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Based Education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28초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중학생의 군집화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lust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1-619
    • /
    • 2022
  • 최근 교육에서 교육 데이터마이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과학교육에서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4문항에 응시한 2,576명의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비지도 기계학습의 한 가지 방법인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학생들을 군집화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한 군집화 결과, 학생들을 6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볼수 있었다. 상위권이나 하위권에 비해 중위권 학생들이 다양하게 다른 군집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군집분석의 결과를 보면, 군집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 성취였으며, 군집별로는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별, 교과 역량별, 정의적 특성 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하위 군집에서는 정의적 영역 중에서 학습의욕이 중요하게 영향을 주고, 교과 역량 면에서는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내용 영역 면에서는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 대한 성취가 군집의 특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평가 자료를 활용해 학생을 군집화한 후, 이러한 군집별 특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학습을 위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 연구 결과 활용의 가능성, 내용 영역별 균형 있는 학습, 교과 역량 증진, 과학적 태도의 향상 등 과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I 활용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AI 이해, AI 효능감 및 AI 활용에 대한 인식 개선에 미친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AI Utilization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on AI Understanding, AI Efficacy, and AI Utilization Perception Improvement among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윤지현;허소림;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9-110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구글의 티쳐블머신을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이 'AI 기반 분자구조 맞춤형 학습 지원 도구'를 직접 생성해 보는 프로젝트 활동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 H 대학교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예비교사 26명을 대상으로 비교과 활동 시간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14차시 동안 적용하였고, 'AI의 작동 원리 이해', '과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효능감', '과학 수업에서 AI 활용 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에게 머신러닝에 대한 AI 기술의 작동 원리를 기초적 수준에서 이해시키고, 그 사용법을 익히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과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효능감을 높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이자 도구로서 AI 기술의 활용 방안 측면을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기초적 수준에서 예비교사들의 AI 활용 역량 강화 및 인식 개선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역량에 대한 보유수준 분석 및 전직지원방안 연구 (A Study on Outplacement Countermeasure and Retention Level Examination Analysis about Outplacement Competency of Special Security Government Official)

  • 김범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3호
    • /
    • pp.51-8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 역량에 대한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의 보유수준 조사를 통한 전직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특정직 경호공무원 중 전직관련 대상자로서 40대 이상 5급 사무관 이상 전직 유경험자인 전직 성공자와 전직 실패자, 전직 희망자인 전직 예정자 600명을 대상으로 지식역량군의 전문지식, 전직관련 지식, 자기이해, 조직이해, 기술역량군의 직무기술역량, 직무수행기술, 문제해결기술, 혁신기술, 커뮤니케이션기술, 조직관리기술, 위기관리기술, 경력개발기술, 인적네트워크 활용기술, 태도 및 감정역량군의 긍정적 태도, 적극적 태도, 책임감, 직업정신, 헌신적 태도, 친화력, 자기조절능력, 가치 및 윤리역량군의 윤리의식, 도덕성 등 4개 역량군 22개 하위역량의 보유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 응답자 153명의 4개 역량 군 22개 하위역량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재 보유수준 값이 4.0이상인 전문지식, 긍정적 태도, 책임감, 윤리의식, 도덕성 역량 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갖추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그 외 역량에 대해서는 보통이하 점수로 다소 낮게 나타나, 이들 역량들에 대해서는 아직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한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성공적인 전직지원방안으로서는 전직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재정립하고 현실을 직시할 수 있도록 눈높이를 낮추어야 하며, 전직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다소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역량들에 대해서는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개발 및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제도적 차원에서 이러한 전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퇴직 전 중 후 전직 교육훈련 강화 및 현 교육훈련체계 반영, 수요자 중심의 온-오프 상 교육훈련시스템 운영, 학습조직화 등 전직교육훈련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학습계약에 기반한 자기주도 임상실습 운영사례 (Learning Contracts Based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um)

  • 김은정;조동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8-27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learning contracts based self-directed learning in a final clinical placement for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ase study and 82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ntract based practice plac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written learning contracts and questionnaires after a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 students' learning needs were knowledge, clinical skills, and attitudes frequently encountered in a ward in which clinical skills were most common. The students' formulated learning contracts were varied but most of them were basic and simple. A self-directed clinical course was beneficial and a satisfactory experience to senior student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confidence in own cap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he learning contract. Conclusion: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um would result in a degree of attitude change in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learning contract based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e is effective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confidence in own capability, and competency.

한국의학교육의 새로운 과제: 불확실성이 큰 문제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의 강화 (New Challenges for Korean Medical Education: Enhancing Students' Abilities to Deal with Uncertain Ill-Defined Problems)

  • 최익선;윤보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11-118
    • /
    • 2014
  • Over the last century,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has evolved by identifying educational challenges within its own socio-cultural context and by appropriately responding to these challenges. A discipline-based curriculum, organ-system or integrated curriculum, problem-based curriculum,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historical examples of the educational solution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refined to address specific educational challenges, such as students' lack of basic scientific knowledge, lack of integration between scientific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and lack of clinical practice. In contrast, Korean medical education has evolved with the influence of two forces: (1) the adoption of educational solutions developed in North America by pioneers who have identified urgent needs for medical education reform in Korea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nd (2)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medical schools' curricula through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and national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Despite this progressive evolution in Korean medical education, we contend that it faces two major challenges in order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First, Korean medical education should identify its own problems in medical education and iteratively develop educational solutions within its own socio-cultural context. Secondly, to raise reflective doctors who have scientific knowledge and professional commitment to deal with different types of medical problems within a continuum from well-defined to ill-defined, medical education should develop innovative ways to provide students with a balanced spectrum of clinical problems, including uncertain, ill-defined problems.

초중고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A Study of Problems and their Solving Strategies Consequent upon Software Education Reinforcement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 최숙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93-104
    • /
    • 2015
  • 최근의 소트웨어교육의 강화는 세계적인 큰 흐름이다. 이런 대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교육부가 2014년 9월에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 창조 경제로 나아가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서는 질 높은 소프트웨어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관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이 새로운 소프트웨어 교육이 추구하는 컴퓨팅적 사고를 가지도록 가르칠 수 있는 교사가 충분히 지원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담당 교사들의 교과내용에 대한 교수 역량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2014년 9월부터 컴퓨팅교육을 필수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영국에서도 대두되었던 문제이다. 본 연구는 영국과 미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해결 방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한·중 현직교사교육 비교 (Comparison of incumbent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 책리하;박창언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80-90
    • /
    • 2021
  • 본 연구는 한·중 현직교사교육의 목적, 내용, 모형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서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통하여 양국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계시 점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결과는 중국에서 교사의 도덕 교육과 과목지식을 중시하며 한국은 교사의 문화 역량, 전공 지식을 중시하는 것, 구체적인 연수 내용과 이수 시간 모두 정확하게 규정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연구력과를 바탕으로 중국 측에게 개인중심으로 진행하는 연수 지원, 한국 측에게 교육연수기관 간 협력 체제 내실화 등 계시 점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교육부 고시 개정이 대학 현장실습학기제에 미치는 영향: 대학 현장실습 운영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the Amendment of Regul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Co-op: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Co-op Operators)

  • 김태형;유영삼;박지성;황의택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49-59
    • /
    • 2023
  • On July 6, 2021, the Ministry of Education revised and announc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the undergraduate co-op with the aim of protecting students rights and student-centered operation based on mutual benefits for students and institu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iversities' perceptions against the amendment of regul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into universities/college, regions. According to a survey of 75 KACE, we found that colleges are more difficult than universities in terms of administrative work, company participation, reduced opportunities for co-op, and managing participating companies. Next, most of the regional differences in difficulties were not significant, and only the decline in company participation rate was more difficult in Daegyoung/Gangwon/Chungcheong/Jeju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 Finally, policy directions such as the differential application of practical support expens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tax benefits for institutions, and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job training were presented.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 (Exploring the Direction of the Clothing Life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 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111
    • /
    • 2022
  • 제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의 전환 등 사회적 혁신을 기반으로 모두를 위한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의 변화를 준비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미래 초·중등교육의 방향성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미래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생활교육은 어떤 혁신적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의 특징과 의생활교육과정을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생활교육과정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으로는 먼저 인재상으로 인공지능(AI)에 인간의 감성과 환경, 의생활문화를 더하는 융·복합교육인재양성, 소프트웨어 역량과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을 연계하는 의생활교육,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패션 메이커교육과 가치 지향적인 의생활교육 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적 교육현장 적용인 의생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 김윤희;장금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5-25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regarding care in a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as related to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Methods: A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ifty new nurses were recruited, 26 nur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nurses for the control group. The simulation-based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education included lecture, skill training, team-based practice, and debriefing, and it was implemen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week in May, 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ratio, chi-square, Fisher's exact probability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t=5.76, p<.001)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5.86, p<.001) for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o had traditional education but problem solving process was not included (t=1.11, p=.13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mulation-based educ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ew nurses learning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team discussion on cognitive outcome of clinical nurses such as problem solving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