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 Repository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7초

핵심 컴포넌트 저장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neration System for Storing Core Components)

  • 황정희;김영균;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361-370
    • /
    • 2004
  • ebXML은 XML기반의 새로운 국제 표준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이다. 서로 다른 산업분야 간의 상호운용성은 하부 데이터 구조인 핵심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통하여 가능하다. 이러한 상호운용을 위하여 서로 다른 기업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의 핵심 컴포넌트의 역할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통한 핵심 컴포넌트의 명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ebXML과 핵심 컴포넌트의 역할을 알아보고 등록/저장소에 등록하기 위한 핵심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핵심 컴포넌트 저장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이 논문의 핵심 컴포넌트 저장을 위한 시스템은 등록/저장소에 등록하기 적합한 핵심 컴포넌트 구조를 생성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모델링 단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정보 개체의 생성을 위해서 이용되거나 재 사용될 수 있다.

컴포넌트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CASE 도구에서의 웹 서비스 활용 방안 (A Technique for the Use of Web Service in CASE Tool for the Component based Application Development)

  • 김영희;김주일;이우진;정기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409-412
    • /
    • 2004
  • The technique and process for the acquisition of components by searching and testing the reusable components using Web Service in the CASE tools for component-based application development are proposed. The technique and process for the notice of components using Web Service in order to reuse developed components are also proposed. As using the technique and process, a repository does not need to construct and the reusability of components will rise because components are easily and efficiently searched using Web Service. Furthermore, it is easy to develop application through the plug-and-play of components which are acquired using Web Service, and errors of application by reused components will be minimized because proper components are acquired after pretesting reusable components in the analysis and the architecture phase.

  • PDF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완충재 개념 도출: 접근방안 (Establishing the Concept of Buffer for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 Approach)

  • 이재완;이민수;최희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93
    • /
    • 2015
  •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서 완충재는 공학적방벽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 내외의 완충재 요구사항과 성능기준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 적합한 완충재 개념 도출을 위한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완충재의 주요 성능기준 인자항목으로, 수리전도도, 핵종 저지능, 팽윤압, 열전도도, 역학적 특성치(mechanical properties), 유기물함량(organic carbon content), 일라이트화 속도(illitization rate) 등을 고려하였다. 우리나라 고준위폐기물처분장 완충재 물질로서 국산 벤토나이트(Ca-벤토나이트)와 대안재로 MX-80 벤토나이트(Na-벤토나이트)를 제안하였다. 완충재의 기술사양은 Ca-벤토나이트 경우엔 우리나라의 성능기준을, Na-벤토나이트의 경우는 스웨덴의 성능기준을 보수적으로 만족하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완충재의 두께는 전단거동, 핵종 유출, 열전도의 측면에서 평가하여 결정하였으며, 평가결과 완충재의 두께는 0.25 ~ 0.5 m 사이가 적절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인 완충재의 두께는 향후 보다 심도 있는 열-수리-역학적 평가와 경제적, 공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통합관리 모델을 이용한 효율적인 객체 관리 저장소 설계 (A Design of Efficient Object Management Repository Using Integration Management Model)

  • 선수균;송영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2호
    • /
    • pp.166-174
    • /
    • 2001
  • 최근 컴퓨팅 환경은 통합되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변모하고 있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개발 환경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출물(클래스 부품, 다이어그램, 양식, 컴포넌트)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출물레 있어서 연결관계를 서로 관련성 있는 사항을 참조 못하고 있으며 객체 내부와 관계를 정의할 수 없어서 산출물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램에 필요한 코드로 생성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출물 객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통합 관리 모델을 이용한 객체 관리 저장소 설계기법을 제시하고, 버전 관리와 연결관계 상호관련기를 두어 객체내부 관계와 서로 관련성을 개발자가 쉽게 파악하여 재사용함으로서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부분만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객체 관리 저장소를 네 가지 단계로 설계함으로서 단점을 보완하고 클래스이해와 산출물 정보를 쉽게 표현할 수 있어 클래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재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향후 시스템의 통합에 잇점인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프로토타이핑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OMMISSIONING WASTE FROM A CANDU REACTOR

  • Cho, Dong-Keun;Choi, Heui-Joo;Ahmed, Rizwan;Heo, Gyun-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583-592
    • /
    • 2011
  •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waste classification were assessed for neutron-activated decommissioning wastes from a CANDU reactor. The MCNP/ORIGEN2 code system was used for the source term analysis. The neutron flux and activation cross-section library for each structural component generated by MCNP simulation were used in the radionuclide buildup calculation in ORIGEN2.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relevant radionuclides in the activated metal waste were compared with the specified limits of the specific activities listed in the Korean standard and 10 CFR 61. The time-average full-core model of Wolsong Unit 1 was used as the neutron source for activation of in-core and ex-core structural components. The approximated levels of the neutron flux and cross-section, irradiated fuel composition, and a geometry simplification revealing good reliability in a previous study were used in the source term calculation as well. The results revealed the radioactivity, decay heat, hazard index, mass, and solid volume for the activated decommissioning waste to be $1.04{\times}10^{16}$ Bq, $2.09{\times}10^3$ W, $5.31{\times}10^{14}\;m^3$-water, $4.69{\times}10^5$ kg, and $7.38{\times}10^1\;m^3$, respectively. According to both Korean and US standards, the activated waste of the pressure tubes, calandria tubes, reactivity devices, and reactivity device supporters was greater than Class C, which should be disposed of in a deep geological disposal repository, whereas the side structural components were classified as low- and intermediate-level waste, which can be disposed of in a land disposal repository.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regardless of the cooling time of the waste, 15% of the decommissioning waste cannot be disposed of in a land disposal repository. It is expected that the source terms and waste classification evalu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to establish a decommissioning/disposal strategy and fuel cycle analysis for CANDU reactors.

EPCIS Event 데이터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검증 연구 (A Study on the EPCIS Event Data Modeling and Simulation Test)

  • 이종석;이태윤;박설화;다단;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4
    • /
    • 2009
  • EPCIS(EPC Information Services) system is a core component of EPCglobal Architecture Framework offering information of the freights, the time of awareness and the location of awareness on the EPCglobal Network. The role of EPCIS is to exchange information based on EPC. There are four kinds of event data which are object event data, aggregation event data, quantity event data, and transaction event data. These EPCIS events data are stored and managed in EPCIS repository. This study suggest the quantitative modeling about total number of EPCIS event data under the assumption to aware the RFID tags of items, cases(boxes), vehicles(carriers, forklifts, auto guided vehicles, rolltainers) at a time on the reading points. We also estimate the number of created EPCIS event data by the suggested quantitative modeling under scenario of process in the integrated logistics center based on RFID system And this study compare the TO-BE model with the AS-IS model about the total sizes of created EPCIS event data using the simulation, in which we suggested the TO-BE model as the development of the repository by skipping the overlapped records.

The Swiss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rogram - Brief History, Status, and Outlook

  • Vomvoris, S.;Claudel, A.;Blechschmidt, I.;Muller, H.R.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9-27
    • /
    • 2013
  • Nagra was established in 1972 by the Swiss nuclear power plant operators and the Federal Government to implement permanent and safe disposal of all types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in Switzerland. The Swiss Nuclear Energy Act specifies that these shall be disposed of in deep geological repositories. A number of different geological formations and sites have been investigated to date and an extended database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data and state-of-the-art methodologies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long-term safety of repositor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activities are further supported by the two underground research facilities operating in Switzerland, the Grimsel Test Site and the Mont Terri Project, along with very active collaboration of Nagra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partners. A new site selection process was approved by the Federal Government in 2008 and is ongoing. This process is driven by the long-term safety and feasibility of the geological repositories and is based on a step-wise decision-making approach with a strong participatory component from the affected communities and regions. In this paper a brief histor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wiss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rogram are presented and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may be useful beyond the Swiss program are highlighted and discussed.

ICT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스마트 농업 교육 서비스 (Smart Farm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 ICT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34-1538
    • /
    • 2020
  • 스마트농업 교육 서비스는 농업정보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제공되며 농업 정보는 현재의 농업활동, 농산품, 농지에서의 생산자 경험으로부터 추출된다. 스마트농업 교육은 웹 오브젝트 기반의 자기주도형 학습으로 제공되어 공간, 장소,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관리기능과 감시기능, 학습심사기능 등으로 구성된 스마트농업 교육의 기준 구성도를 제시하여 스마트농업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스마트 농업 교육 서비스 기술 표준 및 스마트 농업의 보급 과정에서 필요한 네트워크 기반 참조 모델을 제시 한다.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CoreTrustSeal 인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of Data Repository: Focusing on CoreTrustSeal Certification)

  • 이혜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19-13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포지토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보존 정책의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디지털 보존 정책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3년도에 CoreTrustSeal에서 인증을 받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들의 디지털 보존 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각 구성요소에서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는 CoreTrustSeal에서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관들뿐만 아니라 CoreTrustSeal 인증을 신청할 계획이 없는 국내외 기관들에서도 그들의 디지털 보존 정책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bXML핵심 컴포넌트 기반 비즈니스 문서 생성 기술 (ebXML Core Component-based Business Document Generation Technology)

  • 하영국;손주찬;손덕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7-217
    • /
    • 2003
  • ebXML은 e비즈니스를 위한 글로벌 표준으로서 그 동안 기업간 협력의 가장 큰 장애물로 여겨졌던 정보 시스템의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기술이다. ebXML에서는 전체적 인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서 거래 절차를 기술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거래에 이용되는 공통의 용어와 그 의미를 정의하고 있는 핵심 컴포넌트,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레지스트리, 거래 문서의 전송을 위한 메시징 서비스 등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ebXML에서의 거래 절차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요구하고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문서의 교환에 의해서 수행되며, 이때 필요한 비즈니스문서의 모델은 핵심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저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ebXML의 기술 구조 및 관련기술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ebXML 핵심 컴포넌트 및 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수행에 필요한 비즈니스 문서를 생성하는 기술에 대하여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