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x urban area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1초

다매체 환경 모델 MUSEM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의 환경거동예측 모델링 (Modeling for the fate of Organic Chemicals in a Multi-media Environment Using MUSEM)

  • 노경준;김동명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01-210
    • /
    • 2007
  • 생태계로 유입되는 POPs, EDCs, PBTs 등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은 점점 복잡다양화 되고 있으며, 사람의 건강이나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가져올 우려 또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위해성 평가의 중요한 과정중 하나인 화학물질의 노출량 산정 부분에 대한 적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매체 중 화학물질량 산정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모델링 수행을 위하여, 화학물질의 물성 데이터베이스 및 지역 개황 데이터베이스 등과 프로그램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동시에 여러 대상물질이 시뮬레이션 가능한 다매체환경모델 MUSEM(Multi-media Simple box-systems Environmental Model)을 이용하여 62종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일본 47개 지역의 환경매체 중 농도예측 및 동경지역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62종의 물질에 대한 매체별 잔류비(%)는 수역에 고비율로 분포하는 물질이 많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옥탄올-물 분배계수에 따른 환경매체중의 화학물질 농도변화는 도시산업용지의 토양 및 담수의 저질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와 담수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분해계수에 의한 환경매체중의 화학물질 농도변화는 육수역 물환경 및 도시산업용지의 토양, 육수역의 저질에서의 변화폭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대기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 PDF

주거지역 종세분화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바람길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for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Segementation of Residential Zoning)

  • 김대욱;정응호;류지원;차재규;이준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01-109
    • /
    • 2010
  •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worse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y threaten the environmental restitution of the globe and become a critical international issue. Korean government has presented the concept of green growth as a new state vision for the next 60 years and is making efforts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Daegu Metropolitan City has face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overpopulation of the city, traffic pollution, household waste accumulation and the green zone problem because of the increase of urbanization over the last few decades. As such urbanization continues,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s rapidly deteriorating and the intensive use of the land leads to an increase of building area, raising the temperatures of cities. There have therefore been demands for healthy, pleasant and satisfy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for the improvement of exist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is demand has been fully recognized by society. Nevertheless, current residential complex developments concentrate only on raising the efficiency of land use. In related laws of the past (Daegu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Municipal Ordinance as of October 10, 2003) an attempt was made to impose a standard to segmentalize the building-to-land ratio, floor area ratio and regulations of number of floors vertically. However, these laws have now been abolished and the regulations are being 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wind before and after the vertical segmentation of residential areas (Daegu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Municipal Ordinance as of October 10, 2003) by using KLAM_21, a model that enables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flow and generation of cold wind. The purpose is also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ial areas when developing a building lot and redeveloping housing areas.

주거지역 종세분화에 따른 바람환경 분석 (An Analysis of Wind environment on the Basis of reclassified Zoning)

  • 이준영;정응호;김대욱;차재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9-112
    • /
    • 2009
  •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rapid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een worsened as much as to threaten the environmental restitution of globe and become a critical international issue. Korean government presented the green growth as a new state vision for 60 years afterwards and is making effort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Daegu metropolitan city has face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overpopulation of cities, traffic pollution, household wastes and green zone problem because of urbanization for the last decades. As such urbanism continues,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s rapidly deteriorating and the intensive use of land leads to increase of building area raising the temperature of cities. Therefore there have been demands for the healthy, pleasant and satisfy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uch recognition rises from society in full measure. Nevertheless the current residential complex concentrates only on raising the efficiency of land use. Related laws in the past(Daegu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Municipal Ordinance as of October 10, 2003) tried to prepare a standard to segmentalize the building-to-land ratio, floor area ratio and regulations of number of floors vertically, but currently it is abolished and the regulations are becoming 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wind before and after the vertical segmentation of residential areas(Daegu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Municipal Ordinance as of October 10, 2003) by using KLAM_21, a model that enables analysing and predicting the flow and generation of clod wind,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ial areas afterwards when developing building lot and re-developing housing areas.

  • PDF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Urban Biotopes - The Case of Metropolitan Daegu -)

  • 나정화;이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8-1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characteristics for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s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biotopes as basic data for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in Metropolitan Daegu.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y identified fifteen characteristics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s.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structural and functional factors. There are six structural factors such an inclination, and nine function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2) The study area was separated into sixty eight biotope types. For example, an industrial district was divided into two biotope types: a biotope type of an industrial district with abundant green space, and a biotope type of an industrial district with scarce green space. 3) I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he average linkage method between groups, biotope groups were divided into fifteen clusters and biotope groups were divided into seven clusters. Each cluster was nam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example, cluster 8 was identified as a biotope type with an impermeable pavement rate of more than 90 percent and an afforestation rate under 10 percent. 4) Fifteen biotope groups were converted to land use patterns for remot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biotope in city planning. Biotope groups of a building area beyond an intermediate floor with an afforestation rate under 20-30 percent was converted to a land use pattern such as a tall apartment complex or commercial district.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there was a limi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grade-classification because of a lack of related basic data. The research of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s could not be completed due to a lack of time and resources, thus the study of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will be accomplished over time.

특수지반에서 쉴드TBM의 시공을 위한 기술적 고찰 (Review of Technical Issues for Shield TBM Tunneling in Difficult Grounds)

  • 정호영;장난;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1호
    • /
    • pp.1-24
    • /
    • 2018
  • 국내외 터널공사에서 TBM(Tunnel Boring Machine)의 적용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TBM터널은 더 어렵고 복잡한 특수지반을 대상으로 시공되는 사례가 많으며, 복잡한 지질 조건에 기인한 시공상의 어려움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특수 지반의 효율적 통과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수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쉴드TBM 터널공사에서의 지반조사와 시공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내외 특수지반을 통과한 시공 사례를 분석하여 쉴드TBM 터널의 특수지반을 11개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특수지반의 개념과 일반적인 문제점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도심지 천층부에서 빈번하게 조우하는 복합지반, 호박돌층, 단층파쇄대의 분류 기법, 지반조사기법, 그리고 해당지반에서의 고려사항들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특수지반에서의 TBM 시공기술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향후 관련 연구와 특수지반에서의 TBM 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지역 자율주행 자동차기술 적용을 위한 차량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Vehicle Operation Prior to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Deployment in Urban Area)

  • 장경진;유송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52-459
    • /
    • 2019
  • 자율주행자동차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측면에서 안전성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의 구현을 고려할 때, 시내상황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분석 할 필요가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이 기존의 교통 환경에서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한지 여부의 평가도 중요하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가 일반 차량과의 상호 작용을 검토하고,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로환경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평가 요소들을 기존의 ADAS와 같은 평가 프로토콜을 참고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평가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양한 기술 구현수준과 함께 다른 시험환경에 대한 자율 차량평가 방법을 수립하는데 반영하고자 한다.

혼합 가스폭발이 지하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An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a Mixed Gas Explosion on the Stability of an Underground Excavation)

  • 김민주;권상기
    • 화약ㆍ발파
    • /
    • 제38권4호
    • /
    • pp.1-15
    • /
    • 2020
  • 국내의 지하공간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과 같은 시설물에서의 폭발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지에서는 개별의 폭발 사고가 복합적인 큰 사고로 확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심지에서의 폭발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과 인접한 곳에서의 폭발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폭발 조건과 암반의 물성을 포함한 8개 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AUTODYN을 이용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각 인자들의 주영향과 교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폭발지점과 지하구조물 사이의 거리, 폭약량, 암석의 탄성계수가 터널 주변 응력성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 기반 자원순환정보 구축을 통한 잠재적 산업공생관계 파악 연구 (Identifying Potential Industrial Symbiosis through GIS Based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 정현욱;박선형;김정훈;이상윤;박흥석;권창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4-90
    • /
    • 2010
  • 본 연구는 GIS 기반 자원순환정보구축 방법을 제시하고, 현재 울산 산업단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업공생네트워크 및 해외사례의 물질별 연계업종쌍을 파악하여 추가적인 산업공생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원순환정보는 울산의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및 공업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제조업체에 대한 속성정보를 투입정보, 이동정보, 산출정보 등으로 구분하여 DB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제조업체의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GIS 기반 자원순환정보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총 3,768개이다. 분석결과, 물질, 스팀, 폐수를 이용한 추가적 산업공생파악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울산산업특성에 적합한 물질별 연계업종이 명확히 제시될 경우 산업공생파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원순환정보 구축방법은 타 지역의 자원순환정보 구축시 하나의 모형으로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입체복합개발을 위한 공공 입지여건 분석 (Location Analysis for Public Sector's Development of Mixed-Use Complex)

  • 윤정중;이덕복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17-1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입체복합개발의 공공 참여를 위한 입지여건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 새로운 도시개발이나 도심재생사업, 역세권개발 등에의 수요에 대응하고 도시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려는 것이다. 입체복합시설의 개발을 위한 입지특성과 공공의 참여여건을 고려하여 대상범위와 입지여건을 분석한 결과, 입체복합개발에 부합하는 다양한 기능의 수용여부를 고려한 기능복합도의 경우 대규모 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 및 신설역사주변과 기성시가지의 도심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개발잠재력도 앞의 세 지역과 함께 기성시가지의 역세권 및 도심부적격시설의 이전적지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규모는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 기성시가지의 도심, 부도심, 역세권이 필지, 블록, 지구 등 다양한 규모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입체복합개발에 대한 공공의 참여여건 분석결과, 공공부문이 개발하는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과 도심부적격시설 및 공공기관종전부지 등 이전적지가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는 공공시행자로서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도시의 조기성숙과 개발촉진을 도모하고, 도시부적격시설의 이전과 적지개발사업의 연계를 통한 도시환경개선 및 공공성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환경에서 방사성물질 오염에 따른 선량평가모델 (A Model for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in an Urban Environment)

  • 황원태;김은한;정효준;서경석;한문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도시지역의 방사능 오염으로 거주민의 피폭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 METRO-K를 개발하였다. 모델의 특성으로 1) 실험 또는 경험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학식이 간단하여 이해가 쉬울 뿐 아니라 계산에 필요한 변수의 수가 적으며 2)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5가지 기본표면 만을 사용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주변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3) 각기 다른 오염 표면으로 인한 선량을 평가함으로써 표면마다 적합한 제염대책을 수립하는데 용이하다. 피폭자의 특정 위치에서 각기 다른 오염표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선량은 감마에너지와 오염 표면별 공기커마 값을 데이터 라이브러리로 만들어 평가에 이용하였다. 유럽 도시지 역의 4가지 대표적 거주형태 에 대한 공기커마 값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7가지 대표적 주거형태에 적합하도록 공기커마 값을 조합하여 적용하였다. 장기간 방사성물질의 누설을 고려하여 하루 단위의 핵종별 공기중 농도, 강우량, 핵종의 화학적 형태 구성분율이 입력되면 침적 후 시간에 따른 각기 다른 표면에서의 공기중 흡수선량률과 피폭자의 거주 위치에 따른 인체 선량률이 평가된다. 아파트 밀집지역에 대한 가상 오염 시나리오의 적용결과 피폭자의 거주위치 뿐 아니라 피폭자가 거주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인체 선량률은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