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of Learning

검색결과 1,094건 처리시간 0.027초

온라인 학습공동체 그룹핑 시스템 개발: 지능적 에이전트 활용 (Grouping System for e-Learning Community(GSE): based on Intelligent Personalized Agent)

  • 김명숙;조영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7-128
    • /
    • 2004
  •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에 비하여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에게 더 심한 고립감을 유발하며, 또한 높은 중도 탈락률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소속감, 상호의존성, 상호유대감, 지속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환경의 부족함에서 기인한다. 그러므로 e-learning 공동체에서는 중도 탈락률을 낮추고 학습자의 고립감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적용될 취향검사 항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 취향검사의 동질성과 다양성을 결합한 지능적 멀티에이전트 기법에 의한 학습공동체 e-learning 그룹핑 시스템(GSE)을 개발하였다. GSE 시스템은 에이전트에 의해 개인화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른 그룹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시스템을 실제 테스트해 본 결과, 학습자들의 약 88%가 만족함을 나타냈으며 그룹이 계속 유지되거나 해체되지 않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축교육헌장에 기초한 커뮤니티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Community Design Education for Sustainable Environment)

  • 김우영;강태웅;소갑수;김승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9-66
    • /
    • 2012
  • Community design education has covered the worldview dimension of the collaborative courses for sustainability draws on the architectural expertise developed in a network of community projects and therefore case studies of design education by the collaborative project-based learning in terms of participants, students, teachers and architects, such as 'Learning By Design' for the K-12 comprehensive program in Massachusetts addresses how a local society can make its community sustainable by both design and education. To understand that community design and education can provid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ll levels of skills and knowledge across disciplines an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blem-solving, this research consists of case studies of the community design education including social systems that assist in organizing the local educational program as well as promoting the programs with public awareness of the community. It covers the UNESCO-UIA agenda of the community design and education that is to enhance the physical environment relating to human interaction by developing innovative alternatives of existing community and contributing voluntarily to neighborhoods through design. As the community design collaborative of design professionals and users is a structural approach to assess design quality, the cases address how to set up the architectural program in order to share pro bono design service and provide high-quality design resources available for sustainable environment.

e-Learning에서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학습참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Cyber University Communities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2
    • /
    • 2006
  • 이러닝에서의 커뮤니티 활동이 학습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주며, 학습 만족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성과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로는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과 학습 동기유발 수단, 학습참여도에 관한 내용을 기초로 정리하였으며,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SMS, e-mail 등 학습수단이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 PDF

웹기반 이러닝 멀티에이전트 시스템 (An Intelligent Web based e-Learning Multi Agent System)

  • 조영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9-45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멀티에이전트 기반 지능형 웹기반 이러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 구현을 위해 사용자들의 취향검사를 수행하였고, 결과 사용자 그룹에 맞는 적절한 이러닝 커뮤니티를 형성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인 IMAS는 신경회로망에 의해 이러닝 커뮤니티를 학습하였고, 새로운 분산기반 멀티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에이전트를 생성한다.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volved in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 윤정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26
    • /
    • 2024
  •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교사 연수 및 개별적인 노력의 한계가 보고되며, 대안적인 교사 전문성 체제로 학습공동체가 주목받고 있다. 학습공동체는 공동 목표를 바탕으로 상호 참여를 통해 수학 교과 내용, 교육학, 교육과정에 대한 레퍼토리를 형성하는 하나의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이고, 따라서 교사들의 학습은 실천공동체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성찰 저널, 협의록, 수업 영상 전사본의 귀납적 분석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도출하였고, 참여 관찰 기록지를 토대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한 후 이를 유형적으로 분석하여 각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사는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실천 형성, 지속적인 반성과 성찰을 통한 교수 실행 개선, 공동체 몰입을 통한 함께의 가치 인식을 경험했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적 궤적, 내부지향 궤적, 내부자 궤적, 경계적 궤적, 외부지향 궤적 등을 보이며 다양하게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가 제안되었다.

평생학습도시 관련변인의 사회자본 영향에 관한 연구: 안동시와 영천시의 사례 (Factors Influencing Social Capital through the Enhancement of a Lifelong Learning City: Youngcheon and Andong City Case Study)

  • 김남선;안현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4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capital within a lifelong learning city as discussed in the Youngcheon and Andong City cas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05 leaners in Andong City and 194 learners in Youngchun City. The data was then analyzed by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percentile, 1-test,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learners in LLC we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onstruction of a lifelong learning city. Second, the leaners in LLC were more likely to have social capital including norm and network. Furthermore, the learning opportunity had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the trust between learners. Learning support and support systems also had influence in increasing the social network between learners. Finally, support systems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norm between learners.

  • PDF

지역 대학 e-Learning 센터의 전략적 역할분석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Strategic Roles of e-Learning Center in the Community of Local Universities)

  • 정대율;김권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409-424
    • /
    • 2005
  • Today, many universities are confronted with the changing education paradigm such as e-Learning, Distance Education, Virtual University. This IT-based learning paradigm shift is certainly a new opportunity or a threat to our universities. The Local University Community e-Learning Centers that support the demand of e-Learning for their community are recommended. Tn order to operate these centers efficiently, the strategic roles of the e-Learning center should first be defined. To define the strategic roles, We classified the strategic roles of the e-Learning center into four dimensions, (1)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2) to enhance educational service, (3) to acquire competitive advantages, (4) to build new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each dimension has S or 6 measurement items. As result, to enhance the educational service was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strategic roles, and the infrastructure building was the next. Through the strategic roles definition and analysis of expected role ratings, we could have recommended the direction and operation policies of the e-Learning centers.

  • PDF

수학 수업의 성찰적 실천을 위하여 : 학교 안 수학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For the Reflective Practice of Math Classes : Case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Math Teachers in a School)

  • 오택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05-126
    • /
    • 2016
  • 수학 수업은 특정 교실의 학생과 교사의 독립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 수업 전문성 신장에 관한 논의에서는 수학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사공동체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관점이 확산되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조직과 운영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는 수학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공동체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과 목표를 공유하게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과 동료의 수업에 대한 성찰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수업에 반영하여 수업 개선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질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 학교 안에서 학습공동체를 통하여 교사들에게 수업을 대상화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긍정탐색 모형을 활용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 설계 (An Instruction Model Design for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Utilizing Appreciative Inquiry)

  • 김효정;박수홍;허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34-3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의 긍정탐색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배움의 공동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의 원리와 수업모형, 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긍정탐색 모형에 적용하여 긍정 탐색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고, 사용자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긍정탐색 모형의 초안을 검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개선안을 반영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학습활동은 홉 단계에서 오리엔테이션과 긍정 주제 선정하기, 스텝 단계에서 성공 스토리 탐색하기, 스토리 핵심가치 도출하기, 그리고 점프 단계에서 도출한 핵심가치의 확산 전략 세우기, 실행계획 세우기, 실행하기, 마지막으로 성찰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목표, 학습자 활동, 교사활동 그리고 지원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수업모형의 병합적 개발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 교사, 학부모등 학교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모형 개발과 적용을 통해 모형을 정교화하고 적용 대상을 확장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xperience and Practice of Participating in Paper Circuit Computing Learning: Based on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 JANG, JeeEun;KANG, Myunghee;YOON, Seonghye;KANG, Minjeng;CHUNG, Warre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131-157
    • /
    • 2017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f artists in paper circuit computing learning and to conduct an in-depth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knowledge. To do this, w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six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program of an art museum, and used various methods such as pre-open questionnaire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s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Results showed that the artis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based on a desire to use new technology or find a new work productio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their audiences. In addition, the artists actively formed practical knowledge in the curriculum and tried to apply paper circuit computing to their works. To continuously develop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med a study group or set up a practical goal through planned exhib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roaches to, and utilization of, paper circuit compu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