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x number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33초

A NEW REVERSE OF THE TRIANGLE INEQUALITY IN NORMED SPACES

  • Dragomir, S.S.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59-73
    • /
    • 2007
  • A new reverse of the generalised triangle inequality that complements the classical results of Diaz and Metcalf is obtained. Applications for inner product spaces and for complex numbers are provided.

  • PDF

복소수 지도에 관한 De Morgan의 관점 (The De Morgan's Perspective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plex Number)

  • 이동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9-82
    • /
    • 2012
  • 본 논문은 복소수 지도에 대한 De Morgan의 관점을 분석하였다. De Morgan의 복소수를 도입하고 정당화하는 과정은 그의 대수에 대한 관점이 보편적 산술, 기호 대수, 의미 대수로 발전해가는 과정과 일치한다. De Morgan은 허수의 유용성을 이유로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허수를 인정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De Morgan은 기호의 의미나 대상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기호대수를 수용했다. 그러나 그는 허수의 의미를 포기할 수 없었고, 결국 길이와 방향을 가진 직선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대수 이론을 전개하였다. De Morgan은 복소수 지도를 정당화하는 과정을 정련해가면서 대수와 수학 전반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복소수의 지도가 새로운 수학적 개념의 도입에 머물지 않고 대수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발전을 일으키는 촉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Chromosome numbers of Euphorbia pekinensis complex in Far East Asia

  • Park, Ki-Ryong;Kurosawa, Takahide;Seo, Min-Gyeong;Lee, Bo-Eun;Ahn, Soo-Kyeo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4-307
    • /
    • 2017
  • We report somatic chromosome numbers for three species belonging to the Euphorbia pekinensis complex distributed in Far East Asia. In E. pekinensis populations distributed in Korea, 2n = 28 and 56 were found, while the Japanese native E. lasiocaula was also found at 2n = 28 and 56 and the Japanese endemic E. sinanensis was found at 2n = 20. Based on the number of chromosomes, E. lasiocaula distributed in Japan supports treatment as a variety of E. pekinensis rather than as a different species, while E. sinanensis should be recognized as a distinct species rather than as a variety of E. pekinensis. In the same populations of E. pekinensis and E. lasiocaula, diploid and tetraploid individuals were found, and the diversity of these chromosome numbers was consistent with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these populations, suggesting the future evolutionary potential of this species.

ON BERNOULLI NUMBERS

  • Kim, Min-Soo;Son, Jin-Woo
    • 대한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1-410
    • /
    • 2000
  • In the complex case, we construct a q-analogue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q(s) and a q-analogue of the Dirichlet L-function L(s,X), which interpolate the 1-analogue Bernoulli numbers. Using the properties of p-adic integrals and measures, we show that Kummer type congruences for the q-analogue Bernoulli numbers are the generalizations of the usual Kummer congruences for the ordinary Bernoulli numbers. We also construct a q0analogue of the p-adic L-function Lp(s, X;q) which interpolates the q-analogue Bernoulli numbers at non positive integers.

  • PDF

ON SOME PROPERTIES OF BENFORD'S LAW

  • Strzalka, Dominik
    • 대한수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055-1075
    • /
    • 2010
  • In presented paper there were studied some properties of Benford's law. The existence of this law in not necessary large sets of numbers is a very interesting example that can show how the complex phenomena can appear in the positional number systems. Such systems seem to be very simple and intuitive and help us proceed with numbers. However, their simplicity in the case of usage in our lifetime is not necessary connected with the simplicity in the case of laws that govern them. Even if this laws indicate the existence of self-similar properties.

고등학교 10-가 교과서 복소수 단원에 관한 논리성 분석연구 (A Search for an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on the Complex Numbers in Grade - 10 Mathematics Textbook)

  • 양은영;이영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3호
    • /
    • pp.357-374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에서 처음 소개되는 복소수 단원의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 등 교과서의 서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준'과 교육과정의 흐름에 맞게 논리적으로 서술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학생들의 '수준'이란 실수에서 복소수로의 새로운 수 체계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정한다. 즉,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전반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 때 복소수 단원의 목표는 새로운 수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의 보존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표에 맞게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이 교과서에서 서술되는 방식이 수학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논리적인 비약(gap)이나 순환논증의 오류를 가지지 않고 적절하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16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크게 다섯까지의 분석 대상을 찾아내었다. 첫째는 허수 단위 i의 도입과 음수의 제곱근, 둘째는 복소수의 정서방식에서 실수와 순허수의 정의 방식, 셋째는 복소수의 사칙 연산, 넷째는 복소소의 연산에 관한 성질에서의 대소 관계와 역원의 표현 방법, 마지막으로 대수적 구조의 보존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 관점에서 살펴본 위의 5가지 대상에 관한 교과서의 서술방식은 논리적 정확성의 문제와 순환논리의 오류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고, 연구자가 일부 논리적 비약(gap)으로 판단한 것이 있는데, 이는 오류가 아닐 수 있으나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에 있어 논리적으로 전후가 맞지 않는 전개과정 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 PDF

PROPERTIES OF HYPERHOLOMORPHIC FUNCTIONS ON DUAL TERNARY NUMBERS

  • Jung, Hyun Sook;Shon, Kwang 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0권2호
    • /
    • pp.129-136
    • /
    • 2013
  • We research properties of ternary numbers with values in ${\Lambda}(2)$. Also, we represent dual ternary numbers in the sense of Clifford algebras of real six dimensional spaces. We give generation theorems in dual ternary number systems in view of Clifford analysis, and obtain Cauchy theorems with respect to dual ternary numbers.

LEHMER'S GENERALIZED EULER NUMBERS IN HYPERGEOMETRIC FUNCTIONS

  • Barman, Rupam;Komatsu, Takao
    • 대한수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485-505
    • /
    • 2019
  • In 1935, D. H. Lehmer introduced and investigated generalized Euler numbers $W_n$, defined by $${\frac{3}{e^t+e^{wt}e^{w^2t}}}={\sum\limits_{n=0}^{\infty}}W_n{\frac{t^n}{n!}}$$, where ${\omega}$ is a complex root of $x^2+x+1=0$. In 1875, Glaisher gave several interesting determinant expressions of numbers, including Bernoulli and Euler numbers. These concepts can be generalized to the hypergeometric Bernoulli and Euler numbers by several authors, including Ohno and the second author. In this paper, we study more general numbers in terms of determinants, which involve Bernoulli, Euler and Lehmer's generalized Euler numbers. The motivations and backgrounds of the definition are in an operator related to Graph theory. We also give several expressions and identities by Trudi's and inversion formulae.

확산화염의 진동불안성의 기원에 대해서 (On the Origin of Oscillatory Instabilities in Diffusion Flames)

  • 김종수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5-33
    • /
    • 2005
  • Fast-time instability is investigated for diffusion flames with Lewis numbers greater than unity by employing the numerical technique called the Evans function method. Since the time and length scales are those of the inner reactive-diffusive layer, the problem is equivalent to the instability problem for the $Li\tilde{n}\acute{a}n#s$ diffusion flame regime. The instability is primarily oscillatory, as seen from complex solution branches and can emerge prior to reaching the upper turning point of the S-curve, known as the $Li\tilde{n}\acute{a}n#s$ extinction condition. Depending on the Lewis number, the instability characteristics is found to be somewhat different. Below the critical Lewis number, $L_C$, the instability possesses primarily a pulsating nature in that the two real solution branches, existing for small wave numbers, merges at a finite wave number, at which a pair of complex conjugate solution branches bifurcate. For Lewis numbers greater than $L_C$, the solution branch for small reactant leakage is found to be purely complex with the maximum growth rate found at a finite wave number, thereby exhibiting a traveling nature. As the reactant leakage parameter is further increased, the instability characteristics turns into a pulsating type, similar to that for L < $L_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