 함수비 및 침출수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혼합토의 전기비 저항치를 계측했다. 실험결과는 흙의 종류 및 단위중량보다는 흙의 함수비, 간극수의 전도성이 전기비저항치에 큰 영향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끝틈새가 선회각이 큰 터빈 동익 익렬 후류영역에서의 3차원유동 및 압력손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p Clearance Height on the Three-Dimensional Flow and Aerodynamic Loss in the Wake Region of a High-Turning Turbine Rotor Cascade)

  • 권현구;박진재;이상우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36-42
    • /
    • 2004
  • The effect of tip clearance height on the three-dimensional flow and aerodynamic loss in the wake region of a high-turning turbine rotor cascade has been investigated with a miniature cone-type five-hole probe. Distributions of velocity magnitude, secondary velocity vectors, and total-pressure loss coefficient are presented for three tip gap-to-span ratios of h/s = 0.0, 0.5 and 1.0 percent. The result shows that with the increment of h/s, tip leakage vortex tends to be intensified and aerodynamic loss due to the leakage vortex is increased as well. In the case of h/s = 1.0 percent, aerodynamic loss in the tip-leakage flow region is found dominant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passage vortex region. With increasing h/s, mass-averaged secondary loss coefficient has a greater portion in the mass-averaged total-pressure loss coefficient.

한국인의 상악 전치부 순측골 두께와 치은 생체형(gingival biotype)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facial bone thickness and gingival biotype of the anterior maxilla in Koreans)

  • 박지훈;김은강;김형민;주지영;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69-177
    • /
    • 2015
  • 목적: 한국인의 상악 전치부 순측골 두께와 치은 생체형(gingival biotype)의 분포 및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한 57명의 환자, 335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백악법랑경계로부터 4 mm, 6 mm, 8 mm 지점의 순측골 두께를 측정하였고, 치은 생체형은 치주탐침자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대상치아에서 1 mm 이하의 얇은 순측골(4 mm 지점 87%, 6 mm 지점 88%, 8 mm 지점 90%)이 우세하게 관찰되었고, 전체 대상자의 21%에서 얇은 치은 생체형이 확인되었다. 치은 생체형과 순측골 두께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성공적인 전치부 심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서는 치은 생체형 검사 같은 임상적 검사 이외에 순측골 평가를 위한 추가적 CBCT 등의 방사선 검사가 필수적이다.

한국인 성인의 상악 전치부 치조골 형태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evaluation of alveolar bone profile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young adult)

  • 서효석;정진형;임성빈;홍기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461-471
    • /
    • 2006
  • In order to achieve a satisfactory esthetic result of periodontal surgery or implant in maxillary anterior area, periodontists must be aware of normal alveolar bone ana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alveolar bone morphology to tooth shape and form. 78(mean age : 25 yrs) periodontally health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ne lateral incisor were selected to study. With minimal local anesthesia, gutta-percha cone inserted to labial gingival sulcus of selected teeth just after bone sounding with periodontal probe. Metal ball (4mm diameter) attached to palatal fossa of central incisor. Then, periapical radiograph was taken according to long cone paralleling technique. After film scan, labial alveolar bone profile reproduced along interproximal bone and apical ends of gutta-percha cones on computer screen. By utilizing computer program, the distance from height of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in central incisor-central incisor and central incisor-lateral incisor area was measured and converted to real distance by using vertical length of metal ball on film. After measuring crown length & width of central incisor, the 10 individuals ranked lowest GW/L ratio (crown width/length ratio) and the 10 ranked highest were selected as having a long-narrow(group N), or a short-wide(group W) form of the central incisors. Means of the distance from height of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of group N, W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y means of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distance from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was $3.5{\pm}0.7mm$ between two central incisor, and $2.8{\pm}0.6mm$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2. Mean GW/L ratio of group N was 0.57, and group W was 0.8. Mean distance from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of group N was higher than group W in both measured area(measurements of group N, W were $3.9{\pm0.2mm$ and $3.5{\pm}0.2mm$ between two central incisor, $3.0{\pm}0.2mm$ and $2.8{\pm}0.2mm$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groups were compared.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there was a tendency that subjects with long-narrow teeth have more scalloped alveolar bone profile than subjects with short-wide teeth in upper anterior area,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0.4 MW 급 분절형 아크 히터를 이용한 초음속 플라즈마 풍동 특성 실험 (Experimental Analysis of a Supersonic Plasma Wind Tunnel Using a Segmented Arc Heater with the Power Level of 0.4 MW)

  • 김민호;이미연;김정수;최채홍;서준호;문세연;홍봉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700-707
    • /
    • 2013
  • 0.4 MW 급 분절형 아크 히터를 장착한 전북대학교 플라즈마 풍동의 초음속 유동 특성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분절형 아크 히터와 초음속 노즐은 16.3 g/s 의 질량유량에 대해 전극 당 150 A, 전체 300 A의 입력전류 조건으로 운전되었으며, 운전 결과 350 kW의 입력전력과 약 51.4 %의 열효율이 계측되었다. 이 때, 아크 히터 내 고엔탈피 플라즈마의 내부압력은 약 4 bar 로 측정되었으며, 이를 초음속 노즐을 통해 압력 45 mbar로 유지되는 진공쳄버 내로 팽창시킴으로써, 전체 엔탈피 11 MJ/kg을 가진 초음속 플라즈마 유동을 얻을 수 있었다. 전체 엔탈피 측정과 함께, 생성된 초음속 플라즈마 유동에 대해 원뿔각 $30^{\circ}$를 가진 원뿔 탐침을 삽입하여 경사 충격파와 이루는 각을 측정하였으며, 이 측정값들로부터, 발생된 초음속 플라즈마의 온도와 마하 수는 각각 약 2,950 K 및 약 3.7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다.

시추공 전기비저항 기법을 활용한 현장타설말뚝의 슬라임층 두께 평가 (Estimation of Slime Thickness of Bored Piles by Using Borehole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 전옥현;이종섭;박민철;배성규;윤형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51-60
    • /
    • 2013
  • 말뚝 시공 시 선단 부분에 쌓이는 슬라임은 현장타설말뚝의 선단지지력을 감소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슬라임의 존재 유무는 주로 다짐추 혹은 철근을 낙하시켜 판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은 주관적인 판단결과로 신뢰성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탐사기법 중 하나인 전기비저항 특성을 활용하여 슬라임층의 존재 여부와 두께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슬라임층의 전기비저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온도보상형 전기비저항 프로브(TRP)를 활용하였으며, TRP의 형상은 원뿔형태로 직경은 표준콘 관입실험 장비와 동일하게 35.7mm이다. 현장타설말뚝 공법 중 P.R.D(Percusion Rotary Drill)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현장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기비저항의 결과를 이용하여 슬라임층의 두께를 평가하였다. 신뢰성 높은 분석을 도모하고자 현장 슬라임층을 이용하여 케이싱 효과, 시간경과 그리고 상대밀도에 따른 실내 실험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슬라임층 두께를 산정하는 방법이 합리적임을 보여주며, 추후 다양한 지층과 말뚝 시공 공법에 적용성이 기대된다.

Assessment of dehydrothermally 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round peri-implant dehiscence defects: a randomized single-blinded clinical trial

  • Lee, Jae-Hong;Lee, Jung-Seok;Baek, Won-Sun;Lim, Hyun-Chang;Cha, Jae-Kook;Choi, Seong-Ho;Jung, Ui-W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6호
    • /
    • pp.229-237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feasibility of using dehydrothermally 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DCM) for bone regeneration around peri-implant dehiscence defects, and compare it with non-cross-linked native collagen membrane (NCM). Methods: Dehiscence defects were investigated in twenty-eight patients. Defect width and height were measured by periodontal probe immediately following implant placement (baseline) and 16 weeks afterward. Membrane manipulation and maintenance were clinically assessed by means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at baseline. Changes in horizontal thickness at 1 mm, 2 mm, and 3 mm below the top of the implant platform and the average bone density were assessed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t 16 weeks. Degradation of membrane was histologically observed in the soft tissue around the implant prior to re-entry surgery. Results: Five defect sites (two sites in the NCM group and three sites in the DCM group) showed soft-tissue dehiscence defects and membrane exposure during the early healing period, but there were no symptoms or signs of severe complications during the experimental postoperative period. Significant clinic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s were found in all parameters with both types of collagen membrane. Partially resorbed membrane leaflets were only observed histologically in the DCM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pared with NCM, DCM has a similar clinical expediency and possesses more stable maintenance properties. Therefore, it could be used effectively in guided bone regeneration around dehiscence-type de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