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based Information Retrieval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4초

스토리 기반의 정보 검색 연구 (Story-based Information Retrieval)

  • 유은순;박승보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81-96
    • /
    • 2013
  • 웹의 발전과 콘텐츠 산업의 팽창으로 비디오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정보 검색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동안 비디오 데이터의 정보 검색과 브라우징을 위해 비디오의 프레임(frame)이나 숏(shot)으로부터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모양(shape)과 같은 시각적 특징(features)들을 추출하여 비디오의 내용을 표현하고 유사도를 측정하는 내용 기반(content-based)방식의 비디오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영화는 하위 레벨의 시청각적 정보와 상위 레벨의 스토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저차원의 시각적 특징을 통해 내용을 표현하는 내용 기반 분석을 영화에 적용할 경우 내용 기반 분석과 인간이 인지하는 영화의 내용 사이에는 의미적 격차(semantic gap)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영화의 스토리는 시간의 진행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하고, 관점에 따라 주관적 해석이 가능한 고차원의 의미정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리 차원의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스토리를 모델링하는 정형화된 모형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개념을 활용한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를 표현하는 이 방법들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등장인물들의 관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스토리 진행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관계 변화를 역동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둘째, 등장인물의 정체성과 심리상태를 보여주는 감정(emotion)과 같은 심층적 정보를 간과하고 있다. 셋째, 등장인물 이외에 스토리를 구성하는 사건과 배경에 대한 정보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의 한계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해 문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사 구조에 근거하여 스토리 모델링에 필요한 요소들을 인물, 배경, 사건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개념정보를 포함한 포괄적 DTD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cept Information Based Universal DTD Generator)

  • 최인석;공용해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7호
    • /
    • pp.831-836
    • /
    • 2002
  • 인터넷상에는 다양한 정보 자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XML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XML은 정보의 구조를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응용영역을 표현하는 문서들은 상호 이질적이므로 문서들의 특성에 맞는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만일, 특정 정보를 표현하는 XML문서에 적용되는 DTD가 개념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문서의 구조에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호 이질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정보가 포함된 포괄적 DTD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DTD생성기를 개발하였다. 또한 응용영역을 개념화하여 포괄적 DTD를 생성하는데 사용하였다. 포괄적 DTD는 개념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 응용영역 표현하는 다른 구조의 XML 문서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문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유연한 응용프로그램의 접근이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영역 지식기반시스템에서의 지식표현 (Knowledge Representation in Knowledge-based Syste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 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5-57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지식기반시스템을 문헌정보학적 입장에서 조명하고, 지식기반시스템의 핵심요소가 되는 지식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였다. 또한 문헌정보학 영역에서의 인공지능적 지식표현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지식표현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지능형 정보검색시스템과 문헌정보학 영역의 전문가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지식의 표현사례를 예시하였다.

  • PDF

WordNet기반의 형식개념분석기법을 이용한 사용자태그 분류체계의 구축 (Construction of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User Tags using WordNet-based Formal Concept Analysis)

  • 황석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49-16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어휘정보를 체계화한 워드넷(WordNet)을 토대로 형식개념분석기법(Formal Concept Analysis)을 사용하여 폭소노미 사용자들의 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태그의 분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기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TagLighter)의 개발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ibsonomy.org의 사용자 태그데이터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결과를 기술하였다. TagLighter에 의해 구축된 사용자태그 분류계층구조는 사용자태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를 제공하기 때문에, 폭소노미기반 시스템에서의 정보검색과 데이터 분석에 유용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폭소노미기반의 웹서비스와 소셀네트워크시스템, 시맨틱웹 어플리케이션 등을 대상으로 하는 웹데이터 마이닝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A Reliable Secure Storage Cloud and Data Migration Based on Erasure Code

  • Mugisha, Emmy;Zhang, Gongxu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호
    • /
    • pp.436-453
    • /
    • 2018
  • Storage cloud scheme, pushing data to the storage cloud poses much attention regarding data confidentiality. With encryption concept, data accessibility is limited because of encrypted data. To secure storage system with high access power is complicated due to dispersed storag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rdware-based security scheme such that a secure dispersed storage system using erasure code is articulated. We designed a hardware-based security scheme with data encoding operations and migration capabilities. Using TPM (Trusted Platform Module), the data integrity and security is evaluated and achieved.

연관색인법(聯關索引法)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Relational indexing: theory and practice)

  • 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42
    • /
    • 1984
  • 정보(情報)의 축적(蓄積)과 검색(檢索)을 위한 개념(槪念) 조직과정(組織過程)에서는 개념(槪念) 뿐만 아니라 이들 개념간(槪念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명확히 표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간(人間)의 사고과정(思考科程)에 기초해야 한다. 연관색인법(聯關索引法)에서는 9개의 연관기호(聯關記號)를 통하여 문신 중에서 각 개념간의 관계표현이 가능하며 이들 개념을 순열(順列)시키므로써 주제색인(主題索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색인(索引)시스템에 비해 검색효율의 개선(改善)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Building Intelligent User Interface Agent for Semantically Reformulating User Query in Medicine

  • Yang, Jung-Jin;Lim, Chae-Myung;Chu, Sung-Joon;Lee, Dong-Hoon;Park, Duck-Whan;Park, Tae-Yong
    • 지능정보연구
    • /
    • 제9권2호
    • /
    • pp.101-119
    • /
    • 2003
  • Achieving the beneficiary goal of recent discovery in human genome project still needs a way to retrieve and analyze the exponentially expanding bio-related information. Research on bio-related fields naturally applies knowledge discovered to the current problem and make inferences to extract new information where shared concepts and data containing information need to be defined and used in a coherent way. In such a professional domain, while the need to help users reduce their work and to improve search results has been emerged, methods for systematic retrieval and adequate exchange of relevant information are still in their infancy. The design of our system aims at improv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retrieval in a professional domain by utilizing both corpus-based and concept-based ontology. Meta-rules of helping users to make an adequate query are formed into an ontology in the domain. The integration of those knowledge permits the system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in a more semantic and systematic fashion. This work mainly describes the query models with details of GUI and a secondary query generation of the system.

  • PDF

객체지향 기법을 이용한 시소러스 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Thesauru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Object-Oriented Technique)

  • 박계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18
    • /
    • 1996
  • 시소러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단어의 입력, 수정, 삭제 및 단어간 관계생성 등의 동적인 변하에 신속 정확히 대용할 수 있도록 시소러스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소러스 관리 시스템은 객체지향적 구조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으며, GUI화면을 제공하여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시켰다. 또한 시소러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영문 용어의 다양한 한글표기로 인한 정보검색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의어의 확장에 역점을 두었다.

  • PDF

위키피디아 링크를 이용한 랭크 기반 개념 계층구조의 자동 구축 (Automated Development of Rank-Based Concept Hierarchical Structures using Wikipedia Links)

  • 이가희;김한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76
    • /
    • 2015
  • 흔히 대용량 텍스트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인덱싱 데이터 구조로서 계층 개념 트리가 활용된다. 본 논문은 개념 계층구조를 자동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를 이용한 일반성 랭크 기반 기법을 제안한다. 이것의 목적은 위키피디아 문서를 하나의 개념으로 정의하여 이들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키피디아 문서들 간의 링크 개수를 주요 인자로 하여 개념 일반성을 가늠하는 랭킹함수를 고안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개념 간 확률적 포함관계를 산출함으로써 안정적인 개념 간 계층 구조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계층적 관계를 담은 개념쌍은 DAG 구조로 시각화 된다. Open Directory Project 계층구조를 사용한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준 기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며 고품질 계층 관계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상문서를 개념을 활용한자기 주도적 학습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pporting System of a Self-Directed Learning using Virtual Document Concept)

  • 노진순;이용배;맹성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34-245
    • /
    • 2002
  • World-Wide Web으로 인하여 인터넷상의 다양하고 고품질의 자료들을 교육용으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료들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좀 더 정제되고,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 제공을 위해서는 웹 상에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디지털 문서들을 교육 목적에 맞게 새로운 순서, 즉 문맥화 된 순서를 가진 자료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고, 이와 같이 재구성된 자료들은 문서간의 부드러운 내용 전개를 위해서는 부가적인 설명이나 기존 문서에 빠져 있는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의 수많은 리소스들을 재가공하여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상문서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저작된 가상문서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과 목적에 맞는 문서를 검색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하려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