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unit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6초

지속적 신대체요법 시 도식화된 알람 관리 매뉴얼 사용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 해결률과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chematized Alarm-managing Manual for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on the Alarm Resolution Rate and Nursing Competence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 최앵자;이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35-54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chematized alarm-managing manual for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in maintaining continuity in the patients' treatment and promptly resolving alarms when CRRT is being carried out. Methods: Sixtynurses from two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ICUs) (one experimental and one control) at one hospital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ir CRRT nurs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with the manual. Data on alarm resolution rate were collected by analyzing existing data, such as the details of each alarm and the number of resolutions around the clock in the CRRT device. Results: The alarm resolution rate and some of CRRT nursing competency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satisfied with the manual.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chematized alarm-managing manual can be useful for ICU nurses to resolve alarms and can be used as a guideline. Application of this manual to clinical practices and its use can therefore, be encouraged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IPA기법을 적용한 사회복지사례관리 직무수행 및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박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8-2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의 사례관리직무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례관리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울산지역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사례관리직무(능력단위 9개, 능력단위요소 33개)에 대한 중요도-직무역량,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직무역량에 대한 분석결과, IPA격자도 영역별로 강화유지 12개, 중점개선 1개, 개선 9개, 과잉 11개 능력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IPA분석결과는 강화유지 15개, 중점개선 5개, 개선 4개, 과잉 9개의 능력단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외부운영체계구축', '자원연계체계 개발'에 대한 직무역량을 중점적으로 강화하고, '외부운영체계구축', '내부운영체계구축'에 집중적인 수퍼비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관리직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도제프로그램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f Analysis NCS-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of the Apprenticeship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 안재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이 NCS 기반 교육과정에 어떻게 편성되었는지를 분석하여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59개 학교 186개 과정의 도제 부장교사에게 조사지를 송부하였으며, 116개 학교의 141개 과정(75.8%)에 대한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제프로그램 편성시간은 평균 1054.2시간(62.0단위)이고, 도제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정에서 12.4개 과목으로 편성되었는데 그 중에서 실무과목은 9.6개(77.5%)였다. 과목의 NCS 능력단위별 평가 정도는 '교과 내용 전체를 능력단위별 평가'(80.1%), '교과 내용 일부를 능력단위별 평가'(14.4%), '능력단위와 무관하게 평가'(5.6%)의 순이었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시간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편성 시간보다 많거나 같은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1.5개(93.1%),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0.9개(6.9%)였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내용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내용을 포함하는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0.6개(85.8%),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1.8개(14.2%)였다. 셋째, 과목의 공통능력단위/학생선택능력단위 편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통능력 단위만으로 편성된 과목은 8.5개(68.5%), 학생선택능력단위가 편성된 과목은 3.9개(31.5%)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터하여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으로 시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변경 승인 기간 유예 적용, 시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점검 및 컨설팅 강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기업특화과목(가칭) 또는 학생선택과목(가칭) 신설을 제안하였다.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A Study on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안재영;이찬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01-127
    • /
    • 2018
  •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 학습 준비, 교수 학습 실행, 교수 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 학습 실행(19.6%), 교수 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 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대학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을 위한 중요도분석연구 (An Importance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4-year College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Curriculum)

  • 김재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7-129
    • /
    • 2017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과 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에서 제시된 학습모듈을 파악하고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NCS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두 전문가 그룹인 대학교수와 정보시스템개발자를 대상으로 NCS의 응용SW엔지니어링 분야에 속한 26개 능력단위의 중요도를 계층화분석과정을 통해 능력단위별로 쌍대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들에 상대적 중요도는 요구사항 확인하기, UI요구사항확인하기, 물리데이터저장소설계하기, 개발자통합테스트하기와 개발자결함조치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초 중급개발자 그룹은 시스템개발 이행단계에 속한 능력단위요소를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고급개발자 그룹은 이론중심의 설계와 관련 있는 능력단위요소를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자 그룹은 두 개발자 그룹이 각각 중요하다고 판단한 실무 및 이론적 내용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개발 관련 직무수행역량의 함양과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Study of Development for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 김정은;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31호
    • /
    • pp.43-93
    • /
    • 2012
  • 인적자원의 질은 사회 운용의 효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다. 세계 각국은 국가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인적자원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기록관리분야 역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중심에 두는 인적자원개발체제를 구축해갈 필요가 있다. 각급기관에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배치되고 기록관 조직이 운용되고는 있으나 직무상 성장 발전이 요구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능력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은 전문요원의 전문성 강화의 측면에서나 기록관 업무의 정상화의 측면에서나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기록관리 전 분야에 활용가능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표준의 설계과정에 대한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의 가능성과 타당성, 활용성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모형과 각 능력 단위별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최근 이슈로 부각된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마련하고 기록관리분야의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을 도입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고위험약물 투약오류 위험수준 및 투약안전역량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이윤희;이영진;안정아;김희준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3
    • /
    • 2022
  • Purpose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66 ICU nurses of one higher-tier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i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10 to August 31, 2021. Measurements include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questionnaire, nurses's knowledge of high-alert medication questionnaire,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WIN 28.0. Results :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working department,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al strategy that can strengthe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to improve the ICU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practical evaluation metho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floral design

  • Hyun-Ho, Jang;Taek-Keun, Oh;Jwakyung, S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865-87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 used to determin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n field of flower design to improve its development. First, an advisory committee was formed, after which comparisons, an analyses and matching were conducted of the currently u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nd competency units and the competency unit elements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an effort to strength practical skills and industrial field abilities in the field of flower design. Second, we visited an industrial site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nd technical aspects as well a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used in the flower design field. The status of workers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e field of flower design was then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practical examination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to ensure a properly configured result, a pilot test was conducted involving those majoring in the field of flower design.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exam, a survey focusing on targets related to flower desig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by suggesting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n the field of flower design, it is possible to improve knowledge, technical aspects, and literacy, allowing us to train outstanding technical professionals. In the end,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lower design industry.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중소병원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이규민;지은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65 nurses in Seoul from February to March,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2.0 program. Results: A mean scor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3.20±0.49, self-leadership 3.58±0.50,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4.01±0.49 out of 5.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tient safety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combined ward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djusted R2=.32, p<.001). Conclusi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are associated with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ystemic education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should be implemented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self-leadership.

근거중심실무 연계 중환자간호 실습교육의 적용 및 효과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 박명화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46-35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tegrating Evidence Based Practice (EBP) into a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on nursing students' access an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EBP competency.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ifty senior nursing school students from a university participated. A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combined with EBP consisted of six full days of clinical practicum in intensive care units with EBP education. Group and individual training in EBP skills, lectures, small group discussion and conferences were provid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 tests for 50 participants. Results: The scores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sh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arching and classifying the evidence. Nursing students' access and use of research evidence improved (p=.004).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gration of EBP into a clinical practicu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ccessibility and usefulness in research evidence such as guidelines and research articles, and increasing EBP competency in undergraduat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