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23/kjas.2020.66.267

A study of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Jo, Minji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Lee, Eunhwa (4.16기억저장소 기록팀)
Lee, Youngnam (한신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v., no.66, 2020 , pp. 267-3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treatise focuses on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We hope to seek the possibilities of archival immediate service by this treatise. We cover the 'Youth Archivists Program' of '4.16 memory archives' at this time. This archives has a special meaning in Korea. 'Youth Archivists Program' is an program of archival service in this archives. We suggest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by this case study. We have verified that there are some archival services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in Korea. We hope that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should be an serious issue in Archival community.
Keywords
4.16 memory archives; relation; PR; exhibition; preservation; archival service; communication; compassion; the education of the young; Intermediate Techn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윤충로. 2020. 마을기록과 구술사. 그리고 지역문화원의 역할,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엮음. 서로 손잡는 지역문화운동 : 지역문화원의 새로운 연결을 위하여. 서울:삶창, 149-159.
2 이경래.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3-77.
3 이영남, 조민지. 2014.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기록학연구, 41, 113-173.   DOI
4 이영남. 2019.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기록학연구, 59, 207-275.
5 이영남. 2020. 일상생활과 기록. 기록학연구, 65, 253-319.
6 이해영. 2020. 기록의 분류.기술과 검색도구. 서울: 선인출판사.
7 이현정. 2017. 공동체아카이빙 윤리의 모색. 한국기록학회, 제117회 월례발표회 발표문.
8 조민지. 2014. 기록과 기억의 문화정치 : 국가기록 전시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외대박사논문.
9 조민지. 2018. 국가기록 전시의 의미화에 대한 이용자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7, 5-33.
10 조민지. 2020. 디지털 기억 시대의 기록과 정보서비스. 기록과 정보.문화연구, 10, 181-215.
11 주현미. 2020. 마을의 다섯 가지 얼굴 : 마을아카이브, 사랑과 환대의 기록. 명지대박사논문.
12 조르조 아감벤 지음, 윤병언 옮김. 2015. 행간. 서울: 자음과모음.
13 최서영. 2020. 사라진 길 위에서 기억을 깨우다,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엮음. 서로 손잡는 지역문화운동 : 지역문화원의 새로운 연결을 위하여. 서울: 삶창, 179-192.
14 E.F. 슈마허 지음, 이상호 옮김. 2001. 작은 것이 아름답다. 서울: 문예출판사.
15 UN SDFSN. 2019. 2019 World Happiness Report.
16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2019. 그 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 파주: 창비.
17 4.16기억저장소 기획편집. 2019. 그날을 말하다 : 도언 엄마 이지성. 파주: 한울.
18 4.16기억저장소 기획편집. 2020. 그날을 말하다 : 4.16기억저장소. 파주: 한울.
19 4.16 단원고 약전 작가단, 경기도교육청. 2016. 4.16 단원고 약전(1-12권). 서울: 굿플러스북.
20 김경용. 199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21 김정태, 홍성욱. 2014. 적정기술이란 무엇인가?.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1호, 38-50.
22 리사 셔크 외 지음, 진선미 옮김. 2020. 공동체를 세우는 대화기술. 논산: 대장간.
23 리즈 호가든 지음, 이경아 옮김. 2006. 행복. 서울: 예담.
24 마셜 B. 로젠버그 지음, 캐러린 한 옮김. 2011. 비폭력대화. 서울: 한국NVC센터.
25 서울기록원. 2018. 서울시 주요 시정정보 기록화사업 아카이빙북.
26 아를레트 파르주. 2020. 아카이브 취향. 서울: 문학과지성사.
27 오도. 2013. 텃밭정원 가이드북. 홍성: 그물코.
28 유가은. 2017. 국가기록원의 PR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