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ssion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8초

다차원적 종교성/영성척도 단축형 한국어판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 윤혜영;김근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257-274
    • /
    • 2015
  • 본 연구는 Fetzer/NIA(1999)에서 개발한 다차원적 종교성/영성 척도-단축형(Brief-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BMMR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대학생, 대학원생과 종교를 믿는 일반 성인 286명을 대상으로 BMMRS 영적 웰빙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 SWS), 한국판 영성 척도(Korean Sprituality Scale, KSS), 펜실베니아 걱정질문지(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를 실시하였다. BMMRS의 요인구조를 주축분해법, 사각 회전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긍정적 영적 경험, 부정적 영적 경험, 용서, 종교활동, 긍정적인 종교지지, 부정적인 종교지지 6요인 구조가 확인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각 소척도의 내적일관성(.64~.97)과 검사-재검사 신뢰도(.72~.88) 역시 적절하였다. 이 결과는 한국판 BMMRS가 적절한 심리 측정적 지표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향후 영성과 종교성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의학 직업전문성의 특성과 실천 원리 (The Attributes and Practical Principle of Medical Professionalism)

  • 황은영;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2권1호
    • /
    • pp.9-22
    • /
    • 2010
  •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t present for physicians to posses the qualifica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 lot of medical schools have made all-out efforts to develop leaders of medicine, who will be able to meet the need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is complex medic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gnitive base of medical professionalism lead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 discuss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started in the 20th century. During the 1960s, there were attempts to reshape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 government began to intervene in the autonomy of physician and the self regulation policy of medical society in 1970s. Physician may be asked to play as a healer and professional (what?) during their medical practice. The fundamental role of healer such as care, compassion, honesty, integrity, confidentiality, ethical behaviors, and respect with patients were nothing fresh to tell even though the age was changed. The attributes of professional which are physician's autonomy, self regulation, teamwork, and responsibility to society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five decades. In general, medical educators agreed that professionalism is demonstrated through a foundation of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ethical and legal understanding, upon which is built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excellence, accountability, altruism, and humanism. If physicians fail to show professionalism in society, they will confront the crisis which can be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The only way to keep their autonomy is to practice medical professionalism. So far today, medical schools have laid more stress on competence than value standards in educational systems and it was restricted for medical students to learn the value standards for medical practice.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medical professionalism, it is the most realistic way to solve the complicated medical problems.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히로인의 성격구조 (Personality Structures of Heroines in Miyazaki Hayao Animations)

  • 양세혁;김일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90-102
    • /
    • 2008
  •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연민과 자비로움을 갖춘 동시에 확고한 신념을 가진 히로인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가 원작하고, 각본과 감독을 담당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중 히로인이 등장하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천공의 성 라퓨타>, <원령공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대상으로 성격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했다. 성격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MBTI, 에니어그램의 분류기준을 토대로 하고, 캐릭터의 역할에 따른 유기적 관계, 외적인 특성들을 종합하여 성격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미야자키의 히로인들은 공통적으로 구원자이며 이상주의자이지만, 행동의 동기가 달라짐으로써 개성적 성격구조로 창조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야자키 하야오가 창조한 히로인들의 성격구조 특성을 정의하고 데이터화 하였다.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과 전문직 삶의 질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vility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by Hospital Nurses)

  • 우정희;고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7-18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과 전문직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D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8일에서 6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시민행동은 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과 공감만족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 무례함을 경험하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과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외상 경험군과 비경험군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발생군과 비발생군 청소년에서 기질 성격 특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Adolescents'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Profile between Traumatized Group and Non-Traumatized Group, and between PTSD Symptom Group and Non-PTSD Symptom Group among the Traumatized Group)

  • 신승민;이병욱;이중서;김용구;이홍석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3-140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rauma and personality system was related by comparing TCI profiles of the trauma versus non-trauma groups and PTSD symptom positive (PTSD symptom [+] group) and PTSD symptom negative groups (PTSD symptom [-] group). Methods :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profiles between the trauma (n=61) and the non-trauma (n=61) groups, and between the PTSD symptom [+] group (n=40) and PTSD symptom [-] group (n=21). Results : Comparison of the TCI's seven higher dimensions between the PTSD symptom [+] and [-]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C (Cooperativeness). And in the analysis of TCI's lower dimension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HA1 (Worry and pessimism), HA2 (Tension regarding uncertainty), and C4 (Compassion) subscale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igher dimensions appeared more clearly between the non-traumatized group and the traumatized group. Compared to the non-traumatized group, the traumatized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HA (Harm avoidance) and RD (Reward dependence), while lower in SD (Self-directedness). Conclusion : Overall,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raumatic experiences may affect personality systems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and of PTSD symptoms.

카를로스 히메네즈의 'House and Studio'에 보이는 생장성(生長性)의 지역적 의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Growth in Carlos Jim$\acute{e}$nez's "House and Studio")

  • 안준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1-18
    • /
    • 2012
  • Carlos Jimenez's 'House and Studio' was self-designed to fully function as both a home and workplac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3, the installation has been continuously updated for almost 30 years solely under the guidance of the owner's life occurrences and routine needs. The additions and alterations succeeding the building's erection were executed to incorporate small yet symbolic fragments of the resident's memories and life episodes. The particularity of the 'House and Studio' can be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remodeling and expansion projects in regards to certain key aspects. These means of comparis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ilding strictly under the direction of a master plan of development vs. allowing natural adaptations that comply with the resident's needs, rapid development vs. gradual advancement, the ornamenting by exposing showy features vs. the enhancing by addition of modest natural components, sustainability vs. sustenance, systematic room divisions vs. ambiguous spatial organization, possession as a materialized asset vs. preservation as a recollection of memories, and finally the recognition as one example of signature architecture vs. the witnessing of a maturing animated shelter. The given propositions can be further explained with the comprehension of Erich Fromm's theory of the 'Having' mode and 'Being' mode, two mechanisms that categorize the essence of human life. The 'Having' mode is described by the human greed for wealth, power, and influence, whereas the 'Being' mode is comprised of compassion, joy, and productivity. Fromm's thesis applies to the general sense of human life, but the ideas can be narrowed to accommodate the architectural standpoint. In architecture, the 'Having' mode can be translated to be the conspicuous form-oriented and self-contained object. The 'Being' mode, on the other hand, is transposed as the more natural form,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owner before commercialization. The growth of Jimenez's 'House and Studio' can be perceived as an architectural suggestion to the overcoming of human indifference caused by fixation on the 'Having' mode.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A study of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 조민지;이은화;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267-316
    • /
    • 2020
  • 이 글은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를 기조로 삼아, 아카이브의 직접적 서비스의 가능성과 의미를 탐구한 글이다. 주요 사례로 삼은 것은 4.16기억저장소의 청소년 기록단 활동이다. 4.16기억저장소는 한국 사회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아카이브이다. 청소년 기록단 활동은 4.16기억저장소라는 아카이브에서 제공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일환이다. 특히 기억교실 활동, 기억전시관 활동을 다루었는데, 이를 통해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의 가능성과 그 함의를 구체적으로 짚을 수 있었다. 한국 사회는 관계성이 취약한 사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비단 기록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기록관리 전반에서, 관계성 기반 아카이빙이 공공아카이브와 민간아카이브에서 이미 여러 방식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는 취약한 사회에서 사회적 유대감을 복원, 강화하는 사회적 노력에 동참해오고 있었다. 아카이브의 직접적 서비스, 특히 관계성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논의할 필요를 여기에서 찾아본다.

소방 공무원에서 간접 외상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carious Trauma on Mental Health in Firefighters)

  • 백준혁;정영은;채정미;명준표;임현우;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2010
  • Objectives : Indirect contact with trauma may occur when a person empathically listens to detailed descriptions, exposing the person to intense emotional pain from trauma victims. Although less severe than direct trauma, indirectly traumatized persons may experience the same fear, rage, and despair as direct trauma victims. This phenomenon has been variously termed vicarious trauma, traumatic countertransference, burnout, compassion fatigue,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Using a psychiatric symptoms questionnair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rect exposure to co-worker's trauma on the mental health of firefighters who had not directly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in the previous year. Methods : We administ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to firefighters working at two fire stations in a metropolitan city. We analyzed 188 of 232 collected surveys, after excluding falsely entered data (28 cases) and questionnaires by directly-traumatized victims (16 cases). Results : Alcohol consump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as determined by the AUDIT and IES-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directly-traumatized group. The ratio of high-risk members scoring higher than 23 in IES-R was larger in the indirectly traumatized group, although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directly traumatized group. This group also included more members at high risk for PTSD. Further research, with a larger group of indirectly traumatized firefighters and ongoing investigation of PTSD development and other psychiatric symptoms, is needed.

니체 철학에서 사랑의 의미에 대하여 (On the Meaning of Love in Nietzsche's Philosophy)

  • 양대종
    • 철학연구
    • /
    • 제145권
    • /
    • pp.297-324
    • /
    • 2018
  • 니체 철학이 갖는 가장 강렬한 함의 중의 하나인 현대성의 위기와 그 극복 가능성이라는 주제를 '사랑'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재구성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성에 대한 육체적 욕망의 발로인 성애(性愛)에서부터 동정심이나 이웃사랑 같은 종교적으로 왜곡된 사랑의 형태를 넘어 가장 먼 것에 대한 사랑과 생명의 적극적인 긍정양식인 운명애에 이르기까지 니체 철학 전반에 걸쳐 산재된 사랑에 대한 진술들을 분석해 본다. 니체에게 사랑은 기본적으로 힘의 확장을 목표로 하는 소유욕으로부터 자라난 충동이다. 그것이 인간을 구성하는 힘에의 의지이므로 사랑의 충동은 생명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 충동을 죄와 결부시킨 기독교를 통해 에로스는 부도덕 해졌다. 니체는 인간의 자연과 실재를 부인하고 거기에 다른 이상을 덧씌우려는 기독교적 사랑을 극복하고 자신을 뛰어넘는 사랑을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니체 철학에서 그것은 가장 먼 것에 대한 사랑이자 운명애로 불린다.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The Convergence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이연복;이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91-500
    • /
    • 2018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조직문화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러한 간호조직 문화와 전문적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충북의 C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16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혁신지향문화, 결혼상태, 관계지향문화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는 연령, 업무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은 관계지향문화, 임상경력, 위계지향문화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조직 내 혁신지향문화 및 관계지향문화 형성을 위한 간호사들의 인식 전환 및 개선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에서의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숙련되고 임상경험이 풍부한 우수한 간호사를 확보하기 위해 조직차원에서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