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ssive Creep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고감쇠 고무받침의 장기 크리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Long-term Creep characteristic of High Damping Rubber Bearings)

  • 오주;박진영;박건록;김씨동;박성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3-60
    • /
    • 2009
  • 지진격리 구조물은 하부구조에서 상부구조로 전달되는 지진력의 현저한 감소가 요구되는 경우 고감쇠 고무받침(HDRB)과 같은 지진격리받침을 사용하는 구조물로서 내진설계의 도입 이후부터 많이 설계, 시공되고 있다. 적층고무받침은 지진격리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부재이다. 적층형 고무받침의 기본 특성은 압축시험, 압축전단시험, 크리프시험 등을 통하여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축 응력 7.5MPa, 8.37MPa인 지진격리받침(고감쇠 고무받침)을 실물크기로 제작하여 실험실에서 1000시간동안 크리프 시험을 실시하였다. 고감쇠 고무받침과 같은 지진격리받침을 실제 교량환경 상태에서 장기간 압축 크리프 시험한 결과 1000시간 후 최대크리프 변형은 전체 고무두께의 $0.3{\sim}1.92%$로 변형하였다.

고강도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장기변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Long-Term Deformations of High-Strength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윤의식;박승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A호
    • /
    • pp.401-40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강섬유보강 콘크리트(HSFRC)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역학적 특성 및 장기변형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탄성계수,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미치는 강섬유 혼입의 영향을 검토하고, 휨파괴인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HSFRC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강섬유의 혼입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았고, 탄성계수는 섬유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장강도, 휨강도 및 휨인성에 미치는 섬유혼입률($V_f$) 및 섬유형상비($l_f/d_f$)의 영향은 대단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V_f$$l_f/d_f$의 증가와 함께 극한하중에 상응하는 처짐량이 증가하고, 강섬유의 균열구속성능에 의해 하중-처짐곡선의 하강곡선이 완만하게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미치는 섬유혼입률($V_f$)의 영향은 대단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하면 크리프 변형에 비해 건조수축 변형의 저감에 더욱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완충재 장기처짐과 ISO 20392 대응 연구 (Correspondence Research of Long-term Compressive Creep of Resilient Materials and ISO 20392)

  • 김경우;연준오;양관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1250-1256
    • /
    • 2012
  • Resilient materials are used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in apartment buildings. Since an on-dol layer is installed in the resilient materials' upper part, thickness deformation can be occur in the resilient material. It is necessary to check a thickness deformation grad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research, we measured thickness deformation over 400th day to the resilient materials(EPP, EPS, EVA) which is used in Korea.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ind of measurement test specimens, it became clear that thickness was decreases as to time increased. The thickness deformation grade of ten years after was calculated based on the thickness measurement result. Compare with the calculated result and result of ISO 20392. Larger thickness deformation occurred i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se research findings compare with the ISO standard.

교량 지진격리받침의 극한특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ismic Isolators under Extreme Conditions)

  • 곽임종;윤혜진;김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105-108
    • /
    • 2008
  • 교량의 내진설계에 적용되는 지진격리받침은 초창기 외국제품 수입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국내업체의 자체 생산도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지만 지진격리받침의 극한적 조건에서의 특성에 대한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진격리받침 중에서도 많은 적용 사례가 있는 적층고무형태를 대상으로 하여 지진격리받침이 전단수평력을 받아 파괴에 이르는 전단파괴, 지진격리받침의 장기적 특성변화를 유발하는 노화, 크리프가 지진격리받침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한 실제적인 고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층고무형 지진격리받침을 실제로 제작하였고 설계수직하중을 재하한 상태에서 전단파괴에 이르도록 전단변위를 가하였다. 그리고 고무재료의 노화에 의한 특성과 영향을 분석하고자 노화촉진을 위한 고온 환경에 지진격리받침을 일정시간 노출시킨 뒤 노출 이전에 측정한 특성에 비해 얼마나 변화하였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고정된 수직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고무재료의 크리프 발생으로 지진격리받침의 높이가 영구적으로 변화 할 수 있는데 받침의 수명을 고려하여 60년 후의 크리프량을 추정하였다.

  • PDF

갈륨합금과 고동 아말감 합금의 물리적 성질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BETWEEN GALLIUM ALLOY AND HIGH COPPER AMALGAM ALLOYS)

  • 김현철;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278-28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between high copper amalgam and gallium restorative material. In this study, the specimens for the 4 experimatal groups (Valiant, Valiant PhD, Gallium Alloy GF II. Gallium Alloy GF II triturated with some addition of alcohol) were prepared in the manner of which stated in ADA specification No.1 for amalgam alloy. And then, measured and compared the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creep, and dimensional change during hardening of each sam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Valiant-lathe cut type high copper amalgam-had the highest value of strength(p<0.05), and the Valiant PhD-admixed type high copper amalgam-showed the higher value of strength than the Gallium Alloy GF II(p<0.05) bu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allium Alloy GF II triturated with some addition of alcohol(p>0.05). 2. In the creep. the Valiant Ph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creep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allium Alloy GF II and Valiant(p>0.05). 3. In the dimensional change during hardening, no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0 level.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allium Alloy GF II and the same material which was triturated with some addition of alcohol(p>0.05).

  • PDF

압축강도에 따른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열변형 특성 (Thermal Strain Propertie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ccording to the Compressive Strength)

  • 윤민호;김규용;최경철;황의철;이보경;서원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25
    • /
    • 2016
  • In this study, the thermal strain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of 80, 130, 180MPa were measured under 25% of compressive strength loading condition. As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decline of the elastic modulus and shrinkage strain of high strength concrete become grater at the elevated temperatures.

  • PDF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ime-Dependent Deformation of the Alkali Activated Slag Concrete)

  • 이영준;권은희;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57-464
    • /
    • 2015
  •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더불어 건설업계, 특히 시멘트 산업에서 알칼리 활성화제를 첨가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 연구결과로 알칼리 활성 슬래그 모르타르의 고강도화 가능성이 밝혀지면서 초고층 구조물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초고층 구조물의 부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시간의 존 변형 거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PC와 AAS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크리프와 건조수축을 측정하고 도출된 결과값을 ACI 209R-92, CEB-FIP(1990)의 예측모델을 이용한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시간의존 변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열분석 및 SEM촬영을 통해 변형 발생 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저열 시멘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거동 평가 (Evaluation of Shrinkage and Creep Behavior of Low-Heat Cement Concrete)

  • 문재성;양근혁;김시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5-311
    • /
    • 2016
  • 개발된 저열 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거동 특성인 비구속 건조수축과 크리프가 양생온도를 주요 변수로 측정하였다. 저열 콘크리트의 목표 압축강도인 42MPa를 고려하여 양생온도 5, 20, $40^{\circ}C$에서 물-결합재비는 각각 27.5, 30, 32.5%를 선택하였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은 양생온도가 낮을수록 모세관 수 및 겔 공극수의 증발지연으로 인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크리프 변형률은 전이 온도 크리프의 발생으로 인하여 초기 양생온도가 낮은 실험체에서 높았다.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KCI) 예측모델은 ACI 209 예측모델에 비해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지만 개발된 저열 시멘트에 대한 보정계수의 제안이 필요하였다.

소일시멘트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및 시간의존 거동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ime Dependent Behavior of Soil-Cement)

  • 김종렬;강희복;강화영;김도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87-96
    • /
    • 2004
  • 소일시멘트는 자연 상태의 흙을 주원료로 시멘트, 혼합수를 배합하여 일반포장용 콘크리트에 준하는 강도를 발휘하는 특수콘크리트로서 최근 도로포장뿐만 아니라 연악지반 개량 동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강토 및 붕적토에 고화제를 첨가하여 일축압축강도의 특성 및 시간의존 거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축압축강도는 시멘트 함량의 증가와 양생기간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강도 증가를 타나내었으며 미 세립분이 많을 수 록 강도가 감소하였으며 X-선 회절 분석 결과 소일시멘트에서 반응생성물인 Vermiculite가 발견되었다 동적반복재하크리프 시험 결과 히스테리시스 곡선으로부터 재료의 동적특성인 복합전단컴플라이언스, 복합전단계수, 위상각을 구하였으며 재료의 동적특성으로부터 크리프 거동의 예측이 가능 하였다

Experimental study on long-term behavior of RC columns subjected to sustained eccentric load

  • Kim, Chang-Soo;Gong, Yu;Zhang, Xin;Hwang, Hyeon-Jong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9권3호
    • /
    • pp.289-299
    • /
    • 2020
  • To investigate the long-term behavior of eccentrically loaded RC columns, which are more realistic in practice than concentrically loaded RC columns, long-term eccentric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for 10 RC columns. Test parameters includ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reinforcement ratio, bar yield strength, eccentricity ratio, slenderness ratio, and loading patter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rain and curvature of the columns increased with time, and concrete forces were gradually transferred to longitudinal bars due to the creep and shrinkage of concrete.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columns varied with the test parameters, and long-term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in the case of using the lower strength concrete, lower strength steel, lower bar ratio, fewer loading-step, higher eccentricity ratio, and higher slenderness ratio. However, in all the columns, no longitudinal bars were yielded under service loads at the final measuring day. Meanwhile, the numerical analysis modeling using the ultimate creep coefficient and ultimate shrinkage strain measured from cylinder tests gave quite good predictions for the behavior of the colum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