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검색결과 1,502건 처리시간 0.036초

음식섭취행동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의 주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behavior on dietary habits and subjective oral health evaluation)

  • 임근옥;우승희;곽정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1-451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ting behavior of patients in a bid to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their eating behavior, as eating behavior seemed to affect oral health and dietary habit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5 patients who visited the dental hygiene practice lab at C college in South Jeon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Results : 1. When their self-awareness of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was checked in consideration of eating behavior, those who thought they had very good dietary habits and were in good oral health had meals three times a day. Their eating time was very irregular, and they took 15 to 20 minutes to eat. Their overeating frequency was three or four times a week, and their frequency of eating between meals was once or twice a week. 2. On the contrary, the daily eating frequency of the patients who found themselves to have very bad dietary habits and to be in bad oral health was not fixed, and their eating time was neither regular nor irregular. They spent less than 10 minutes having a meal, and their overeating frequency was once or twice a week. Their frequency of having a snack was three or four times a week, and as for food preference, they had a liking for meat. 3. The pati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better health when they had balanced meals and good eating behavior, namely good dietary habits. And they rated their own dietary habits higher when they were in a good oral state, had no experiences to feel pain in the mouth and didn't receive any dental treatment, namely when they were in good oral health. Conclusions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ting behavior on oral health awareness.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geographic scope was just confined to an urban community in South Jeonla Province without checking any possible regional gaps. However, it's quite evident that eating behavior exerts an influence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it seems worth doing to examine a larger number of subjects by utilizing objective oral health guidelines.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 (A Study on the Frequency of Falls, Fear of Fall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 신경림;강윤희;정덕유;김미영;윤은숙;마예원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155-1167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 두려움,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S시 S구 보건소에 방문하는 대상자로 65세 이상 여성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사전에 교육을 받은 간호학과 대학원생 조사원들이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311명의 평균연령은 71.68±5.13세였고, 대상자 평균 인지기능은 22.14±4.32점으로 정상 노인 경우 25.25±1.80점, MCI 노인의 인지기능은 18.02±3.57점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대상자는 109명으로 전체 35%였고 대상자의 평균 낙상 횟수는 1회 이하가 78%에 해당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인지기능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두 그룹(MCI그룹, 정상 인지그룹)간 낙상횟수 및 낙상두려움, 지각된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지기능이 좋은 그룹에서 스스로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과 낙상횟수,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낙상 두려움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는 인지기능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즉 인지기능이 떨어질수록 낙상 두려움의 증가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향후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노인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두 가지의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인지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낙상 두려움과 지각된 건강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요인들을 포함하여 병원, 노인 요양시설 등 다양한 곳에 거주하고 있는 남·여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인지기능 향상과 낙상예방을 위한 포괄적인 교육을 통해 낙상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낙상 발생률을 낮추면,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음주량 및 폭음과 치주염의 관련성: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and Periodontitis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 형주희;이영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는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평균 음주량 및 폭음 빈도와 치주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J자 형태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경도 음주군을 기준으로 중등도 음주군(1.25배)과 고도 음주군(1.39배)에서 치주염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여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폭음 빈도와 치주염과의 관련성 연구 결과, 남자에서는 폭음 빈도가 증가할수록 치주염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자에서는 폭음 빈도와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자에서 과도한 음주량 및 폭음을 하는 경우 치주염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에서 치주염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음주습관 형성을 위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다양한 홍보교육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앤더슨 모형을 활용한 융합적 연구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Over 65 Years in Korea: Us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 박효은;서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83-9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능요인, 요구요인, 건강행태요인들 간에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 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자 21,724명 중, 65세 이상 노인 3,5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앤더슨 모형에 따른 우울증 여부에 대한 변수들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 분석의 결과로 남성은 0.49 배(0.31-0.78)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증이 1.56 배 (1.05-2.31), 스트레스가 0.55 배(1.10-2.19), 보행 운동이 1.44 배(1.03-2.00), 외래 사용이 1.48 배(1.10-1.98)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 주민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 된 지원이 필요하며 스트레스 중재와 운동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

일개 도지역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의 직무실태와 개선방안 (Task Status of Dental Hygienists of Health Centers and Subcenters)

  • 은종영;감신;임지선;양진훈;김종연;한창현;유윤선;차병준;송근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35-54
    • /
    • 2002
  • 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실태, 직무만족도, 그리고 향후 직무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북도 보건소 및 보건지소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전원(203명) 대상으로 2002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부서에 비해 업무량이 많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2.2%였고, 보수 수준에 대하여는 61.6%가 보통, 36.5%는 만족한다고 하였다. 대상자의 73.9%가 업무에 대해 긍지와 보람을 느낀다고 하였고, 32.0%가 전직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전직의사 이유로는 승진기회의 부족이 가장 높았다. 대상 치과위생사의 47.3%가 직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고, 19.2%가 특수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치과위생사가 공무원계급에 6급직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60.6%가 타직렬의 견제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보건기관에서 타업무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에 대해서는 53.7%가 구강업무에 종사하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고, 치과의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의 치과위생사에 대해서는 61.9%가 치과질료실을 구강보건실로 전환하여 구장질환 예방사업에 종사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보건기관의 유휴 치과장비에 대해서는 89.1%가 지역실정에 맞게 치면세마사업에 활용하야야 한다고 하였다.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외 구강보건업무 담당시간은 전체 업무시간의 57.8%를 차지하였고, 투입시간 비율은 치과실내에서의 치과진료업무가 41.6%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업무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업무로는 구강보건실 내에서의 구강보건업무 학교구강보건사업, 수직적 구강보건사업 순이었다. 보건기관에서의 구강보건 업무를 수행하는데 문제점으로는 공중보건치과의사의 부족으로 치과위생사 고유 업무에 종사 하지 못함,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부족, 예산 및 인력부족 순이었다. 개선방안으로는 보건복지부와 도에 치과위생사 배치, 인력 및 예산확보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는데, 타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재배치를 통해 구강보건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야 하겠고,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치과진료실 내에서의 진료보조 업무에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진료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공중보건 치과의사 미배치지역에 대해서는 지역설정에 맞게 치과 진료실을 구강보건실로 전환하여 구강보건사업에 활용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또한 치과위생사익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직무교육, 연구사업, 특수사업 등의 참여 기회를 확대 부여하도록 하여야 하겠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6급 승진 기회 부여와 시 도에 구강보건 담당부서 설치 및 치과위생사 배치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독립주거 거주 중증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ving in Supported Housing)

  • 이성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81-299
    • /
    • 2008
  •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지원을 수반하는 독립주거 (Supported Housing)는 정신장애인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 독립성, 지역사회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는 이상적이고도 실현 가능한 주거모델로 간주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독립주거의 긍정적 결과물 가운데 하나인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과 독립주거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시의 독립주거 프로그램인 SIL(Supported Independent Living)에 거주하는 237명의 중증 정신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인터뷰, 정신건강 서비스 행정데이터 및 2000년도 미국 센서스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적자원, 주거환경, 지원 프로그램, 서비스 요인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 진단, 정신질환 수준,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그리고 프로그램 관리자와의 우호적 관계가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은 중증 정신장애인들의 더 나은 삶의 질을 통한 안정된 독립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 계획 및 정책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45~60세 한국여성의 폐경 여부에 따른 건강인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Factors in 45~60 Year Old Korean Women related to Menopausal Stages - Based on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이혜진;조광현;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0-462
    • /
    • 2012
  • 본 연구는 2008~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5세~60세 중년여성의 식사의 질을 포함한 다각적인 건강 행태를 파악하고자 폐경 전 후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 신체적, 정신적, 혈액학적, 식사의 질의 특성을 분석하여 건강 요인과 폐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대상자 중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 < 0.001), 교육수준(p < 0.001)과 월 소득(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2) 체지방률(p < 0.001)과 허리둘레(p < 0.001)는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혈액학적 지표 특성 중 혈당(p < 0.05), 총 콜레스테롤(p < 0.001), LDL-콜레스테롤(p < 0.001), 중성지방(p < 0.001), GOT(p < 0.001), GPT(p < 0.001)의 농도가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삶의 질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에 비해 유의적(p < 0.01)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우울 정도와 스트레스 수준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5) 식사의 질은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MAR)가 0.78로 다소 낮았으며, 폐경 전 후 각 군을 비교 한 결과에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NAR 값이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 < 0.05). 6) 중년여성의 연령, 허리둘레, 체지방률, BMI는 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폐경 후 여성의 비만도가 폐경 전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중 지질 농도 또한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폐경 후 여성의 비만 및 혈중 지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칼슘, 칼륨, 비타민 $B_2$ 등의 비타민, 무기질 영양상태가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폐경 후 여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앞으로 기대 수명이 증가하면서 폐경 후 의 삶이 증가된다는 점에서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세밀한 건강관리와 식사의 질적 보완을 위한 체계적인 건강 및 영양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 고등학교 비만학생의 체지방 분포양상과 브로카지수와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Body Fat Distribution and the Broca Index of Obese Students in High Schools)

  • 김이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58-46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ody fat distribution between obese boys and girls in high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nt of body fat and the Broca Index. The survey of data was conducted from November 3rd to the 11th in 1997.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easurements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lean body mass were made by a Bioelectrical Impedence while height, weigh and the Broca index were measured by a fatness measuring system. First, measurements of height, weight and the Broca index were made by a fatness measuring system on 1,125 1st year students and 1,076 2nd year students. The result of measurements, 216 obese boys and 100 obese girls appeared to have above 10% of the Broca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bese boys and girls were grouped by the level of the Broca index as follows: boys, 110-less than 120 60.0%, 120-less than 130 20.8%, 130-less than 140 11.1%, above 140 7.4%. ; girls, 110-less than 120 44.4%, 120-less than 130 32.0%, 130-less than 140 13.0%, above 140 11.0%. 2) Obese boys and girls were grouped by level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by Bioelectrical Impedence as follows: boys, less than 20% 5%, 20%-less than 25% 34.7%, above 25% 33.8% ; girls. less than 25% 15.0%, 25%-less than 30% 43.0%, above 30% 42.0%. 3) In obese boys the Broca index score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body weight(r = .741, p<.001), the percent of body fat(r=.604, p<.001), lean body mass(r=.375, p<.001), body fluid(r=.445, p<.001l).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 of body fat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lean body mass (r= -.074), body fluid(r= -.073). 4) In obese girls, the Broca index score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body weight(r= .693, p<.001), the percent of body fat(r=.645, p<.001), lean body mass(r=.531, p<.001), body fluid(r=.532, p<.01), and the percent of body weight score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lean body mass(r=.206, p<.01), body fluid(r=.207, p<.01).

  • PDF

일부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College Students)

  • 남명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9-25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measure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x education programs and direction.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59 students in K college of Kyongnam and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June 1 to June 20, 1998. Data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SPSS to manipulate the data along with frequency, mean, t-test, F-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enc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ex related knowledge marked 12.01 at a maximum level of 25. In the areas of Sex physiology(51.8%), genital physiology(49.9%), venereal diseases(44.3%) and contraceptive methods (38.1%), students were shown to have certain levels of knowledge. 2. Sex related attitudes marked 15.35 at a maximum level of 35. The most frank attitudes concerned 'premartial coitus in males' and the most conservative attitudes concerned 'extramarital coitus in females'. 3. Concerning sexual behavior 80.7% of the respondents had associated with the opposite sex. The most frequent behaviors were walking arm in arm (male : 28.6%, female: 36.2%). Their main problems were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male : 39.2%, female: 24.5%), frustrated sexual desire(male : 26.0%, female: 9.8%) and unwanted pregnacy(male: 15.2%, female: 7.8%) To solve sex problems, respondents intended to consult their friends(male : 35.7%, female: 46. 7%) and become active in sports or recreation (male: 23.4%, female: 11.4%). About 81.2% of male students had a masturbation experience, but only 11.4% of female did, 40.0% of male students had a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but only 13.3% of females did, 7.8% of male students used contraceptive methods, but only 2.9% of females did. 12.3% of male students had a rape experience, but only 10.5% of females did.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ho made someone pregnant was 12.3%,however pregnant female were only 6.8% and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ho forced someone to have an abortion was 12.3%, females who experienced an abortion were only 5.7%. 4. Regarding genital physiolog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 t = -7.342, p=0.000). Regarding contraceptive metho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ther's education level(F= 2.421, p=0.036) 5. In sexual attitud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 = 4.456, p = 0.000), religion(F=4.315, p=0.000), high school(F=3.150, p=0.045), habitation form(F= 3.164, p=0.0025 and methods of acquiring sexual knowledge(F=2.990, p=0.012). 6. The variables regarding sexual experience were gender, high school, economic status, habitation form, method of acquiring sexual knowledge, and parental attitudes toward sex.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sex education is required and must be taught as a regular course in the curriculum of all Korean schools at all levels.

  • PDF

중학생의 성 의식과 성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Awareness and Sexual Behavior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나명숙;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4권
    • /
    • pp.43-5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gender, grade and school type of middle school student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sexual awareness and sexual behaviors in an effor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efficient sex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exu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sexual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re their gender, school year and school type related to their sexual awareness and behavi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7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earlier studies to sui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x2 test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implemented, and basic statistical data were obtaine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ir sexual awareness, the largest group of them agreed that one must report in case of being raped(4.36), and the smallest number of them thought that one might have a sexual relationship with a person other than his or her spouse after marriage(1.56). Second, as for experience of indecent materials, part of sexual behaviors, 67.4 percent had ever contacted such materials. The most common medium through which they contacted them was the Internet(56.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xual awarenes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n't influenced by gender or school type. But that varied with grade, as the third graders had the best sexual consciousness. Their sexual behavi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he boy students contacted more indecent materials, and their experience of such materials varied with grade, since the third graders contacted the most obscene materials. And that also varied with school type, and the non-engineering students contacted more obscene materials. As for sexual drives, their masturbation experien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school type. The number of the boys who practiced masturbation was four-fold larger than that of the girls, and the second graders had more such experience. By school type, the non-engineering students practiced more masturb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ir kissing, caressing and dating experiences.

  • PDF